• 제목/요약/키워드: polyurethane acrylate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4초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olyurethane-Acrylate Top-Coating Agent

  • Son, Young-Joon;Lee, Dong Jin;Bae, Jong Woo;Lee, Jung Hee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0권2호
    • /
    • pp.98-102
    • /
    • 2015
  • A series of polyurethane-acrylate hybrids were synthesized by 2-step emulsion polymerization of a variety of acrylate monomers such as 2-hydroxy ethyl methacrylate (HEMA), methyl methacrylate (MMA).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mprove stability and emulsibility of surface treatment agent, and it was found that the polyurethane-acrylate hybrids having an optimum composition (MMA : 20%, LA(EO)3-S : 3% and TDA-7 : 5%) was shown to be quite surface active in the solid contents. These results suggests that the optimal polyurethane-acrylate hybrids in this study have high potential as top coating agent, which may have high gloss and excellent properties.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하이브리드 에멀젼의 합성 및 경화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ing Characteristics and the Synthesis of Polyurethane Acrylate Hybrid Emulsion)

  • 한상훈;박동원
    • 공업화학
    • /
    • 제17권2호
    • /
    • pp.132-137
    • /
    • 2006
  • Methyl methacrylate (MMA), 2-hydroxy ethylmethacrylate (2-HEMA), n-butyl acrylate (n-BA) acrylic acid (AAc)를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사용하고 친수성기인 카르복실 말단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을 시드로 하여 시드중합 방법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하이브리드 에멀젼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혼성 에멀젼의 입자경과 폴리우레탄 수분산체의 입자경과 단독 아크릴레이트 에멀젼의 입자경 그리고 수분산 폴리우레탄과 아크릴레이트 에멀젼을 기계적으로 브랜드한 혼합물의 입자경을 입도 분석기를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 및 분포를 측정하였고 하이브리드한 에멀젼은 기계적으로 브랜드한 에멀젼보다 평균입자경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수분기 용매에 대한 팽윤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물리 화학적 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하이브리드 에멀젼에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경화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였다.

양이온성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보류향상제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stics of Cationic Polyurethane-Acrylates as a Retention Aid)

  • 한철;김두원;윤두수;김선;홍완해;김정규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9권3호
    • /
    • pp.209-216
    • /
    • 2004
  • Polyurethane prepolymer에 2-hydroxyethylmethacrylate(HEMA)와 acrylamide(AA)를 반응 시켜 두 가지 타입의 polyurethane-acrylate 중합체들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중합체들을 소량의 benzyl chloride와 증류수를 이용하여 수용성 중합체인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양이온성 보류향상제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두 가지 형태로 제조된 중합체에 대하여 보류향상제로서 중요한 특성인 보류, 탈수특성 및 비압축강도 등의 물성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고찰하였다. 합성된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양이온성 보류향상제는 rpm에 따라 큰 변화 없이 70% 내외의 보류도를 유지하였으며, 합성한 보류향상제의 첨가로 인한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의 경우는 미첨가시의 COD보다 상당히 낮은 값이 관찰되었다. 탈수량의 경우 무처리한 펄프보다 보류향상제의 처가 시에 탈수성이 향상되었으며, 보류향상제의 첨가 시 비압축강도가 소량 증가되었고, PU-HEMA가 PU-AA보다 우수한 강도를 나타내었다.

아크릴 단량체 종류 변화가 수분산 Polyurethane Dispersion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ypes of Acrylate Monomers on the Properties of Waterborne Polyurethane Dispersion)

  • 신용탁;홍민기;김병석;이원기;유병원;이명구;송기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5호
    • /
    • pp.548-553
    • /
    • 2011
  • Isophorone diisocyanate(IPDI), polycarbonate diol(PCD), dimethylol propionic acid(DMPA)를 출발물질로 하여 NCO terminated prepolymer가 합성되었다. 이 prepolymer의 NCO기를 아크릴 단량체로 capping하기 위해 다양한 아크릴 단량체인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 2-hydroxyethyl acrylate(HEA),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가 첨가되었다. 제조된 용액의 평균 입경은 아크릴 단량체가 첨가되면서 증가하였다. 또한 제조된 코팅 막의 연필경도 및 내마모성은 순수한 수분산 폴리우레탄보다 우수하였으며, 아크릴 단량체 중에서 PETA가 가장 우수한 물성을 보였다.

아크릴 단량체의 종류 변화에 의한 수분산 폴리우레탄-아크릴 혼성 용액의 제조 (Preparation of Waterborne Polyurethane-Acrylic Hybrid Solutions from Different Types of Acrylate Monomers)

  • 김병석;홍민기;유병원;이명구;이우일;송기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3호
    • /
    • pp.410-416
    • /
    • 2012
  •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polycarbonate diol (PCD), dimethylol propionic acid (DMPA)를 출발물질로 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waterborne polyurethane dispersion, PUD)을 합성하였다. 이 PUD에 아크릴 단량체인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MMA (methyl methacrylate), HEMA:BA (butylacrylate), HEMA:BMA (butyl methacrylate), HEMA:HEA (2-hydroxyethyl acrylate), HEMA:PETA (pentaerytritol triacrylate) 혼합물을 첨가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아크릴 혼성 용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아크릴 단량체의 종류가 수분산 폴리우레탄-아크릴 혼성 용액의 내약품성과 내마모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내약품성은 HEMA와 MMA를 중합한 것이 가장 우수했으며, 내마모성은 HEMA와 PETA를 중합한 것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아크릴 단량체 종류 변화가 대전방지용 수분산 아크릴 폴리우레탄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ypes of Acrylic Monomers on Properties of Anti-static Waterborne Acrylic Polyurethane Dispersion)

  • 허우영;윤동구;송기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4호
    • /
    • pp.451-458
    • /
    • 2014
  • Isophrone diisocyanate (IPDI), polycarbonate diol (PCD)과 dimethylol propionic acid (DMPA)를 출발물질로 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waterborne polyurethane dispersion, WPUD)을 합성하였다. 이 WPUD에 아크릴 단량체인 methyl methacrylate (M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와 butyl acrylate (BA)를 각각 첨가하여 다양한 종류의 수분산 아크릴 폴리우레탄(waterborne acrylic polyurethane dispersion, AUD)을 합성하였다. 이 AUD와 물에 분산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를 혼합하여 전도성 코팅 용액을 제조한 후 polycarbonate 시트 위에 도포하여 코팅 도막을 형성하고 물성을 살펴보았다. AUD로부터 제조된 코팅 도막의 연필경도,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은 WPUD 보다 향상되었으나, 전기 전도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아크릴 단량체의 종류 변화 실험에서는 코팅 도막의 연필경도는 HEMA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우수하였으나, 내마모성, 내약품성 및 전기 전도도는 MMA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우수하였다.

UV-경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제조와 특성(I) -폴리올의 분자량과 저분자량 디올의 도입의 영향-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UV-Curable Polyurethane Acrylates(I) -Effect of Molecular Weights of Polyol and Diol with Low Molecular Weight into Polymer Chain-)

  • 최준영;이동진;김한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7
    • /
    • 1999
  • Urethane-acrylate propelymers for secondary coating of optical fiber and high - performance material were prepared from the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MDI), poly(tetramethylene oxide)glycol(PTMG, Mw 650 or 1000), 1,6-hexanediol(HD), 2-hydroxyethyl acrylate(HEA), and dibutyltin dilaurate as a catalyst. UV-Curable polyurethane acrylates were formulated from the urethane-acrylate prepolymers, three types of reactive diluents(DTs) having mono-, di-, and trifunctional-phenoxyethyl acrylate(PEA), hexanediol diacrylate(HDDA), and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TMPTA), and 1-hydtoxycyclohexyl phenyl ketone(Irgacure 184) as a photoinitiator. The UV-cured films of polyurethane acrylates were obtained by curing using a medium-pressure mercury lamp(U W/cm, $\lambda_{max}=365\;nm)$. In this work, the effects of molecular weights of polyol and diol with low molecular weight into polymer chain on mechanical and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of UV-cured polyurethane acrylates were studied.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the films obtained from the UV photopolymerization of urethane-acrylate prepolymer were investigated by FT-IR spectroscopy, dynamic mechanical measurement, tensile testing, and X-ray diffractometry.

  • PDF

Effect of Multi-functional Group of Acrylate Crosslinker on Properties of Waterborne Polyurethane-acrylate

  • Moon, Seok Kyu;Kim, Eun-jin;Kwon, Yong Rok;Kim, Jung Soo;Kim, Hae Chan;Park, Han Soo;Kim, Dong Hyu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7권3호
    • /
    • pp.100-106
    • /
    • 2022
  • Waterborne polyurethane-acrylate(WPUA) dispersions were prepared by surfactant-free emulsion polymerization in a two-step process. In the first step, polytetrahydrofuran, isophorone diisocyanate, dimethylol proponic acid, and 2-hydroxyethyl methacrylate were used to synthesize a vinyl-terminated polyurethane prepolymer. In the second step, styrene, m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 and different multi-functional crosslinkers were copolymerized. 1,6-hexanediol di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and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were used as the crosslinkers, and their effect on th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WPUA was investigated. Overall, as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of the cross-linker increased, the gel fraction improved to 79.26%, the particle size increased from 75.9 nm to 148.7 nm, and the tensile strength was improved from 5.86 MPa to 12.40 MPa. In thermal propertie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decomposition temperature increased by 9.9℃ and 18℃, respectively.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WPUA dispersions were characterized by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The synthesized WPUA has high potential for applications such as coatings, leather coatings, adhesives, and wood finishing.

위상지연 원자간력 현미경법에 의한 혼성 에멀젼 표면의 분석 (Analysis of Hybrid Emulsion Surfaces by the Phase Lag Mapping Atomic Force Microscopy)

  • 한상훈;김종민;박동원
    • 공업화학
    • /
    • 제17권4호
    • /
    • pp.381-385
    • /
    • 2006
  • 에멀젼 입자 표면의 새로운 형태학적 분석을 위하여 원자간력 현미경을 이용한 위상지연 가시화법을 응용하여 폴리우레탄 수지와 아크릴레이트 수지로 구성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하이브리드 에멀젼의 형태 및 물성 연구를 시도하였다. 데이터의 분석을 위하여 순수한 수분산 폴리우레탄과 아크릴레이트 에멀젼 입자를 각각 합성하였고, 유사한 형태로 합성된 두 입자에 대한 각각의 서로 다른 위상지연의 크기를 얻을 수 있었다. 이들 데이터를 기준으로 수십 나노미터의 분해능으로 폴리우레탄 속에 혼성된 아크릴 수지의 입자표면을 구별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위상지연 가시화법의 응용으로 서로 다른 2가지 화합물의 특성을 구분하고 이를 가시화 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분석법은 유기 합성 고분자의 입자 표면분석 및 물성연구에 유용함을 기술하였다.

수분산 폴리우레탄 아크릴 접착제의 합성 및 물성 연구 (Synthesis and Properties of Waterborne Polyurethane Acrylate Adhesive)

  • 이승환;천정미;정부영;김한도;천제환
    • 접착 및 계면
    • /
    • 제16권4호
    • /
    • pp.156-16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접착력 및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olyester polyol, 4,4-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H_{12}MDI$), dimethylol propionic acid (DMPA), acrylate monomer를 사용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였다. 또한 합성된 수분산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물성은 FT-IR, 입도분석, UTM, 접착력 등을 평가하였다. 입도 분석에서 아크릴산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였고, 기계적 물성을 평가한 결과, 아크릴산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는 증가하였고 신율은 감소하였다. 접착강도는 PU/acryl 비율 중 acryl의 함량이 증가, 아크릴산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아크릴산의 함량이 0.5 wt%일 때 가장 높은 접착강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