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4초

공동체 단위 수학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함께 만들어가는 수학교사 연수'를 중심으로- (Designing and implemen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of multi-tiered teacher community: Joint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nd PD program developers)

  • 권오남;박정숙;박지현;조형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2호
    • /
    • pp.201-217
    • /
    • 2014
  • This research has an intention of developing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We proposed an alternative mathematics teacher training model based on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community of practice, and reflective practitioner. The developed mathematics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recruited participation unit that was consisted of 3 or 4 teachers in same school and total of 28 teachers from 9 schools. Also, there were 18 mentors to support each school. In this sense, it can be called multi-tired teacher community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Through the program, the teachers improve their teaching competency. Also, the operation ability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was improved. Learning community culture has been formed in each school. It shows ability that the explorative learning community can be operated voluntarily although the program finished. Furthermore, community shared corporate responsibility about open class. They recognize open class as a new method to improve community teaching ability than a tool to evaluate individual teaching ability.

사서 계속교육을 위한 전문가학습공동체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for Continuing Education of Librarians)

  • 강지혜;소병문;정영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181-198
    • /
    • 2024
  • 교수·학습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라 비정형 학습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주도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전문가학습공동체를 사서를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적용해보고자 관련 문헌과 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외의 사서와 타 분야의 전문가학습공동체 7개의 운영 사례를 선정하여 학습공동체 구성, 운영 형식과 방법, 학습 내용, 지원 체계 등을 분석하였다. 문헌 검토와 사례 분석을 종합하여 (가칭)사서학습공동체의 개념을 정의하고, 사서학습공동체 구성 및 운영을 위한 시사점으로 구성의 자발성과 다층위성, 학습공동체 운영 형식의 다양성, 학습 내용의 현장성을 도출하였다. 사서학습공동체의 원활한 운영과 활성화를 위한 지원 체계로는 운영기관의 프로그램 운영의 지속성, 소속기관의 지지와 협조,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활성화를 위한 성과 확산과 환류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초등과학 수업 연구를 위한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교사들의 수업 전문성 변화 양상 (Changes in the Teaching Expertise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an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r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al Research)

  • 김은서;이선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3권1호
    • /
    • pp.185-200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초등과학 수업 연구를 위해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들의 초등과학 수업 전문성의 변화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충북의 한 중소도시에 있는 18학급의 S초등학교에서 2020년 4, 5, 6학년을 맡은 여섯 명의 초등교사들이 학교 내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참여하여 초등과학 수업에 대한 협력적 수업 연구를 7개월 동안 26회에 걸쳐 수행하였다.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운영되는 동안 활동 영상 및 녹음 자료, 연구수업 녹화 영상, 수업 과정 자료, 전문적 학습공동체 성찰 활동 자료 등이 분석을 위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는 자료 처리, 읽기와 메모, 기술, 분류, 해석 그리고 보고 및 시각화 등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되었으며, 수업 전문성 준거 틀에 기반하여 수업 전문성 요소가 추출되었다. 그 결과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동의 초기 단계에서 참여 교사들은 먼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과학 수업에 대한 경험 및 목표에 대해 소통하였고, 소통을 통해 연구질문을 선정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들은 학년별로 공동의 연구수업을 설계하여 수업을 실행하였으며, 이를 동료교사들에게 개방하였다. 이후 수업에 대한 성찰이 진행되었으며, 교사들은 성찰이 거듭될수록 연구질문에 기반한 질적 성찰 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의 참여를 통한 협력적 수업연구 경험은 참여 교사들의 공동체적 학습과 이에 기반한 수업 전문성 신장에 긍정적으로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초등교사의 과학 수업 전문성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교육대학과 부설학교 간 협력에 기반한 과학과 학습공동체 운영 사례와 시사점 (A Case Study o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f Teachers in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 Collaboration of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Its Affiliated Elementary School)

  • 이선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4호
    • /
    • pp.437-451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art of the project to establish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PDS) for teachers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case of runn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PLC) of teachers in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 collaboration of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its affiliated elementary school, in search of learning by participants and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as well as for science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s. Teachers and resear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LC were able to accumulate meaningful experiences through 11 rounds of meetings. It was not easy to secure enough time for meetings, but they were able to boost their self-confidence for science teaching and enhance the quality of lessons through these gatherings. Participating teachers had a chance to share instructional design, planning, strategies and practices, which include cases of guiding free-choice research activities among students, thereby to be motivated for improved science teaching for the future. The researcher participating in this PLC was also able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an elementary school, especially the affiliated school, and identify the reality and difficulties related to science teaching in school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PLC are expected to help improve the quality of science teaching in affiliated elementary school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of the university.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 커뮤니티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eacher Community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 권나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215-22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커뮤니티에 관한 이전 논문들을 살펴봄으로써 수학교육 연구 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교사 커뮤니티들, 예를 들어 스터디 그룹, 비디오 클럽, 일본의 수업 연구 등을 다룬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교사 커뮤니티는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연구되기 시작했고, 실제로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들이 많이 존재한다. 선행 연구들을 통해 우리나라에서도 교사 커뮤니티를 통한 연구가 필요하며 교사 연수 등에 커뮤니티를 활용하는 방안 등을 찾아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 PDF

초등 수학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대학과 초등학교의 학습공동체 사례 연구 (Reporting the Activiti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for Enhancing Elementary Mathematical Teaching Professionalism)

  • 박영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47-61
    • /
    • 201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교육대학교의 교과전문가와 단위학교의 4학년 교사들로 구성된 수학 수업 학습공동체의 활동을 소개하고 그 의미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수학 수업 학습공동체는 학습공동체의 방향 및 내용 설정하기, 우수수업동영상 보고 논평하기, 공동으로 수업 아이디어 도출하고 실천하며 반성하기의 활동을 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학습공동체 구성원의 수업관련 자료 및 모임 기록 등이 이용되었다. 그 결과로 수학 수업 학습공동체는 교사가 일상의 초용 수학 수업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개선점을 찾도록 유도하였으며 수학 수업을 매개로 교과 전문가와 교사, 교사들 간의 수평적 협력 관계가 가능하고 수업전문성 신장의 효과적인 방안임을 보여준다.

수학 교사 학습과 전문성 신장에 관한 소고 (Mathematics teacher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communities)

  • 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43-157
    • /
    • 2003
  • 본 논문은 수학 교사 학습과 전문성 신장에 관한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증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우선 교사 학습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이론적 틀을 검토하고 교사 학습과 관련하여 지식과 교수 관행간의 관계를 조사하며 탐구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효율적인 전문성 신장에 관한 아이디어를 분석한다 이와 같은 이론적 분석에 터해 교사 학습과 이에 관련한 수학교실문화의 변화 과정을 연구하는 프로젝트를 간단히 소개하고 탐구 공동체의 운영, 교사의 관점에서 교수 관행을 기술하는 것, 공동체에서의 교사 학습을 분석하는 것 등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부각되는 문제점에 대해 논의한다.

  • PDF

사서학습공동체 도입 가능성 탐색 및 운영 모델 제안 (Suggesting an Operating Model and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a Librarian Learning Community)

  • 정영미;이은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69-97
    • /
    • 2024
  • 사서의 직무수행 전문성과 미래지향적 역량 개발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사서 전문교육훈련기관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사서학습공동체의 도입 가능성을 검토하고 적절한 운영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과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1) 관련 문헌 검토를 통해 사서학습공동체 개념, 운영 단계, 유형 등 학습공동체 운영에 관한 이론적 논의, 2) 시범 운영을 통한 사서학습공동체 운영 가능성 탐색 및 시사점 도출, 3) 사서학습공동체 운영 모델 및 지원 체계 제안. 본 연구는 시범 운영 과정에서 참여 관찰 및 참가자 의견수렴을 통해 사서학습공동체 운영 모델을 검토하여 시행 초기의 혼란을 최소화하고, 향후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운영 로드맵 및 지원체계를 함께 제시하였다. 향후 여러 해에 걸친 시행과 실증적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서학습공동체 운영 모델을 더욱 정교하게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타분야 전문직 교육훈련을 위한 학습공동체의 초기 운영 모델로도 유용할 것이다.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초등 수학 수업에 관한 사례연구 (Case Study of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s by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mong Teachers)

  • 김정원;방정숙;김상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0권4호
    • /
    • pp.267-286
    • /
    • 2017
  • 본 연구는 한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5명의 2학년 교사들로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수업계획, 실행, 반성 과정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전문적 학습 공동체 활동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수업을 준비하고 수업 실행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하고 반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교사들은 공동 지도안을 재구성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일부 한계점을 드러내기도 하였고, 수업을 반성하는 측면에서는 후속 수업을 위한 의미 있는 비평보다는 소감을 공유하는 수준에 머물기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드러난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긍정적인 측면과 한계점을 통하여 앞으로 교사 공동체 활동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초등학교 수학 수업 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연구 (Reporting the Activities of Learning Community on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

  • 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373-39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대학 연구자 1인과 한 초등학교의 교사 4인으로 구성된 수학 수업 학습공동체의 활동 내용과 과정을 상세하게 보고하였다. 학습공동체의 주요 활동은 학습공동체의 목표 및 내용 설정하기, 수학 수업 함께 논평하기, 학습공동체 활동 되돌아보기 등이다. 본 연구에서 학습공동체의 목표 및 내용 설정은 대학 연구자와 교사들의 합의에 의해 설정되었다. 학습공동체 구성원들은 수학 수업을 함께 보고 논평하는 과정에서 초등학교 수학 수업 실시에서의 난점을 논의하고 수업 아이디어를 공유하였으며, 수학 수업을 보는 안목을 넓히고 수학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한편, 교사들은 학습공동체 활동의 의미로서 수학 수업의 여러 측면에 대해 심층적으로 고민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진 점, 수학 수업 논평을 통해 교사들 사이에 다양한 관점을 확인한 점, 수학 수업에 대해 잘 알아야 수학 수업에 대해 잘 논평할 수 있음을 알게 된 점, 의미있는 상호작용 시간을 가짐으로써 동학년 교사들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게 된 점 등을 지적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