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rtz sand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 of quartz powder, quartz sand and water curing regimes on mechanical properties of UHPC using response surface modelling

  • Mosaberpanah, Mohammad A.;Eren, Ozgur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5권5호
    • /
    • pp.481-492
    • /
    • 2017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quartz powder (Qp), quartz sand (Qs), and different water curing temperature on mechanical properties including 7, 14, 28-day compressive strength and 28-day splitting tensile strength of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and also fi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variables on mechanical properties of UHPC.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monitored to show the influences of variables and their interactions on mechanical properties of UHPC, then, mathematical models in terms of coded variables were established by ANOVA. The offered models are valid for the variables between: quartz powder 0 to 20% of cement substitution by cement weight, quartz sand 0 to 50% of aggregate substitution by crushed limestone weight, and water curing temperature 25 to $95^{\circ}C$.

인산염의 존재 하에서 Escherichia coli의 석영 및 철피복 모래에의 부착 (Adhesion of Escherichia coli to Quartz and Iron-coated Sands in the Presence of Phosphate)

  • 박성직;이창구;김현정;한용운;김성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16-620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다공성 여재에서 인산염이 Escherichia coli의 부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석영모래와 철피복 모래에서 박테리아 부착에 대한 인산염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칼럼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석영모래에서 인산염의 농도가 0에서 16 mg/L로 증가함에 따라 박테리아의 질량 회수율은 74.5에서 35.4%로 감소하였다. 이는 석영모래에서 인산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박테리아의 부착이 향상됨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현상은 이온강도의 증가 때문이다. 반면, 철피복 모래에서는 인산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질량 회수율이 2.9에서 26.0%로 증가하였다. 이는 인산염에 의한 호의적 흡착지역 선점과 박테리아와의 경쟁적인 흡착으로 인하여, 인산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철피복 모래에서 박테리아의 부착이 감소함을 나타낸다.

수도(水稻)에 대(對)한 합성규산물질(合成珪酸物質)의 효과(效果) (Effect of The Fused Siliceous Materials on Rice Plant)

  • 이윤환;한기학;임선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3호
    • /
    • pp.183-189
    • /
    • 1971
  • 규산재료(珪酸材料)인 강사(江砂) 및 석영(石英)과 농용(農用) 소석회(消石灰)의 혼합(混合) 용융물(溶融物)에 대(對)한 규산질(珪酸質) 비료(肥料)로써의 효과(效果)를 구명(究明)코져 유효규산함량(有效珪酸含量)이 낮은 답토괴(畓土壞)에서 수도(水稻)에 대(對)해서 천연(天然) 규회석(珪灰石)을 대조(對照)로 시비처리(施肥處理)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 1. 모래용융물(溶融物)이 석영용융물(石英溶融物)에 비(比)하여 N/2 염산가용규산함량(鹽酸可溶珪酸含量)이 높고 2% 구연산 가용규산함량(可溶珪酸含量)은 석영용융물(石英溶融物)이 모래용융물(溶融物)보다 높았다. 2. 벼의 규산흡수량(珪酸吸收量)은 석영용융물(石英溶融物)에서 가장 크고 모래용융물(溶融物)과 규회석(珪灰石)은 거의 같았으며 이용율(利用率)은 천연(天然) 규회석(珪灰石)이 가장 높고 석영용융물구(石英溶融物區)가 모래용융물구(溶融物區)보다 높았다. 3. 정조수량(正租收量)은 규산물질(珪酸物質)의 시용(施用)으로 수량구성요소중(收量構成要素中) 수당입수(穗當粒數), 등숙률(登熟率) 및 천입중(千粒重)의 증가(增加)로 증수(增收)되었으며 공시재료중(供試材料中) 석영용융구(石英溶融區)에서 가장 크게 증수(增收)하였으며 대조구(對照區)${\fallingdotseq}$모래용융물(溶融物) 100kg/10a<천연규회석(天然珪灰石)${\fallingdotseq}$모래용융물(溶融物) 300kg/10a${\fallingdotseq}$석영용융물(石英溶融物) 100kg/10a<모래용융물(溶融物) 500kg/10a${\fallingdotseq}$석영용융물(石英溶融物) 300kg/10a<석영용융물(石英溶融物) 500kg/10a의 순서(順序)이었다.

  • PDF

Laboratory Tests of Chromium-51 Complexes for teak Detection in Pipes Carrying A Liquid Flow

  • Kim, You-Sun;Lee, Byung-Hy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231-237
    • /
    • 1974
  • 유동액체를 수송하는 도관 또는 폐용기의 누설의 탐지 및 위치한정을 위하여 $^{51}$ Cr-EDTA및 $^{51}$ Cr-DTPA를 합성하고 Column Experiment 그리고 PH를 변화시켜 Batch equilibrium Experiment를 하였다. Column Experiment에서 $^{51}$ Cr-EDTA의 회수율은 Quartz sand에서 100%, Steel sawdust에서 80.9% 그리고 $^{51}$ Cr-DTPA는 Quartz sand에서 77.4%, Steel sawdust에서 6.4%이다. Recovery curve는 Steel sawdust $^{51}$ Cr-DTPA system에서 예외로 일정한 Plateau 를 표시하지 않는다. Batch Equilibrium Experiment에서 분배계수 Kd와 pH와의 관계를 Quartz asand, Montmorillonite, steel sawdust 그리고 Mixed Cement Raw Material둥을 매질로 하여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51}$ Cr-EDTA에 대한 Kd값이 $^{51}$ Cr DTPA에 대한 그것보다 낮다. $^{51}$ Cr-EDTA에 대한 Kd값이 pH 6.0, 7.0, 그리고 8.0에서 거의 0이 된다.

  • PDF

복모드 대륙붕 퇴적물의 퇴적환경 연구: 한반도 남해대륙붕 (Sedimentary Environment of Bimodal Shelf Sediments: Southern continental shelf of Korean Peninsula)

  • 방효기;민건홍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2
    • /
    • 1995
  • 한반도 남해 대륙붕의 표층퇴적물 216개에 대한 모드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심 7 0~100 m에 분포하는 사니질 또는 니사질 혼합퇴적물은 복모드형(모래요소와 뺄요소) 을 나타낸다. 분리한 요소의 조직변수들은 현재 천해저 퇴적물에서 이미 인정된 입도 조직변수간의 상관관계와 잘 일치한다. 복모드형 가운데 모래요소의 특징은 다음과 같 다: (1) 모래요소의 평균입도, 분급도, 패각편 함량 분포는 등수심선과 유청사한 방향 으로 반복성을 보인다. (2) 모래요소는 다량의 패각편, 약간의 잔자갈과 산화된 석영 (iron-stained quartz)을 포함하는 중립 또는 세립다(Mz, 1-3$\psi$)로 구성되어 있다. (3) 석영 (quartz)입자의 표면에는 높은 에너지 환경에서 형성된 조가비 모양 (conchoidal breakage feature), "V"자형구조(V-shaped feature)가 잘 발달하고 있다. (4) CM-pattern에서 뺄요소는 uniform suspension 구간에 도시되었다. 이러한 특징들 은 섬진강으로부터 기원된 세립질 부유퇴적물이 대부분 단모드 뺄형분포해역에 퇴적되 었으며, 더욱 세립한 뺄요소가 외해로 이동되고, 해안전면퇴적물의 특징을 보이는 모 래 요소와 혼합된 것임을 지시한다.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퇴적환경 변화는 대륙붕퇴 적물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입도분포는 환경변화를 반응하고 있다, 복모드는 보이 는 대륙붕퇴적물의 퇴적환경 규명은 모드를 분리하고 각 모드의 환경을 추적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얻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Quartz에서 cristobalite로의 전이에 미치는 미량성분의 영향 (Effects of impurities on transformation of quartz to cristobalite)

  • Jin Kim;Jeong-Hoon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315-324
    • /
    • 1994
  • 고순도 규사 원료를 열처리하는 경우, 불순물로 포함되어 있는 미량성분이 quartz의 전이과정에 미치는 영향 및 전이 경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미량성분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규사 중의 미량성분 함량이 많아지면 cristobalite 생성량은 많아지며, quartz의 소멸온도 및 cristobalite의 생성온도는 낮아졌다. quartz의 전이경로를 조사한 결과 quartz $\rightarrow$ 천이비정질상 $\rightarrow$ melt (T) 및 quartz $\rightarrow$ 천이비정질상 $\rightarrow$ cristobalite $\rightarrow$ melt (C)의 경로가 항상 공존하며, 미량성분이 적은 경우는 T 경로가 우세하지만, 미량성분이 많은 경우는 C 경로가 우세한 것으로 규명되었다. 또한 XRD를 이용한 결정질 함량의 분석 결과로 부터 계산한 밀도와 pycnometer로 측정한 밀도를 비교한 결과 서로 일치하였다. 규사를 용융하여 석영유리를 제조하는 경우,특정온도에서 규사의 팽창 정도를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석영 및 철피복 모래에서 박테리아 부착.탈착: 이온강도의 영향 (Adhesion and Release of Bacteria in Quartz and Iron-coated Sands: Effect of Ionic Strength)

  • 이창구;박성직;김현정;한용운;박정안;김성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87-29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칼럼실험을 이용하여 석영모래와 철피복 모래에서 박테리아(Escherichia coli, Bacillus subtilis, 그리고 Staphylococcus aureus)의 부착 및 탈착에 미치는 이온강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철피복 모래에서는 이온강도가 1 mM에서 100 mM로 증가함에 따라 질량회수율이 일정(E. coli = 13.7${\pm}$0.5%, B. subtilis = 9.8${\pm}$1.3%, S. aureus = 13.0${\pm}$2.1%)한 반면, 석영모래에서는 80.7%에서 45.3%로 감소하였다(S. aureus). 용출용액의 이온강도가 100 mM에서 0.1 mM로 감소함에 따라, 석영모래에서는 평균 39.1%의 박테리아 탈착이 일어났지만, 철피복 모래에서는 탈착이 관찰되지 않았다. 철피복 모래에서 관찰된 이러한 현상은 박테리아와 철피복 모래사이의 inner-sphere complexes(이온강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에 의한 결합 때문이다. 본 연구는 박테리아와 표면변형 다공성 여재의 상호작용에 대한 지식을 증진시킨다.

Humic Acid Removal from Water by Iron-coated Sand: A Column Experiment

  • Kim, Hyon-Chong;Park, Seong-Jik;Lee, Chang-Gu;Han, Yong-Un;Park, Jeong-Ann;Kim, Song-Bae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4권1호
    • /
    • pp.41-47
    • /
    • 2009
  • Column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humic acid adhesion to iron oxide-coated sand (ICS) under different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ing influent humic acid concentration, flow rate, solution pH, and ionic strength/composition. Breakthrough curves of humic acid were obtained by monitoring effluents, and then column capacity for humic acid adsorption ($C_cap$), total adsorption percent (R), and mass of humic acid adsorbed per unit mass of filter media ($q_a$) were quantified from these curves. Results showed that humic acid adhesion was about seven times higher in ICS than in quartz sand at given experimental conditions. This indicates that humic acid removal can be enhanced through the surface charge modification of quartz sand with iron oxide coating. The adhesion of humic acid in ICS was influenced by influent humic acid concentration. $C_cap$ and $q_a$ increased while R decreased with increasing influent humic acid concentration in ICS column. However, the influence of flow rate was not eminent in our experimental conditions. The humic acid adhesion was enhanced with increasing salt concentration of solution. $C_cap$, $q_a$ and R increased in ICS column with increasing salt concentration. On the adhesion of humic acid, the impact of CaCl2 was greater than that of NaCl. Also, the humic acid adhesion to ICS decreased with increasing solution pH. $C_cap$, $q_a$ and R decreased with increasing solution pH.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humic acid concentration, salt concentration/composition, and solution pH should be controlled carefully in order to improve the ICS column performance for humic acid removal from water.

Use of biofilter as pre-treatment of polluted river water for drinking water supply

  • Suprihatin, Suprihatin;Cahyaputri, Bunga;Romli, Muhammad;Yani, Mohamad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203-209
    • /
    • 2017
  • Innovations in the biofiltration process can provide effective solutions to overcome crucial water pollution problems. The elimination of pollutants is a result of the combined effects of biological oxidation, adsorption and filtration processes. This research aim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quartz sand biofiltration for removing total suspended solids, turbidity, color, organic matter, and ammonium from polluted river water and develop an empirical model for designing quartz sand biofilters for the treatment of polluted river water.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two biofilter units filled with quartz sand as filter media. A set of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ydraulic retention time on biofilter performance in removing water contaminants. The kinetics of organic matter removal were also determined to describe the performance of the biofilter. The results show that biofiltration can significantly remove river water pollutants. Removal efficiency depends on the applied hydraulic retention time. At a hydraulic retention time of two hours, removal efficiencies of total organics, ammonium and total suspended solids were up to 78%, 82%, and 91%, respectively. A model for designing quartz sand biofiltration has been developed from the experimental data.

Applicability of Stone Powder Sludge as a Substitute Material for Quartz Sand in Autoclaved Aerated Concrete

  • Kim, Jin-Man;Choi, Se-Jin;Jeong, Ji-Yong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1-117
    • /
    • 2017
  • Stone powder sludge is a byproduct of the crushed aggregate industry, and most of it is dumped with soil in landfills. The disposal of stone powder sludge presents a major environmental problem.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tone powder sludge on the fluidity, density, strength and micro-structure properties of AAC(autoclaved aerated concrete) samples. Stone powder sludge was obtained from a crushed aggregate factory in order to investigate its applicability as a substitute for quartz sand in AAC. To determine the properties of the AAC samples produced with stone powder sludge, specimens containing different foam ratios were produced. Flow value, density, compressive strength,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of the samples were tested, and X-ray diffraction (XRD) was performed. The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AAC specimens (F120) with stone powder sludge was higher than that of AAC specimens (Q120) with quartz sand for same foam ratio of 120%. For all XRD diagrams, a higher number of tobermorite peaks was shown for the F120 sample than for the Q120 sample, which may explain the slightly higher strength gain in the F120 sam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