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dom primer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8초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분석을 이용한 한속단과 천속단의 감별 (Discrimination of Phlomidis Radix and Dipsaci Radix using the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Analysis)

  • 이미영;육진아;김홍준;김영화;채병찬;고병섭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3권1호통권19호
    • /
    • pp.147-152
    • /
    • 2007
  • As a result to amplifying 12 samples of 'Sok-dan' through an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ethod using eighteen DEC and URP primers, distinct band forms enabling discrimination of Phlomus umbrosa and Dipsacus asperoides were observable in the UBC 320 primer, UBC 367 primer, UBC 385 primer, UBC 414 primer, UBC 423 primer, URP 3 primer, URP 5 primer and URP 9 primer. The polymorph result amplified with a random primer was evaluated through Gelcompar II, showing a result dividable into two groups. The divided groups were the dried sample group of Dipsacus asperoides and the group of Phlomis umbrosa. In order to recognize the distinction between Dipsaci Radix types, the genetic variation of 'Sok-dan' produced domestically and imported was evaluated through RAPD, and the potential to distinguish these in forms of dried medicine was identified, presenting a method to authentification of Phlomis umbrosa and Dispacus asperoides.

  • PDF

Listeria spp.의 RAPD typing을 위한 Primer의 분리력 비교 (Primers for typing Listeria spp.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 임형근;홍종해;박경진;최원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7-72
    • /
    • 2003
  • RAPD 분석은 한 개의 primer를 이용하여 임의의 DNA 조각을 증폭하는 것이다. 이때 만들어지는 여러 형태의 DNA pattern을 이용하여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를 분류할 수 있다. 리스테리아균들을 효과적으로 RAPD typing 할 수 있는 primer들을 엄선하기 위하여 리스테리아 표준균주 13종을 대상으로 총 31가지 primer들의 RAPD 분리력을 비교하여 보았다. 결과는 재현성이 높았으며 이중 6가지 primer(primer 6, HLWL74, UBC155, UBC127, Lis5, Lis11)가 discrimination index, band의 숫자, band scoring의 난이도 등을 고려해 볼 때 나머지 primer 들에 비해 우수한 분리력을 보였다. 이들 primer들은 장차 리스테리아의 RAPD typing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이들을 이용하여 돈육공장의 오염원 규명을 위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RAPD를 이용한 고추(Capsicum annuum) 유전자원의 분류 (Classification of Capsicum annuum Germplasm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 남승현;최근원;유일웅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4호
    • /
    • pp.503-507
    • /
    • 1998
  • 본 연구는 RAPD표지를 이용하여 국내외에서 수집된 고추 유전자원들간의 유전적관계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Random primer를 이용한 고추의 PCR반응은 $MgCl_2$ 3mM, Taq. DNA polymerase 1.5U, 주형 DNA 10ng, dNTPs $200{\mu}M$, random primer 200nM 그리고 $42^{\circ}C$의 annealing 온도조건으로 최적화하였다. 80개의 random primer로부터 높은 밴드선명도와 재현성을 보이는 16개가 선발되었으며 70%의 GC함량을 갖는 primer들이 GC함량이 60%인 것보다 DNA증폭에 있어 효과적이었다. 31개의 고추품종및 계통들에 대해 71개의 polymorphic밴드와 22개의 monomorphic밴드를 포함하는 총 93개의 DNA밴드가 선발된 16개의 random primer들로부터 형성되었다. Primer당 약 4.4개의 polymorphic밴드가 형성되었다. 이들 71개의 polymorphic밴드를 이용하여 유사도지수가 구해졌으며 이를 근거로 31고추 계통 또는 품종들을 뚜렷이 구분하는 dendrogram이 작성되었다.

  • PDF

RAPD marker를 이용한 참돔 집단의 유전적 특성 분석

  • 장요순;노충환;홍경표;명정구;김종만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34-34
    • /
    • 2003
  • 한국산 선발계통 및 일본산 양식계통과 이들 두 계통간 잡종 참돔 집단의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RAP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marker를 탐색하였다. 10개의 염기로 이루어진 200개의 random primer 분석을 통하여 polymorphic pattern을 나타내는 23개의 random primer를 선발하였으며, 각 primer의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이들 중 OPA-11 primer는 크기가 각각 600 bp, 650 bp 및 750 bp 인 3개의 DNA 단편에 의하여 4개의 genotype을 나타냈으며, 각 genotype의 빈도는 집단간차이를 보였고, 한국산 선발계통 집단에서는 4개의 genotype이 모두 발견되는 반면, 일본산 양식계통 및 일본산 양식계통을 포함한 교배집단에서는 특정 genotype만 발견되었다. OPA-11 primer 유래의 polymorphic DNA 단편을 cloning하고 염기서열을 결정하였으며, SCAR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primer를 제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참돔집단의 유전적 특성 파악 및 집단 구별에 RAPD marker를 활용하였으며, 참돔 육종시 형질 및 기능관련 DNA marker 탐색에 적용하기 위하여, 이후의 연구에서는 SCAR과 RFLP 분석에 RAPD marker를 이용하여 100% 정확도를 갖는 RFLP maker를 찾고, MAS (Marker-Assisted Selection)에 적용하고자 한다.

  • PDF

연쇄상구균의 표현형적 특성과 RAPD profiles 비교 (Comparison of RAPD Profiles and Phenotypical Characters of Streptococcal Strains)

  • 송진경;김종훈;김은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1-59
    • /
    • 2003
  • Streptococcal infection is one of the most serious disease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ychthys olivaceus in Korea and caused by more than one species. However, there has been considerable confusions about the taxonomic position of the fish pathogenic streptococci.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e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pattern analysis to evaluate the possible classification in 8 streptococci isolated from diseased olive flounder and reference strains based on their DNA structure. RAPD PCR with DNA solution prepared by simple boiling and 10-mer random primer was appeared to be a good tool for discrimination of different streptococcal strains. Phenotypical characters by simple biological test and API 20 Strep corresponded well to the specific profiles of RAPD in streptococcal isolates of this study. Therefore, the RAPD profile was considered as one of differential characters to discriminate the streptococcal isolates from diseased olive flounder.

Salmonella spp.의 RAPD Typing을 위한 Primer의 분리력 비교 (Primers for Typing Salmonella spp.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 임형근;이경희;홍종해;박경진;최원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24-228
    • /
    • 2003
  • RAPD 분석은 한 개의 primer를 이용하여 임의의 DNA조각을 증폭하는 것이다. 이때 만들어지는 여러 형태의 DNA band유형을 이용하여 살모넬라를 분류할 수 있다. 살모넬라를 효과적으로 RAPD typing할 수 있는 primer들을 엄선하기 위하여 살모넬라 표준군주 16종을 대상으로 총 20가지 primer들의 RAPD 분리력을 비교하여 보았다. 결과는 재현성이 높았으며 이중 primer A, OPG04, OPG10, OPL-03을 16가지 균 모두를 다른 유형으로 분리하였고 primer OPB-17, OPB-6, OPG08, OPL-02는 15가지 유형으로 분리하였다. 이들은 discrimination index, band의 숫자, band scoring의 난이도 등을 고려해 볼 때 나머지 primer 들에 비해 우수한 분리력을 보였다. 이들 primer들은 장창 살모넬라의 RAPD typing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이들을 이용하여 돈육 공장의 오염원 구명을 위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DNA분석기법을 이용한 한국재래산양육의 판별 (Identification of Korean Native Goat Meat using DNA Analysis)

  • 상병찬;이상훈;류승희;서길웅;한성욱;김선균
    • 농업과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33-38
    • /
    • 1999
  • 재래산양의 유전자원 보존과 유전적 개량을 위하여 재래산양과 수입산양의 genomic DNA의 유전적 다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재래산양과 수입산양의 유전적 판별 분석은 RAPD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공시품종은 재래산양 30두, 재래산양 교잡종 10두, 수입산양 10두를 이용하였다. 재래 산양육과 수입 산양육의 판별을 위한 시료는 재래 산양육 10두와 수입 산양육 10두를 이용하였다. 이들로부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래산양, 수입산양 및 재래산양 교잡종으로부터 추출된 genomic DNA는 전기영동에 의해 약 23kb 크기의 DNA을 얻을 수 있었으며 UV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흡광도 A 260과 A 280의 비율로 측정한 결과, 그 비율이 1.75~2.10의 범위로 순도는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2. 순수 재래산양의 유전자원의 보존을 위한 재래산양의 유전자 감식여부를 탐색하기 위하여 약 110 여종의 random primer를 이용한 RAPD 기법에 의하여 재래산양, 수입산양 및 교잡종의 다형성을 분석한 결과 random primer OPO-19(5'-CAA ACG TCG G-3')를 이용하였을 때 재래산양에서만 396bp에서 band가 나타났으며 수입산양과 교잡종에서는 band가 나타나지 않았다. 3. 또한, 재래 산양육과 수입 산양육의 유전적인 차이를 구명하기 위하니 RAPD 기법에 의한 genomic DNA의 다형성 분석에 있어서도 random primer OPO-19(5'-CAA ACG TCG G-3')를 사용하였을 때 396bp에서 재래 산양육에서는 band가 나타났지만, 수입 산양육에서는 band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RAPD 표지인자를 이용한 흑오미자의 자웅동주 및 자웅이주 식물의 동정 (Identification of Monoecious and Dioecious Plants of. Schisandra nigra Using the RAPD Markers)

  • 이효연;한효심;이갑연;한상섭;정재성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09-313
    • /
    • 1998
  • 본 연구는 국내의 경우 제주도의 일부지역에서만 자생하는 흑오미자(Schisandra nigra)를 RAPD법을 이용하여 자웅동주 및 자웅이주 식물의 특이적 Marker를 탐색하고저 실시 하였다. 10-mer로 구성된 80종류의 random primer를 사용하여 흑오미자를 분석한 결과 기존의 재배되고 있는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또는 남오미자(Kadsura japonica)와는 다른 band pattern을 보여 주었다. 흑오미자의 자웅동주. 암그루, 숫그루의 3품종을 상기와 동일하게 80개의 primer를 사용하여 RAPD를 분석한 결과, 5종류의 random primer(OPA-17, OPA-19, OPB-3, OPB-9, OPB-16)에 대해서는 각 품종에 대한 특이적인 band가 검출되었다. 숫그루, 암그루 식물과는 다르게 자웅동주 식물은 3개체(1호 2호, 3호)간에도 서로 다른 band pattern을 보이는 특징을 갖고있다. 숫그루 특이적인 band pattern은 OPB-3 primer을 이용할 경우 750bp에서 검출되었고, 암그루는 OPA-19 primer에서 950bp, 1690bp와 OPB-3 primer의 경우 700bp에서 자웅동주 및 숫그루에서 나타나지 않는 band가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흑오미자의 숫그루 및 암그루에서 나타난 특이적인 band가 유묘시기에 암ㆍ수 개체를 조기에 구별하는 genetic marker로 사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PCR-RAPD를 이용한 제주말의 유전적 다양성분석 (Genetic Diversity Analysis of the Cheju Horse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s)

  • Cho, Byung-Wook;Lee, Kil-Wang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21-524
    • /
    • 2004
  • 본 연구는 short oligonucleotide primer를 이용하여 마 품종간 유전 분석을 실시 하고자 PCR증폭 기법을 확립하고, 확립된 기술을 이용하여 제주도에 사육중인 천념기념물 347호로 등록된 제주말과 경주마로 잘 알려진 더러브렛간의 유전적인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마 품종간 차이를 보이는 DNA marker는 9개의 primer에서 확인되었으며, 이중 6개의 primer에서 더러브렛 특이 밴드와 나머지 3개에서 제주 마 특이 RAPD 밴드가 확인되어 cloning과 sequencing후에 SCAR primer를 제작하여 마 품종 식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결과 RAPD표지인자는 마 품종간의 유전 분석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Genetic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Common Carp and Israeli Carp (Cyprinus carpio) Based on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s Analyses

  • Yoon, Jong-Ma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5권4호
    • /
    • pp.333-339
    • /
    • 2001
  • Common carp (Cyprinus carpio) and its aquaculture breed Israeli carp samples were obtained from two separate aquaculture facilities under the similar raising conditions during two years in the Kun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Genomic DNA was isolated from the common carp and Israeli carp for identification of genetic characteristics and genomic polymorphism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mplification of DNA using arbitrary primers. The arbitrary primer No.21 (ACTTCGCCAC) yielded the highest number of fragments with the average of 15.0 among the primers used in Israeli carp. A tota1 of 294 polymorphic products in common carp and 336 in Israeli carp were observed by random primers. The average number of polymorphic products generated by random RAPD primer No. 2 (GTAGAC-CCGT) showed 8.0 in Israeli carp. On average, each random RAPD primer produced 5.4 amplified polymorphic products in common carp and 6.2 in Israeli carp. An average genetic similarity (BS value) was 0.44$\pm$0.05 within the common carp and 0.32$\pm$0.04 within the Israeli carp. The degree of similarity frequency (BS) between two carps was 0.67 as generated by the primer No. 19 (GACGGATCAG). The average level of bandsharing was 0.57$\pm$0.03 between the two carps. Accordingly, the two carp populations were genetically a little distant. The electrophoretic analysis of PCR-RAPD products showed middle levels of variation between the two carp population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genetic diversity among intra-population may be higher when compared with that between the two carps. The RAPD polymorphism generated by these random primers might be used as a genetic marker for populations or lines identification in important aquacultural car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