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rophillic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호냉성 해양세균 Shewanella sp. L93로부터 Eicosapentaenoic Acid 생산 및 정제를 위한 최적화 조건 (Optimal Condition for Eicosapentaenoic Acid Production and Purification from Psychrophillic Marine Baterium Shewanella sp. L93)

  • 모상준;홍혜원;방지헌;조기웅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8-223
    • /
    • 2011
  • Eicosapentaenoic acid 생산 세균을 얻기 위해 1999~2000년 하계연구 기간 중에 남극 생물 및 침적토를 사용하여 600주의 균주를 분리하였고 TLC와 GC를 사용하여 오메가-3 고도불포화 지방산 EPA를 생산하는 미생물 7 주를 성공적으로 분리하였으며, 이중 EPA 생산이 가장 높은 L93 균주를 선발하였다. 16S rDNA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Shewanella 속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에 분리된 균주를 Shewanella sp. L93라 명명하였다. EPA를 생산 최적 배양온도 $4^{\circ}C$이며, 초기 pH 7에서 최적 EPA 함량을 보였다. 아울러 염 농도는 50 %(w/v)에서 생산이 최대였다. EPA 최적 생산 조건을 이용하여 리터당 320 mg 생산할 수 있는 생산 시스템을 확립하였다. Urea 침전법과 HPLC을 이용하여 수율 72% 이상의 97% 순도를 가진 EPA를 정제할 수 있는 분리 정제 시스템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하였다.

Bioactive Cyclic Dipeptides from a Marine Sponge-Associated Bacterium, Psychrobacter sp.

  • Li, Huayue;Lee, Byung-Cheol;Kim, Tae-Sung;Bae, Kyung-Sook;Hong, Jong-Ki;Choi, Sang-Ho;Bao, Baoquan;Jung, Jee-Hy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6권4호
    • /
    • pp.356-363
    • /
    • 2008
  • A bacterial strain with goo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Staphyloco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was isolated from a marine sponge Stelleta sp., and it was identified as a Psychrobacter sp. by comparative 16S rDNA sequence analysis. In our search for bioactive secondary metabolites from this psychrophillic and halotolerent bacterium, sixteen cyclic dipeptides (1-16) were isolated and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NMR analysis. In the test of the compounds for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Vibrio vulnificusinduced cytotoxicity in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cyclo-(L-Pro-L-Phe) (5) exhibited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 Compounds 2, 6, and 11, which contain D-amino acid, were first isolated from bacteria.

당류(糖類)의 첨가(添加)가 육(肉)의 세균성(細菌性) 부패(腐敗)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ugars on the Bacterial Spoilage of Ground Meat)

  • 김언현;김창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17-223
    • /
    • 1979
  • 육(肉)에 대한 당류의 첨가가 육의 저온성 미생물에 의한 부패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 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Glucose를 농도별로 우육(牛肉)에 첨가 하였을 경우 첨가육의 최저 pH치는 2 %가 5.25, 5%가 5.15 그리고 10%가 4.5로 저하 되었으며 돈육(豚肉)의 경우는 2%가 5.1, 5%가 4.45, 10%가 4.1로 저하 되었다. 2% glucose 첨가 우육(牛肉)을 $5^{\circ}C$에서 9일간 저장한 후의 각종 미생물의 생육(生育)은 시료 1g당, 총 호기성 균수의 경우 비첨가육이 $8.3{\times}10^9$(돈육(豚肉), $1.2{\times}10^{10}$)인데 비해 2% 첨가육은 $6.0{\times}10^7$(돈육(豚肉), $7.8{\times}10^8$)이었고, 대장균군수의 경우 비첨가육이 $3.5{\times}10^5$(돈육(豚肉), $3.4{\times}10^4$)인데 비해 2 % 첨가육은 $2.4{\times}10^3$(돈육(豚肉), $3.1{\times}10^4$이었으며 유산 생성 균수는 비첨가육이 $5.8{\times}10^7$(돈육(豚肉), $5.5{\times}10^7$)인데 비해 2 % 첨가육은 $4.7{\times}10^6$(돈육(豚肉), $4.5{\times}10^8$)이었다. 그러나 유산 간균의 경우 비첨가육이 $3.6{\times}10^5$(돈육(豚肉),$3.3{\times}10^5$)인데 비해 2 % 첨가육은 $4.2{\times}10^6$(돈육(豚肉), $3.7{\times}10^5$)으로 2% 첨가육에서 오히려 높았으나 세균성 변질은 일어나지 않았다. 우육에 첨가된 glucose는 2 %의 경우 12일(돈육(豚肉),9일), 5%의 경우 16일(돈육(豚肉)도 동일(同一)), 10%의 경우 28일(돈육(豚肉), 30일이상)만에 완전히 소모(消耗)되었으며 glucose가 고갈(枯渴)된 이후 각 첨가육들의 pH는 상승하기 시작하였다. Glucose를 우육(牛肉)에 첨가하였을 때 냉장 온도$(5^{\circ}C)$에서 육(肉)의 평균 보존 일수는 비첨가육 보다 2 % 첨가육이 7일 (돈육(豚肉), 8일), 5% 첨가육이 9일(돈육(豚肉), 10일) 그리고 10% 첨가육은 12일(돈육(豚肉)도 동일(同一))까지 연장 가능하였다. 2당류인 maltose, lactose, saccharose를 첨가 하였을 경우 pH의 저하 효과는 있었으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산패 경향이 높았으며 보존 기간 연장을 위한 효과는 단당류인 glucose에 미치지 못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