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morphem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형태소 발음변이를 고려한 음성인식 단위의 성능 (Performance of speech recognition unit considering morphological pronunciation variation)

  • 방정욱;김상훈;권오욱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0권4호
    • /
    • pp.111-119
    • /
    • 2018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improve speech recognition performance by extracting various pronunciations of the pseudo-morpheme unit from an eojeol unit corpus and generating a new recognition unit considering pronunciation variations. In the proposed method, we first align the pronunciation of the eojeol units and the pseudo-morpheme units, and then expand the pronunciation dictionary by extracting the new pronunciations of the pseudo-morpheme units at the pronunciation of the eojeol units. Then, we propose a new recognition unit that relies on pronunciation by tagging the obtained phoneme symbols according to the pseudo-morpheme units. The proposed units and their extended pronunciations are incorporated into the lexicon and language model of the speech recognizer. Experiments for performance evaluation are performed using the Korean speech recognizer with a trigram language model obtained by a 100 million pseudo-morpheme corpus and an acoustic model trained by a multi-genre broadcast speech data of 445 hours. The proposed method is shown to reduce the word error rate relatively by 13.8% in the news-genre evaluation data and by 4.5% in the total evaluation data.

대어휘 음성인식을 위한 의사형태소 분석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 Morphological Analyzer Based on Pseudo-morpheme for Large Vocabulary Speech Recognizing)

  • 양승원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02-108
    • /
    • 1999
  • 교착어인 한국어를 대상으로 대용량의 대화체 어휘를 포함하는 연속 음성을 인식하는 데에는 인식단위를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어절이나 형태소를 사용하는 기존의 음성인식 시스템에서의 난점을 해소하고 새로운 인식단위인 의사형태소를 제안하고, 입력되는 문장을 의사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는 형태소 분석기와 태거를 구현하였다. 의사형태소를 이용한 음성인식/합성은 어절이나 형태소단위의 음성인식/합성에서 보다 개선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해주며, 인식의 출력을 인식의 다음 단계인 언어처리부의 처리단위와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음성언어 번역시스템의 성능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은 일반 형태소를 대상으로 하는 시스템과 동일한 수준의 성능을 보였다.

  • PDF

음성언어 번역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형태소 분석 (A New Morphological Analysis for the Spoke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 양승원;김재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7-22
    • /
    • 1999
  • 음성 처리부와 기계번역부를 통합하는 음성언어 번역 시스템에서는 각 모듈들이 다루는 자료나 처리단위 등이 서로 달라 통합이 어렵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의 효율을 제고하면서 각 모듈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입출력 단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언어 번역 시스템에서 음성 처리 모듈들과 언어번역 모듈과의 인터페이스 단위로서 의사 형태소를 제안하고, 입력되는 문장을 의사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는 형태소 분석기를 구현하였다. 의사형태소를 이용한 음성인식/합성은 어절이나 형태소단위의 음성인식/합성에서 보다 개선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해주며, 전체적인 음성언어 번역시스템의 성능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의사 형태소 분석기의 분석율은 약98.9%로 일반 형태소 분석기와 동일한 수준의 성능을 보였다.

  • PDF

의사 형태소 단위의 음성언어 형태소 해석 (Morphological Analysis of Spoken Korean Based on Pseudo-Morphemes)

  • 이경님;정민화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8년도 제10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96-404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언어학적 단위인 형태소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음성인식 과정에 적합한 분리 기준의 새로운 디코딩 단위인 의사형태소(Pseudo-Morpheme)를 정의 하였다. 이러한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해 새로이 정의된 40개의 품사 태그를 갖는 의사 형태소를 표제어 단위로 삼아 발음사전 생성과 형태소 해석에 초점을 두고 한국어 연속음성 인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 PDF

한국어 방송 뉴스 인식 시스템을 위한 OOV update module (Korean broadcast news transcription system with out-of-vocabulary(OOV) update module)

  • 정의정;윤승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1권 1호
    • /
    • pp.33-36
    • /
    • 2002
  • We implemented a robust Korean broadcast news transcription system for out-of-vocabulary (OOV), tested its performance. The occurrence of OOV words in the input speech is inevitable in large vocabulary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LVCSR). The known vocabulary will never be complete due to the existence of for instance neologisms, proper names, and compounds in some languages. The fixed vocabulary and language model of LVCSR system directly face with these OOV words. Therefore our Broadcast news recognition system has an offline OOV update module of language model and vocabulary to solve OOV problem and selects morpheme-based recognition unit (so called, pseudo-morpheme) for OOV robustness.

  • PDF

자발화에 나타난 형태소 유형에 따른 3-4세 아동의 치경마찰음 오류 (Alveolar Fricative Sound Errors by the Type of Morpheme in the Spontaneous Speech of 3- and 4-Year-Old Children)

  • 김수진;김정미;윤미선;장문수;차재은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4권3호
    • /
    • pp.129-136
    • /
    • 2012
  • Korean alveolar fricatives are late-developing speech sounds. Most previous research on phonemes used individual words or pseudo words to produce sounds, but word-level phonological analysis does not always reflect a child's practical articulation ability. Also, there has been limited research on articulation development looking at speech production by grammatical morphemes despite its importance in Korean language. Therefore, this research examines the articulation development and phonological patterns of the /s/ phoneme in terms of morphological types produced in children's spontaneous conversational speech. The subjects were twenty-two typically developing 3- and 4-year-old Koreans. All children showed normal levels in three screening tests: hearing, vocabulary, and articulation. Spontaneous conversational samples were recorded at the children's hom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rror rates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in all morphological contexts. Also, error percentages within an ag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in lexical morphemes than in grammatical morphemes. The stopping of fricative sounds was the main error pattern in all morphological contexts and reduced as age increased. This research shows that articulation performance can differ significantly by morphological contexts. The present study provides data that can be used to identify the difficult context for articulatory evaluation and therapy of alveolar fricative sounds.

방송 뉴스 인식을 위한 언어 모델 적응 (Language Model Adaptation for Broadcast News Recognition)

  • 김현숙;전형배;김상훈;최준기;윤승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51호
    • /
    • pp.99-115
    • /
    • 2004
  • In this parer, we propose LM adaptation for broadcast news recognition. We collect information of recent articles from the internet on real time, make a recent small size LM, and then interpolate recent LM with a existing LM composed of existing large broadcast news corpus. We performed interpolation experiments to get the best type of articles from recent corpus because collected recent corpus is composed of articles which are related with test set, and which are unrelated. When we made an adapted LM using recent LM with similar articles to test set through Tf-Idf method and existing LM, we got the best result that ERR of pseudo-morpheme based recognition performance has 17.2 % improvement and the number of OOV has reduction from 70 to 27.

  • PDF

의사 형태소 단위의 연속 음성 인식 (Pseudo-Morpheme-Based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 이경님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제15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워크샵(KSCSP 98 15권1호)
    • /
    • pp.309-314
    • /
    • 1998
  • 언어학적 단위인 형태소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음성인식 과정에 적합한 분리 기준의 새로운 디코딩 단위인 의사형태소를 정의하였다. 이러한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해 새로이 정의된 37개의 품사 태그를 갖는 의사 형태소를 표제어 단위로 삼아 발음사전 생성과 형태소 해석에 초점을 두고 한국어 연속음성 인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각 음성신호 구간에 해당되는 의사 형태소가 인식되면 언어모델을 사용하여 구성된 의사 형태소 단위의 상위 5개 문장을 기반으로 시작 시점과 끝 시점, 그리고 확률 값을 가진 의사 형태소 격자를 생성하고, 음성 사전으로부터 태그 정보를 격자에 추가하였다. Tree-trellis 탐색 알고리즘 기반에 의사 형태소 접속정보를 사용하여 음성언어 형태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의사 형태소를 문장의디코딩 단위로 사용하였을 경우, 사전의 크기면에서 어절 기반의 사전 entry 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었으며, 문장 인식률면에서 문자기반 형태소 단위보다 약 20% 이상의 인식률 향상을 얻을 수있었다. 뿐만 아니라 형태소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분석과정 없이 입력값으로 사용되며, 전반적으로 문자을 구성하는 디코딩 수를 안정화 시킬 수 있었다. 이 결과값은 상위레벨 언어처리를 위한 입력?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언어 정보를 이용한 후처리 과정을 거쳐 더 나은 인식률 향상을 꾀할 수 있다.

  • PDF

한국어 연속음성 인식을 위한 발음열 자동 생성 (Automatic Generation of Pronunciation Variants for Korean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 이경님;전재훈;정민화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5-43
    • /
    • 2001
  • 음성 인식이나 음성 합성시 필요한 발음열을 수작업으로 작성할 경우 작성자의 음운변화 현상에 대한 전문적 언어지식을 비롯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며 일관성을 유지하기도 쉽지 않다. 또한 한국어의 음운 변화 현상은 단일 형태소의 내부와 복합어에서 결합된 형태소의 경계점, 여러 형태소가 결합해서 한 어절을 이룰 경우 그 어절 내부의 형태소의 경계점, 여러 어절이 한 어절을 이룰 때 구성 어절의 경계점에서 서로 다른 적용 양상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형태음운론적 분석에 기반하여 문자열을 자동으로 발음열로 변환하는 발음 생성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시스템은 한국어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음운변화 현상의 분석을 통해 정의된 음소 변동 규칙과 변이음 규칙을 다단계로 적용하여 가능한 모든 발음열을 생성한다. 각 음운변화 규칙을 포함하는 대표적인 언절 리스트를 이용하여 구성된 시스템의 안정성을 검증하였고, 발음사전 구성과 학습용 발음열의 유용성을 인식 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제어 사이의 음운변화 현상을 반영한 발음사전의 경우 5-6% 정도 나은 단어 인식률을 얻었으며, 생성된 발음열을 학습에 사용한 경우에서도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