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trefaction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3초

두부 부패에 관여하는 주요 미생물 동정 (Identification of Putrefactive Bacteria Related to Soybean Curd)

  • 신동화;김문숙;배경숙;고영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9-30
    • /
    • 1992
  • 시판 두부를 $20{\sim}25^{\circ}C$에 방치하여 부패를 유발시킨 후 이 부패두부로부터 주요 관여 미생물 3균주를 순수분리, 부패성을 확인한 후 동정한 결과 Acinetobacter calcoaceticus var. anitrat(97.9%)와 Klebsiella pneumoniae subgroup pneumoniae(99.0%)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한 균주는 Acinetobacter calcoaceticus var. anitrat와 동일한 특성을 보유하며 점액성을 지닌 균주로 확인되었다.

  • PDF

초산 및 말레산을 이용한 생마 신선편이 갈변억제 및 생마 저온부패균의 제어 (Inhibition of Browning in Yam Fresh-cut and Control of Yam-putrefactive Bacterium Using Acetic Acid or Maleic Acid.)

  • 류희영;권인숙;박상조;이봉호;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5-141
    • /
    • 2007
  • 생마의 이용성과 저장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유기산을 처리한 생마 신선편이 제품을 제조하였다. 저온 부패미생물의 초기오염이 없는 생마 신선편이의 경우, 1% 농도의 초산, 구연산, 말레산 및 아스코르빈산을 각각 처리한 후 $4^{\circ}C$에서 14일간 저장한 경우, 구연산 및 아스코르빈산 처리구에서는 갈변 및 부패가 유의적으로 진행되었으나, 초산 및 말레산 처리구에서 우수한 갈변 및 부패 억제 활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억제활성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NaOCl(100 ppm), 과산화수소수(100 ppm) 및 1종 세척제(L사, 한국)처리보다 우수하였으며, 특히 초기 부패미생물이 $10^5\;CFU/g-yam$ 이상 오염된 신선편이의 경우에도 초산 및 말레산은 강력한 부패억제 및 갈변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생마의 저온 부패미생물(Pseudomonas rhodesiae YAM-12 및 P. cepacia YAM-10)을 대상으로 초산 및 말레산의 최소처리농도를 조사한 결과 $4^{\circ}C$에서는 0.1% 처리로 우수한 항균력이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실제 오염되지 않은 신선편이의 경우 0.1% 처리로 유의적인 갈변 및 부패현상 없이 14일간 저온저장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기 저온 부패미생물의 오염이 심각하지 않은 신선편이의 경우에는, 0.1% 초산 및 말레산 처리로 $4^{\circ}C$에서 14일 장기저장이 가능함을 나타내며, 적절한 진공포장 등이 병행된다면 생마 및 근채류 신선편이 농산물의 장기간 저온 유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초분, 한국 이중장제의 분석심리학적 고찰 : 부패와 뼈로의 환원을 중심으로 (CHOBUN, Understanding the Double Burial Custom in Korea from a Jungian Perspective : Focusing on Putrefaction and Reduction to Bones)

  • 조자현
    • 심성연구
    • /
    • 제31권2호
    • /
    • pp.113-150
    • /
    • 2016
  • 초분은 살이 다 썩어 없어질 때까지 관에 넣은 시신을 짚으로 싸두는 초가 형태의 임시 무덤을 말한다. 모든 살이 다 없어지고 나면, 초분은 해체되고, 뼈만 추려 다시 묻는다. 이러한 방식의 초분은 따라서 처음 시신의 살을 처리하기 위한 임시 매장과 이후 남은 부분(뼈나 재)을 영구히 매장 하는 이중장제에 속한다. 초분은 사람이 잘 가지 않고, 집에서도 떨어져 있지만, 유족이 가서 돌볼 수 있는 곳을 택해 만들어지는데, 심리학적으로 이것은 지속적인 관심을 쏟을 수 있으면서도 고요히 격리될 수 있는 곳, 다시 말해 심리적인 재생이 일어나는 장소이다. 초분을 두는 기간, 일차장의 기간을 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점은 뼈만 남길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기간이 얼마나 되는지, 그리하여 초분을 해체하였을 때 완전한 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지와 관련된 것이다. 여기서 초분이 부패와 뼈로의 환원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패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은 연금술 문헌에서 보듯 동시에 일어난다. 부패의 최종 목적은 육신을 영적 상태로 만들고, 그리하여 죽은 자를 다른 삶으로 들어갈 수 있게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아주 불안정한 상태에서, 부패를 견뎌내고, 썩는 냄새가 모두 사라지는 것을 기다려야 한다. 썩히는 것은 그리하여 육화된 세계, 몸을 용해시켜 없애고, 그 핵심, 열매만을 남기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부패의 과정은 자기 스스로의 오염되고 끔찍한 측면을 받아들이는 태도이며, 무력하고 수동적인 자세를 취함으로써, 새로운 생명이 오게하는 것이다. 원형적인 세계, 무의식은 우리가 접근하려 할 때, 종종 위협적이고 공격적인, 더러운 무엇으로 경험된다. 개성화 과정에서, 우리가 우리 정신의 이 끔찍하고 오염된 부분들을 볼 수 있는 용기를 낼 때만이, 무의식은 우리에게 새로운 영적 각성과 새로운 삶의 감각이라는 축복을 주는데, 이것이 부패가 의미하는 것이다. 뼈와 골격은 생명의 부술 수 없는, 소멸되지 않는 본질적인 요소를 상징한다. 뼈는 재생을 위한 최소 단위이자, 재생의 바탕이 되며, 여기서 새로운 생명이 자라나게 된다. 뼈의 상태로 환원은 생명의 바로 그 원천으로 돌아감을, 자궁으로 다시 들어가 심리적으로 자신의 자아중심성을 버리고, 자기가 개성화의 전 과정을 이끌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앞으로의 발달을 위해, 골격 상태로의 환원의 어려운 과정을 겪는 것은, 자아의 죽음의 선언이며, 그 목적은 자신을 썩기 쉽고 덧없는 살과 피, 육신에서 해방시키고, 전체로서의 영적인 갱신, 생명의 불멸의 요소를 얻기 위함이다. 초분은 또한 식물의 순환에서 해마다 보이는 부패와 생명의 부활을 보여준다. 초분에서는 이러한 식물의 순환의 상징이 다른 일반적인 한국 전통 상장례에서보다 명확하고 강하게 드러나는데, 죽음에도 살아남는 생명의 부분을 식물의 상징을 통해 경험하게 한다. 초분과 관련된 식물은 죽음 후의 생명의 지속성, 심리적으로 말해, 자기의 존재를 말한다. 초분에서 드러나는 풍부한 식물의 이미지들은, 모든 것이 사라진 죽음의 상태 너머에 존재하는 생명의 존재와 관련되어 있으며, 심리학적으로 우리의 삶에 정신에 끝없는 에너지를 공급하는 영원히 존재하며 의식을 다시 태어나게 하고 새롭게 하는 자기의 존재를 이야기한다.

공기치환기능이 강화된 콩나물 재배통 개발 (Development of the Soybean Sprouting Bucket with Enhanced Air Circulation Function)

  • 김중만;황호선;전예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95-699
    • /
    • 2003
  • 본 연구는 기존의 콩나물 재배통이 가지는 재배 중 발생하는 재배통 중심부의 고온과 탄산가스 수준의 증가로 인한 부패현상과 생육저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원리적으로는 콩나물 재배통 내의 공기와 재배실과의 공기치환이 보다 원활히 일어나도록 한 것으로, 콩나물 재배통을 재배통과 콩나물 받침그릇으로 구성하였는데 재배통의 바닥에는 직경 10 mm, 높이 2 mm인 배수구 겸 물 고임 턱 다섯 개를 두었고 재배통 벽에는 폭 0.5cm, 길이 10 cm의 홈을 두었다. 재배통 속에 넣어 사용하는 콩나물 받침그릇에는 바닥에 배수구가 592개 형성되고 그 바닥 중앙에 직경 2 mm인 구멍 36개가 형성된 공기 치환파이프를 부착하여 콩나물 받침 그릇으로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성한 개량콩나물 재배통은 25$\pm$1$^{\circ}C$에서 재배한 결과 기존 재배통보다 재배기간 동안 재배통 내의 탄산가스 수준과 온도가 낮았고, 그 결과 부패율은 낮고 성장 정도는 높은 결과를 얻었다.

한국산 Penicillium expansum Link의 분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solation of Penicillium expansum Link of Apple)

  • 이지열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5권2호
    • /
    • pp.20-23
    • /
    • 1972
  • The isolations of fungi were observed, the isolations which were of rotting apples, pears, pine-seeds and dates cultivated in Korea, while they were living upon them. As a result of such observation. Penicillium sp. which rotted apples and pears could be isolated from the apples and pears. When the Penicillium sp. was inoculated into some fresh apples and pears, they were all rotted away. This fungus was identified as Penicillium expansum. Some fresh apples and pears inoculated with a mass of mycelium and conidia of P. janthinellun or some others inoculated with those of P. frequentans were not rotted. Though the P. expansum has been known to us a destructive not of pomaceous fruits, this fungus strain also caused the putrefaction of pears. It was found that P. expansum could be properly grown up at the temperature of $25^{\circ}C$ and pH 3~5 of media.

  • PDF

클로버 오일을 이용한 생마 저온부패균의 제어 및 기능성 생마 신선편이의 제조 (Control of Yam-Putrefactive Psychrotrophic Bacterium Using Clove Oil and Preparation of Functional Fresh-Cut)

  • 류희영;박상조;이봉호;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6-72
    • /
    • 2007
  • 생마의 저장성 및 접근성 강화에 따른 소비증대 및 유통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생마 저온부패균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천연물을 선별하였다. 저온$(4^{\circ}C)$ 및 상온$(30^{\circ}C)$ 부패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Pseudomonas rhodesiae YAM-12 에 대해 다양한 자생 및 약용식물 추출물 800여종의 항균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클로버 오일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생마 신선편이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건전생마 신선편이에 1%클로버 오일을 3분간 침지하여, $4^{\circ}C$에서 31일간 저장한 경우, 색차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미생물의 증식 또한 완전히 억제되었다. 한편 P. rhodesiae YAM-12를 인위적으로 오염시키고(초기농도 $10^3$ CFU/g), $4^{\circ}C$에서 14일간 저장한 경우에도, 1%클로버 오일의 처리는 색차 변화를 최소화하며, 미생물증식을 $10^4$ CFU/g로 억제하였다. 반면 무처리, 멸균수 및 NaOCl 처리의 경우에는 심각한 부패와 함께 색차변화로 상품성을 상실하였다. 클로버 오일의 항균, 항산화, 항혈전 활성과 향신료로 사용되어온 점을 고려할 때, 클로버 오일을 처리한 생마 신선편이는 별도의 화학 방부제 처리 없이 생마의 유통안전성 향상 및 부패억제, 기능성 및 향미부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acillus cereus ASK 202의 $\beta-Agarase$가 생산한 한천올리고당의 항균 효과 (Antibacterial Activity of Agarooligosaccharides Produced by $\beta-Agarase$ from Baciffus cereus ASK 202)

  • 홍정화;이재진;최희선;허성호;공재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77-281
    • /
    • 2000
  • 한천은 비교적 풍부한 수산자원의 하나이나 그 가공 수준은 매우 미약하여 상당수가 폐기되고 있다. 한천의 이용률과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한천올리고당의 미생물학적 활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식품 부패 및 식중독균에 대한 억제 효과는 0.4% 한천올리고당은 첨가한 경우 포노상구균과 대장균 O157:H7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한천올리고당은 pH의 변화에 매우 안정하여 pH는 항균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가압멸균할 경우 항균효과가 현저히 증가함을 보였다 한천올리고당의 가공 적성을 알아본 결과 아미노산 중 alanine, lysine, glycine, phenylalanine을 혼합하면 항균 활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천올리고당이 주요 장내 세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arooligosaccharides on the Growth of Intestinal Bacteria)

  • 홍정화;이재진;허성호;최희선;공재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15
    • /
    • 2001
  • 한천은 국내의 풍부한 수산자원 중의 하나이나, 그 자체로만 이용할 뿐 가공을 통한 이용률은 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한천의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장내 균총 중의 유해균과 유익균에 대한 한천 올리고당의 증식저해 및 증진효과를 알아보았다. 장내 균총 중 유해균으로 Clostridium perfringens를 유익균으로 Bifidobacterium infantis를 대표군으로 하여 한천 올리고당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한천 올리고당을 0.2% 첨가한 경우 B. infantis은 증식이 현저하게 상승한 반면 Cl. perfringens는 효과가 없었다. 또한 pH 및 NaCl의 농도에 따라 한천 올리고당이 장내 균총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어, B. infantis은 pH 4.5 이상과 염 농도 1%이내에서 증진된 반면 Cl. perfringens은 염농도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이들을 혼합하여 배양한 결과 B. infantis의 증식이 증가함에 따라 Cl. perfringens의 증식은 현저히 억제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 PDF

콩나물의 품질에 미치는 오존처리 효과 2. 콩의 수침중 오존처리의 최적화 (Effect of Ozone Treatment on the Quality of Soybean Sprouts 2. Optimum Conditions of Ozone Treatment during Soaking of Soybean for Quality Enhancement of Soybean Sprouts)

  • 김일두;박미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77-185
    • /
    • 1998
  • For the purpose of enhanceing soybean-sprouts quality, the optimum conditions for ozone treatment of soybean during soaking before cultivation at 18~2$0^{\circ}C$ were evaluated with ozone concentration, treatment time and treatment frequency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Germination rates of cleaned soybean by ozone water in the conditions of solubilized-ozone concentrations of 0.15 to 0.35ppm, ozone-treatment frequency of 1.5 to 2.3 times and ozone-treatment time of 30 to 36min. increased 18.8 to 24.0% for the control products. And, length of hypocotyl in conditions of 0.12 to 0.33ppm, 1.7 to 2.7 times and 45 to 90min. were also increased by 69.36 to 79.40%. On the other hand, weight of roots with ozone treatment were decreased in the conditions of solubilized ozone concentrations of 0.1 to 0.2ppm and ozone-treatment time of 30 to 57min. But, ozone-treatment frequency did not affected root growth. Putrefaction rates of the control were 5 to 15%, but those of ozone-treated samples during cultivation did not show. The overall optimum conditions for above 16% germination rates, above 9% hypocotyl yields compared to the control samples and below 98% of the control root weight were solubilized-ozone concentrations of 0.25 to 0.30ppm, ozone-treatment time of 43 to 49min. and ozone-treatment frequency of one ti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