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fessionality of teacher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5초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이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문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an Childcare Teacher's Intrapersonal Intelligence on Childcare of Infant's Right Respects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rofessionality)

  • 전현희;이보영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7-56
    • /
    • 2019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전문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J시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351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 전문성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 간 관계에서 전문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나, 자기성찰지능은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매개변인인 전문성은 자기성찰지능이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력을 증가시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전문성은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을 실행하는데 의미 있는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을 위해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전문성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초등 정보과학영재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s Professionality for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 김광찬;이애정;이재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81-298
    • /
    • 2005
  • 초등정보과학 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뛰어난 영재의 선발, 적합한 교육과정 개발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지 못한다."는 말이 있듯이 초등정보과학 영재교육의 실제를 담당하는 영재교사의 뛰어난 직무수행능력 역시 초등정보과학 영재교육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이런 교사 변인의 중요성을 생각해 볼 때 초등정보과학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이 무엇인지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고 더불어 이러한 전문성을 함양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반드시 필요하다.

  • PDF

New In-service Education Program on Science Experiments to Develop Professionality of Science Teachers

  • Han, Jae-young;Sim, Jae-Ho;Ryu, Sung-Chul;Ihm, Hyuk;Choi, Jung-Hoon;Shin, Young-Joon;Son, Jeong-Woo;Hong, Jun-Euy;Hwang, Book-Kee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768-778
    • /
    • 2008
  •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tudents' growth and development is the teacher. Therefore in-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to develop the professionality is important as well as the selection of new excellence teachers. Our research is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ew education program on science experiments where in-service teachers become the lecturers in the program and provide information that is bound to the context of real lessons. This program is consisted of following 10 steps of work, which was implemented in 5 months: sharing the philosophy of the program, selecting science experiments, first application of the experiments, discussion on the first application, learning how to edit the movie clips of the lesson, second application of the experiments, in depth discussion on the second application, developing the experiment package, giving lecture to other science teachers, and evaluating the program. We describe the process of the program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detail to suggest a mode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program on science experiments and discuss educational implications. This program is characterized by the emphasis of the context closely linked to the real lessons, the problem solving in a real situation, and the collaboration of teachers, professors and science education researcher in a teacher education.

초등 과학 교과 전담 교사제 운영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A Research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Science Subject Exclusive System)

  • 원정애;김영희;백성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1호
    • /
    • pp.56-6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science subject exclusive system. For this study, we developed the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and 43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test. And we used participation observation metho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the exclusive elementary science teacher and the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science classes. After participation observation, we had interviews with exclusiv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 and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ought the science subject exclusive system was very necessary.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ought that the exclusive elementary science teacher had higher professionality about teaching science subject than the homeroom teacher. Then, they expected that the strong points of science subject exclusive system would be some solution to the weak points of homeroom teachers' science classes. We suggested that it must be to enlarge the science subject exclusive system and develope in-service teacher program for the exclusiv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 PDF

과학교사 학습공동체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의 분석 (Analysis of Social Interaction Process in Scienc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 차가현;장신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4호
    • /
    • pp.784-794
    • /
    • 2014
  • In this study, we operated scienc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o enhance professionality of elementary science teachers. 8 participants with various background, which include their science content knowledge, teaching experience and beliefs about teaching, were involved in this study. Bales(1950)'s social interaction process framework was mainly used to understand the members' interaction, focusing particularly on process aspects not on contents aspects. The data analysis shows that the members in the scienc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ried their best to maintain the positive reaction to other members in most occasions in the community meeting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also negative reaction process due to their different ideas and views, causing their emotional conflicts in some social relations and dialogical situations. Nevertheless, the results also imply that the dual reaction processes, which are positive and negative processes, are equally important to facilitate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The educational meanings are discussed in the aspects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제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효과적 운영 방안 (Effective Management Methods of the 7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 김영식;이연숙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4권
    • /
    • pp.157-169
    • /
    • 2003
  •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have a grasp of the problems i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fter making an alternative plans of effective management. those were integrated and analyzed their own relations on the purpose of suggesting alternative plans to foster professionality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order to improve real class of physic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referred to sundry records related with instruction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and also conducted a survey with 10 interviews such as researchers of central government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school commissioners in the ministry's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professors in the university of pre-teacher training, and teachers involved in physical education.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organized to reduce and diversify of the sport contents in various levels. Also, it should instruct students based on physical educational knowledge, and it is made up to know the achievement of goals through evaluation tools and development of rules having propriety and reliability. Such a physical educational curriculum developed from real class should inform continuously throughout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educational organization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network of the school and mass media. So, it makes most people's recognition raise up, and we need discretionary authority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about time allocation of 45 minutes or 50 minutes for variety of lessons. And we need systematic installation such as reorganization of completion field in level of school.

  • PDF

과학 영재교육 교사 연수에서 '교수내용지식'을 활용한 교수 전략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y with Us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for the Gifted Education and Its Application)

  • 최원호;손정우;이봉우;이인호;최정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1호
    • /
    • pp.9-23
    • /
    • 2009
  • This research defined professionality of science teacher from the perspective of PCK. An teaching strategy in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for the gifted education was proposed based on the definition and implemented at an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gifted education in order to explore about the teaching strategy and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ould improve the program.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teaching strategy proposed in this research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crafting activity materials', 'conducting inquiry-based experiment', 'developing rubric for identification of giftedness'. The survey carried out for the participants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showed that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he need for the rubric for gifted identification, developing activity materials for the gifted education in science, and developing the rubric of gifted identification as properties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fur the gifted education. However, the insufficiency of time and opportunities for being fully engaged in such a program made teachers feel lack of self-confidence in developing activity materials for the gifted education in science and rubric for gifted identification. Therefore, teacher training programs reflecting real features of the gifted education should be constantly developed and provid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 PDF

수업개선 관행공동체를 통한 교사의 변화 탐색: 수학 수업관행을 중심으로 (Exploring Teacher Change Through the Community of Practice Focused on Improving Mathematics Teaching)

  • 오영열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251-272
    • /
    • 2006
  • 이 연구는 수학 수업개선에 초점을 맞춘 관행공동체의 형성과 참여를 통해서 교사들의 변화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수업개선 관행공동체를 통해서 교사들은 수학 수업에 관한 다양한 담론과 지식을 공유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수학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다양한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변화를 신념과 수업관행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그 결과 아동들의 수학 학습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신념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수학 수업개선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또한, 수업관행의 변화 측면에서 교사들의 수학 수업이 학습자 중심 경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변화는 설문분석에서뿐만 아니라 실제 수업분석 결과에서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결국 성공적이고 지속가능한 수학 수업의 변화를 위해서는 수업의 변화에 대한 가치 및 수학 교과와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함을 본 연구는 시사한다.

  • PDF

IB 국제학교 구인광고에 담긴 사서교사의 직무 및 역량 분석 (An Analysis of the Teacher Librarian's Duties and Competencies Embedded in the IB International School Job Advertisement)

  • 김은혜;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2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요자인 학교가 교육과정 운영을 위하여 요구하는 사서교사의 직무와 역량 사례를 분석하고, 사서교사의 전문성 향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IB 국제학교가 사서교사를 선발하기 위하여 게시한 20건의 구인광고에 포함된 사서교사의 직무와 역량을 IFLA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IB 국제학교의 사서교사 직무 및 역량은 IB 교육과정 지침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이 지침은 IBO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교육이념과 학습자상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학교가 사서교사에게 가장 많이 기대하는 직무는 도서관 장서관리 및 협동을 통한 교수이며, 이를 위한 주요 역량은 의사소통과 협동능력, 교수-학습·교육과정·교육설계 및 제공 그리고 디지털과 매체활용능력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사서교사의 전문성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교육적 인간상과 학습자 역량에 기반을 두고 있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서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을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첫째,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지침에 학교도서관의 역할 포함하기 둘째, 학교도서관진흥법시행령 개정을 통한 인적자원의 직무 구분하기 셋째, 사서교사 자격 취득을 위한 기본이수 과목 개편 및 교육실습과 사서교사 임용시험에 협동수업 시연 도입하기 등이다.

누리과정 담당교사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유아교사 양성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Drawbacks of Teacher Training System and Improvement Plan for Performance of Nuri-educators)

  • 권은희;성영혜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4호
    • /
    • pp.187-200
    • /
    • 2012
  • 우리나라는 2012년 3월부터 만5세 모든 유아들을 위한 교육과 보육에 대한 국가책임의 강화라는 차원에서 무상으로 교육 및 보육서비스를 통합한 국가수준 공통과정을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적용함으로써 양질의 교육 보육경험을 균등하게 제공한다는 취지에서 '5세 누리과정'을 도입하였고 2013년부터는 3월부터는 3 4세 유아들에게도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누리과정의 성공적인 정착과 효과성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전문적 자질을 구비한 유아교사 양성이 필수이다. 그럼에도 현재 유아교사 양성시스템이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로 이원화되어 있고 자격기준, 명칭, 교육연한, 교육커리큘럼, 양성기관 등도 모두 달라 유아교사의 균등하고 수준 높은 전문성을 향상시키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바람직한 유아교사상의 확립, 둘째, 이원화되어 있는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일원화, 셋째, 이원적인 행정체계의 일원화 및 유아교사의 자격기준 일원화, 넷째, 인간의 삶과 관련된 모든 영역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안목을 갖출 수 있도록 커리큘럼 재조정, 다섯째, 유아교사의 직무영역과 내용 및 기준의 명확화 및 이에 준한 커리큘럼 체계화, 여섯째, 유아교사 양성기준의 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