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vention meteorological databas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8초

자연재해 평가를 위한 방재기상 DB 정보 (Prevention Meteorological Database Information for the Assessment of Natural Disaster)

  • 최효진;박종길;정우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315-318
    • /
    • 2007
  •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we needs prevention meteorological database classified into the cause of disaster, damage elements etc. For this, we have analyzed four data, such as Statistical yearbook of calamities issued by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nd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issu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Recently 10 years for natural disaster damage and Statistics Yearbook from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uman affairs. Through the analysis of disaster data, we have selected input variables, such as causes and elements, occurrence frequencies, vulnerable areas of natural disaster, etc. In order to reduce damage from natural disaster, the prevention activities and forecasting based on meteorological parameters and damage datas are requir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cess meteorological information for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Through these procedure, we have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database about natural disasters. This database will be used to assess the natural disasters and build risk model and natural disasters mitigation plan.

  • PDF

자연재해 평가를 위한 방재기상 DB 정보 (Prevention Meteorological Database Information for the Assessment of Natural Disaster)

  • 박종길;정우식;최효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41-49
    • /
    • 2007
  • 자연재해로부터 야기되는 피해를 줄이고 자연재해저감활동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기상정보와 재해자료에 근거한 정확한 예보와 방재활동이 요구된다. 또한 사전방재활동을 위해서는 방재기상정보로의 처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행정자치부에서 발행하는 통계연보와 재해연보, 중앙재해대책본부에서 발행한 최근 10년간 자연재해 피해 현황, 기상청에서 발행한 기상연보를 이용하였다. 이들 4가지 자료를 이용하여 자연재해의 원인과 피해요소, 발생빈도, 취약지역 등을 분석하였는데, 이들 자료는 피해내역과 기상현상에 대한 분류 및 용어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재해의 종류와 피해액을 비교 분석한 결과, 기상재해 원인과 피해 요소, 피해액, 피해지역 등과 같은 재해 변수를 선정하고, 재해연보를 이용하여 database를 구축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database는 앞으로 자연재해 저감계획과 risk model을 개발하고 자연재해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자연재해저감을 위한 한반도 피해 취약성 분석 : 공공시설피해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Korean Peninsula Damages Vulnerabilities for a Natural Disaster Mitigation : Focus on Public Facilities Damages)

  • 박종길;정우식;최효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13-422
    • /
    • 2008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a state of the damages and vulnerable areas from natural disasters in the Korean peninsula using the prevention meteorological database information made by Park(2007b).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amage elements and total property losses, we investigate the damages of public facilities, which have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cause of disasters and want to propose the basic information to set up the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in advance. As a result, because most of the total property losses is the damages of public facilities, we can reduce the damages of natural disasters if we can predict the damages of public facilities or carry out the prevention activities in advance. The most vulnerable area for the natural disasters are Cangwon-do and Gyeongsangnam-do provinces. The vulnerable areas for the damages of public facilities by typhoon are Daegu metropolitan city, Cangwon-do, and Gyeongsangbuk-do provinces. These vulnerable areas will take place more frequently due to the climate change including Gyeongsangnam-do province so that we need to set up the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and natural disaster mitigation plan. Also, we think that it has effect on reducing the damages of natural disasters to predict the damage scale and strongly perform the prevention activities in advance according to typhoon track and intensity.

한반도 영향 태풍의 월별 최대풍 특징과 사례 연구 - 태풍 루사·매미·곤파스·볼라벤을 대상으로 - (Characteristics of Monthly Maximum Wind Speed of Typhoons Affecting the Korean Peninsula - Typhoon RUSA, MAEMI, KOMPASU, and BOLAVEN -)

  • 나하나;정우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41-454
    • /
    • 2019
  •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43 typhoons that affected the Korean Peninsula between 2002 and 2015. The analysis was based on 3-second gust measurements, which is the maximum wind speed relevant for typhoon disaster prevention, using a typhoon disaster prevention model. And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3-second gusts of four typhoons, RUSA, MAEMI, KOMPASU, and BOLAVEN that caused great damage, were also analyzed. The analysis show that between May and October during which typhoons affected the Korean Peninsula, the month with the highest frequency was August(13 times), followed by July and September with 12 occurrences each. Furthermore, the 3-second gust was strongest at 21.2 m/s in September, followed by 19.6 m/s in August. These results show that the Korean Peninsula was most frequently affected by typhoons in August and September, and the 3-second gusts were also the strongest during these two months. Typhoons MAEMI and KOMPASU showed distribution of strong 3-second gusts in the right area of the typhoon path, whereas typhoons RUSA and BOLAVEN showed strong 3-second gusts over the entire Korean Peninsula. Moreover, 3-second gusts amount of the ratio of 0.7 % in case of RUSA, 0.8 % at MAEMI, 3.3 % at KOMPASU, and 21.8 % at BOLAVEN showed as "very strong", based on the typhoon intensity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database was built with the frequencies of the monthly typhoons and 3-second gust data for all typhoons that affected the Korean Peninsula, which could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typhoon disaster prevention system.

MODIS Fire Spot 정보와 5km 기상 재분석 자료를 활용한 접근불능지역의 산불기상위험지수 산출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Fire Weather Index Model in Inaccessible Areas using MOD14 Fire Product and 5km-resolution Meteorological Data)

  • 원명수;장근창;윤석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9-204
    • /
    • 2018
  • 본 연구는 북한 및 비무장지대 등 접근불능지역에 대한 기상에 의한 산불발생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실제 현장과 현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시간 산불위험예보 체계를 개발하는데 있다. 산불기상위험지수 산출 모형 개발을 위해 자료의 취득과 검증을 위한 현장조사가 불가능하다는 연구적 한계가 존재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MODIS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의 산불발화지점(fire spot)을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추정하였다. 추출된 산불발화지점을 대상으로 기상청에서 생산된 과거 기상 재분석자료(5㎞ 해상도)를 활용하여 산불발화지점에 대한 기상특성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접근불능지역의 산불발화지점에서 추출된 기상요소들은 산불발생과 기상요인들과의 통계적 상관성과 산불발생 유무(산불발생 1, 산불 미발생 0)를 추정할 수 있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실시간 기상변화에 의한 산불기상위험지수(Fire Weather Index, FWI)를 개발하였다. FWI 모형의 예측정확도는 66.6%로 나타나 모형의 적합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남 북한의 산불 방지를 위한 정책 입안자들의 의사결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도시 열환경 분석을 위한 공간정보 빅데이터 구축 (Construction of Spatial Information Big Data for Urban Thermal Environment Analysis)

  • 이준호;윤성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5호
    • /
    • pp.53-5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database of Spatial information Bigdata of cities using satellite images and spatial information, and to examine the correlations with the surface temperature. Using architectural structure and usage in building information, DEM and Slope topographical information for constructed with 300 × 300 mesh grids for Busan. The satellite image is used to prepare the Normalized Difference Built-up Index (NDB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Bare Soil Index (BI),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In addition, the building area in the grid was calculated and the building ratio was constructed to build the urban environment DB. In architectural structure,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masonry and concrete structures. On the terrain, nega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DEM and slope. NDBI and BI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NDVI was negatively correlated. The higher the Building ratio, the higher the surface temperature. It was found that the urban environment DB could be used as a basic data for urban environment analysis, and it was possible to quantitatively grasp the impact on the architecture and urban environment by adding local meteorological factors. This resul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urban environment planning and disaster prevention data construction.

전국파랑관측자료 제공시스템 WINK 구축 (Establishment of Wave Information Network of Korea (WINK))

  • 정원무;오상호;류경호;백종대;최일훈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6호
    • /
    • pp.326-336
    • /
    • 2018
  • 항만 및 연안 시설물의 연안방재 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우리나라 연안에서 장기간 연속 관측된 파랑자료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기상청, 국립해양조사원, 해양수산부의 연안파랑 관측자료를 수집하고, 품질관리를 거쳐 제공하는 시스템 WINK가 최근 구축되었다. 이 시스템 구축을 위한 각 기관별 장기파랑 관측자료의 수집 및 선별, 역추산자료의 생성, 선별된 관측자료의 품질관리 방법, 웹 기반 자료제공 시스템 구축 과정의 기술적 내용을 본 논문에 기술하였다.

GIS를 이용한 광역적 산사태 취약성, 가능성, 위험성 평가 기법 적용 (Application of Regional Landslide Susceptibility, Possibility, and Risk Assessment Techniques Using GIS)

  • 이사로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4호
    • /
    • pp.385-394
    • /
    • 2001
  • 우리나라는 매년 여름철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계속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집중호우도 기상이변이 아닌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현실이다. 그리고 연구지역인 울산광역시는 대규모 석유화학단지를 비롯하여 자동차 공장, 조선소 등 대규모 시설물들이 집중되어 있는 지역으로, 따라서 광역적인 산사태 평가 기법을 적용하였다. 산사태 평가를 위해 연구지역의 지형, 지질, 토양, 임상, 토지이용, 기상, 인구, 시설물 등 각종 DB를 수집 및 구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취약성, 가능성, 위험성 순으로 산사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취약성은 강우, 지진 등 산사태를 직접적으로 유발시키는 요인이 발생하였을 때 그 지역이 얼마나 산사태 발생에 취약한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형 DB에서는 경사, 경사방향, 지형곡률 등을, 토양 DB에서는 종류, 모재, 배수, 유효토심 등을, 임상 DB에서는 종류, 경급, 영급, 밀도 등을 그리고 토지이용 등을 중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가능성은 산사태 유발요인을 가정한 후 산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을 나타내며, 취약성 분석 결과에 확률강우량도를 중첩하여 분석하였다. 위험성은 산사태 발생시 인명 및 시설물의 피해 가능성을 나타내며, 가능성 분석 결과에 피해요소인 인구, 시설물 등을 중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산사태 피해 예방을 위한 도시계획 및 토지이용 계획의 기초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