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ferred music listening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s of Two Music Therapy Methods on Agitation and Anxiety among Patients Weaning off Mechanical Ventilation: A Pilot Study

  • Park, Jong Yoen;Park, Soohyun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6-143
    • /
    • 2019
  • Purpose: The feasibility and differential effects of two music therapy methods (interventions with preferred music vs. classical relaxation music) were done to examine the effects on agitation and anxiety in patients weaning off mechanical ventilation. Methods: This pilot study was conducted using a crossover design. Six patients listened to preferred music choices and classical relaxation music. Anxiety scores were measured using the Richmond Agitation Sedation Scale (RAS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and visual analog scale (VAS). Results: Patien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gitation and anxiety after both the preferred and classical relaxation music interventions. The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preferred music and that of classical relaxation music was not significant. As for feasibility, patients exhibited a change in agitated behaviors after the music interventions by not trying to take off medical devices and quietly listening to the music, and by smiling and moving lips along with the lyrics while listening. Conclusion: Music interventions which centered on either patients' preferences or classical relaxation music to enhance relaxation, helped reduce agitation and anxiety during the mechanical ventilation weaning process.

선호음악 감상이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 감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ferred Music Listening on Police Officers'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 김혜진;김은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4권1호
    • /
    • pp.41-62
    • /
    • 2017
  •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 감소에 선호음악 감상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로 실험집단 19명은 선호음악 체크리스트에 근거한 약 20분의 개별 음원을 감상하였고, 통제집단 21명은 단순 휴식을 취하였다. 측정도구는 Lee(1999)가 개발한 직무스트레스 척도와 일본산업위생협회 산업피로연구회(Japan Association of Industrial Health Industrial Fatigue Research Committee, 1970)에서 개발한 피로 자각 증상 척도를 사용하였다. 선호음악 감상 중재는 2016년 10월 11일-19일까지 총 6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for Windows 22.0로 통계 분석 처리하였는데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과 집단 간 사전-사후 검사는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 내 사전-사후 검사는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직무스트레스 전체점수와 실험집단 내 직무스트레스 사전-사후 점수 모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5).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피로도와 실험집단 내 피로도 감소에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 .05). 본 연구에서는 편의적 표집방법을 사용하였으므로 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다는 연구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 감소에 있어 집단 간, 집단 내에서 선호음악 감상이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수용적 음악감상과 더불어 적극적 음악치료 활동을 제공하여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 감소에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중재를 제언한다.

척추마취 하 수술 환자의 불안, 혈압, 심박수 및 혈당에 미치는 음악요법의 효과 (Effect of Music Therapy on Anxiety, Blood Pressure, Heart Rate and Glucose Levels of Patients Undergoing Surgery during Spinal Anesthesia)

  • 정계선;김미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5-34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 the effect of listening to preferred music on patients' anxiety, blood pressure, heart rate, and glucose levels during spinal anesthesia. Method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30) and a control group (n=30) undergoing lower leg operations using spinal anesthesia. The mean age was 35.1 years and the mean time of listening to the music was 71.33 minutes.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their preferred music selected by each of the participants; the control group was not provided with any music. Results: The state of anxiety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F=4.14, p=.046). Anxiety (VAS)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F=4.62, p=.036).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listening to preferred music is an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peri-operative anxiety for patients during spinal anesthesia.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따른 음악활동과 음악선호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Musical Activities and Musical Preference according to Coping Strategy of University Students)

  • 황은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9권1호
    • /
    • pp.1-19
    • /
    • 2012
  •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위한 스트레스 감소 음악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 전략에 따라 음악활동과 음악선호가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대학생 168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스트레스 대처 전략, 음악활동과 음악선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보통 이상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스트레스 대처 전략은 문제중심적 대처,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 소망적 사고 대처, 정서완화적 대처순이었다. 성별에 따라 대처전략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대학생들은 음악감상을 가장 많이 하고 가장 선호하였다. 선호하는 활동은 성별, 대처전략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많이 하는 활동은 음악전공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활동의 목적에 있어서도 악기연주의 경우 성별,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작곡의 경우는 음악전공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학생들은 대중음악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선호하는 장르도 성별, 음악전공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선호하는 음악요인에 있어서도 멜로디, 소리크기, 가사주제에 대해서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화성과 친숙도는 음악전공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한편, 리듬, 음색, 감상방법에 대해서는 대처 전략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자폐아동의 음악적 선호도와 문제 행동의 연관성 (The musical preference of autistisic children)

  • 강경선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4권1호
    • /
    • pp.47-60
    • /
    • 2007
  • 본 연구는 자폐아동들의 음악적 선호도 그리고 주 행동 성향과 음악적 선호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60명의 자폐아동들의 어머니, 치료사,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조사 하였다. 연구 결과 자폐아동들의 선호 음악 활동은 음악 듣기이며 선호 악기는 건반악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장르별 선호도 조사에서 모든 아동이 언어 장애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사 중심의 음악인 동요와 광고음악에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행동 성향에 따른 음악 선호도 조사에서 과잉행동, 반항적 자폐아동들은 그렇지 않은 그룹의 아동들과 비교할 때 자극적인 음악에 강한 선호도를 보였다.

  • PDF

이완음악감상이 입원한 정신질환자의 기분상태 및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Relaxing Music Appreciation on Mood State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in Hospitalized Mental Illnesses)

  • 김선식;최경윤;최미숙
    • 산업과 과학
    • /
    • 제1권2호
    • /
    • pp.9-16
    • /
    • 2022
  • 본 연구는 이완음악감상이 입원한 정신질환자의 기분상태 및 자율신경계 즉 심박동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험군 17명, 대조군 17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무작위 대조군 전후설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15.0으로 분석하였다. 기분상태와 자율신경계 즉 심박동수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이완음악감상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였다(<.05). 기분상태의 하위 영역 중 분노(>.39)와 혼돈(>.33)을 제외한 긴장(<.00), 우울(<.00), 활력(<.03), 피로(<.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입원한 정신질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방법임을 입증하였다. 향후 장기적인 중재 연구개발 및 적용과 개인의 선호음악을 이용하여 기분변화와 자율신경계에 효과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공간의 청각적 규모감과 음향적 선호도간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arent Auditory Room Size and Acoustic Preference)

  • 정대업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91-196
    • /
    • 2006
  • 인간은 일반적으로 공간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시각에 의존한다. 그러나 청각적 경험이 중시되는 공연공간이나 다수의 음원을 활용하는 멀티미디어 환경 및 자동차의 캐빈 등에서는 시각적으로 큰 차이가 없는 상황에서도 제공되는 청취환경에 의해서 공간의 크기를 다르게 지각하게 된다. 본 연구는, 단일공연장내 상이한 위치에서 청각적으로 지각되는 공간의 규모를 청취실험을 통하여 측정 분석하였으며, 동일위치에서 측정된 건축음향파라메타와의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영향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공연장의 크기에 대한 청각적 인상은 음악적 명료도(clarity)에 의해 크게 좌우되며, 음원과의 거리, SPL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기 다른 4종류의 연주악기를 이용한 음향 선호도 평가결과, 성악을 제외한 오케스트라, 첼로, 플룻의 경우 공간적 규모감이 작은 것을 선호하였다. 반면, 성악의 경우 공간적 규모감과의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고속도로휴게소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음악활용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Use of Music for Job Stress of Employees in Highway Service Areas)

  • 이선정;박혜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39-248
    • /
    • 2019
  • 본 연구는 고속도로휴게소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음악활용을 알아보기 위해 U시와 G도에 소재한 고속도로휴게소 종사자 150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음악활용 25문항, 직무스트레스 24문항, 개인변인 4문항, 총 53문항으로 구성한 1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한 후, 회수한 140부 중 불충분한 6부를 제외한 총 134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고속도로휴게소 종사자는 음악감상을 노래부르기나 악기연주에 비해 선호하였으며, 주로 혼자 집에서 대중음악을 감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활용 목적은 기분전환, 편안함, 즐거움, 해소감, 활력감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고속도로휴게소 종사자의 음악활용은 전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선호 음악 분위기와 음악을 통해 해소감을 얻는 정도가 유의하게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고속도로휴게소 종사자의 요구와 필요에 맞는 효과적인 음악융합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음악 활용 (Use of Music by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in Korea)

  • 신완주;박혜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5권1호
    • /
    • pp.51-68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음악 활용을 살펴보기 위해 B시에 소재한 5개의 4년제 대학에 유학 중인 외국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 활용 현황, 음악 활용 목적, 개인 변인 등 총 25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 150부를 배포한 후 회수된 81부의 설문지 중 불충분한 12부를 제외한 총 69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외국인 유학생은 노래부르기나 악기연주에 비해 음악감상 활동을 선호하였으며 주로 혼자 기숙사에서 대중음악을 감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랑을 주제로 한 음악을 선호하였으며 한국의 음악 보다는 본국의 음악에 대한 활용도가 높았다. 둘째, 음악 활용 목적은 편안함, 기분전환, 즐거움, 소속감, 성취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개인변인(성별, 한국거주기간, 음악교육경험 유무)별 음악 활용에는 전반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한국거주기간에 따른 선호 음악분위기와 음악을 통해 소속감을 얻는 정도가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음악 활용 현황 파악을 통해 이들의 문화적응 및 심리 정서적 지원을 위한 음악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휴대용 카세트 소음의 인간공학적 평가 및 안전대책 (Ergonomic Evaluation and Safety Countermeasures of Personal Cassette Player Noise)

  • 박민용;홍성완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7-55
    • /
    • 1999
  • Recently, noise from personal cassette players (PCP) poses growing concerns together with occupational noise-induced hearing loss. Eighteen male and female volunteer subjects participated to determine preferred noise levels for PCP usage before, during, and after 2-hour subway riding according to sources (types) of PCP listening (language/news, soft music, and hard music). Audiometric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2-hour exposure of PCP noise under subway riding. Statistical analyses showed some significant hearing losses with the greatest loss of more than 6 dB at 4000 Hz for both ears, indicating that serious noise-induced hearing loss would potentially occurred due to prolonged use of PCPs. Practical safety countermeasures against PCP noise are further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