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ycled PET fiber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2초

폐PET섬유를 혼입한 시멘트모르터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ynamic Properties of Cement Mortar with Recycled PET Fiber)

  • 김영근;김상철;김명훈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2년도 학술.기술논문발표회
    • /
    • pp.77-86
    • /
    • 2002
  •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investigate properties of cement mortar with recycled PET fiber, PE fiber, and PP fiber such as slump flow, compressive strength,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As results of experiment, several properties of specimen with recycled PET fiber were little low comparing those of specimen with PE fiber and PP fiber. But if we see from point of economy and recycle of industrial wastes, it has enough reason to be used. Compressive strength of specimen with recycled PET fiber at 56 days was about 10% higher, but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were lower than that of no-fiber.

  • PDF

폐PET섬유를 혼입한 시멘트모르터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ynamic Properties of Cement Mortar with Recycled PET Fiber)

  • 김영근;김상철;김명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13-122
    • /
    • 2002
  •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investigate properties of cement mortar with recycled PET fiber, PE fiber. and PP fiber such as slump flow, compressive strength,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At results of experiment. several properties of specimen with recycled PET fiber were little low comparing those of specimen with PE fiber and PP fiber. But if we see from point of economy and recycle of industrial wastes, it has enough reason to be used. Compressive strength of specimen with recycled PET fiber at 55 days was about 10% higher. but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were lower than that of no-fiber.

재생 폐 PET섬유보강 콘크리트의 부착 및 휨 특성 (Bond and Flexural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with Recycled Poly Ethylene Terephthalate Waste)

  • 원종필;박찬기;최민정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3A호
    • /
    • pp.401-40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폐 PET병을 사용하여 구조적으로 효과가 있는 재생 PET섬유를 생산하였고 세 가지 형상의 재생 PET섬유와 시멘트 매트릭스와의 부착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세 가지 형상의 재생 PET섬유로 보강된 콘크리트의 휨성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재생 PET섬유는 우수한 부착성능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휨시험 결과 재생 PET섬유는 콘크리트의 휨인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부착 및 휨시험 결과를 기본으로 요철형 재생 PET섬유의 부착 및 휨성능이 다른 형상의 섬유와 비교하여 가장 우수하였다.

폐 PET병을 이용한 콘크리트 보강 섬유의 부착특성 (Bond Performance of Recycled PET Bottle Fiber Reinforced Concrete)

  • 원종필;박찬기;이수진;김정훈;김황희;이재영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II)
    • /
    • pp.373-37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manufactured and evaluated the bond performance of recycled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bottle fiber reinforced concrete. Four deformed recycled PET bottle fibers were manufactured and pullout test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JCI-SF 8. Test parameters included four different type of fiber geometry and two types of mortar specimens. According to bond test results, it was found that embossing type recycled PET bottle fiber was significant improving the pullout load and interface toughness.

  • PDF

재생 PET 섬유의 형상 및 길이가 시멘트 복합 재료의 소성 수축 균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cycled PET Fiber Geometry and Length on the Plastic Shrinkage Cracking of Cement Based Composites)

  • 원종필;박찬기;김황희;이상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233-239
    • /
    • 2007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시멘트 복합 재료의 소성 수축 균열 제어에 폐 PET병으로부터 만들어진 재생 PET 섬유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PET은 플라스틱 재료라 알려진 재료로 음료수 병 등에 다양하게 적용되어 왔다. 그렇지만 폐 PET 병은 사용 후에 환경적 측면에서 큰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폐 PET 병을 재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환경 및 경제적 측면에서 중요하게 되었다. 폐 PET 병을 재활용하는 방법 중 시멘트 복합 재료의 보강 섬유로 사용하는 방법은 효과적인 방법 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복합 재료의 소성 수축 균열에 재생 PET 섬유의 형상 및 길이의 효과를 얇은 슬래브 실험을 통해서 조사하였다. 실험 계획은 섬유의 형상, 길이 및 혼입률의 영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재생 PET섬유의 형상은 straight, crimped및 embossed type의 3가지 형상을 포함하며, 각 3가지 섬유형상 마다 3가지 수준의 섬유 혼입률 및 2가지 종류의 섬유 길이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재생 PET섬유는 시멘트 복합 재료의 소성 수축 균열에 효과적이었다. 섬유의 길이의 관점에서 길이가 긴 섬유는 섬유의 형상이 동일할 때 섬유체적비가 적을 때 효과적이며, 섬유체적비가 증가하면 길이가 짧은 섬유가 더욱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embossed type의 섬유는 적은 섬유 혼입률에서 다른 형상의 섬유보다 소성 수축 균열 제어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높은 섬유 혼입률에서는 straight type의 섬유가 다른 형상의 섬유보다 시멘트 복합 재료의 소성 수축 균열 제어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단면형상에 따른 GF/rPET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물리적 특성 연구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GF/recycled PET Thermoplastic Composites with Chopped Fiber According to Cross Section)

  • 김지혜;이은수;김명순;심지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39-246
    • /
    • 2017
  • Recently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s have attracted great interest from industry and study because they offer unique properties such as high strength, modulus, impact resistance, corrosion resistance, and damping reduction which are difficult to obtain in single-component materials. The demand for plastics is steadily increasing not only in household goods, packaging materials, but also in high-performance engineering plastic and recycling. As a result, the technology of recycling plastic is also attracting attention. In particular, many paper have studied recycling systems based on recycled thermoplastics. In this paper, properties of Glas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GFRTP) materials were evaluated using recycled PET for injection molding bicycle frame. The effect on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ecycled PET reinforced glass chop fiber according to fiber cross section and fiber content ratio were studied. And it was compared void volume and torque energy by glass fiber cross section, which is round section and flat section.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resulting in GF/rPET has been increased by increasing fiber contents, than above a certain level did not longer increased.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lat glass fiber reinforced rPET with low void volume were most excellent.

화학적 환경하에서 재생 PET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성능 (Effect of Recycled PET Fiber Reinforced Concrete on Chemical Environment)

  • 장창일;이상우;최민정;김준모;원종필;김완영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709-71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재생 PET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화학적 환경하에서의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화학적 환경으로는 알칼리, 염해 및 융빙제 환경을 고려하였으며 각각의 화학적 환경에서 30, 60, 90일간 침지한 후 재생 PET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PET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알칼리 환경에서 성능저하가 발생했으며 염해 및 융빙제 환경에서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

Behaviour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beam-column connections in presence of PET fibers at the joint region

  • Marthong, Comingstarful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21권6호
    • /
    • pp.669-679
    • /
    • 2018
  • In this paper the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RC) beam-column connections under cyclic loading was analyzed. The specimens, manufactured in a reduced-scale were made of (a) recycled aggregate concrete (RAC) by replacing 30% of natural coarse aggregate (NCA) with recycled coarse aggregate (RCA) and (b) RAC incorporat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ber i.e., PET fiber-reinforced concrete (PFRC) at the joint region. PET fiber (aspect ratio=25) of 0.5% by weight of concrete used in the PFRC mix was obtained by hand cutting of post-consumer PET bottles. A reference specimen was also prepared using 100% of NCA and subjected to similar loading sequence. Comparing the results the structural behavior under cyclic loading of RAC specimens are quite similar to the reference specimens. Damage tolerance, load resisting capacity, stiffness degradation, ductility, and energy dissipation of the RAC specimens enhanced due to addition of PET fibers at the joint region. PFRC specimens also presented a lower damage indices and higher principal tensile stresses as compared to the RAC specimens. The results obtained gave experimental evidence on the feasibility of RAC for structural use. Using PET fibers as a discrete reinforcement is recommended for improving the seismic performance of RAC specimens.

재생 PET 섬유가 혼입된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강도 및 균열저항 특성 (Strength and Crack Resistance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Mixed with Recycled PET Fiber)

  • 김성배;김현영;이나현;김장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02-10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폐 PET병을 재활용하여 만든 섬유(RPET)를 콘크리트 부재에 적용시키기 위한 성능 평가에 있다. RPET 섬유보강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압축강도, 탄성계수, 쪼갬인장강도와 같은 기초물성실험과 건조수축균열실험을 수행하였다. 기초물성실험에서 RPET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RPET 보강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탄성계수는 감소하였고, 쪼갬인장강도는 증가하였다. 건조수축 실험에서 자유건조수축은 증가하였다. 반면에 구속건조수축의 경우 RPET 섬유에 의한 인장 저항성의 증가로 인해 균열 발생을 지연시켰다. RPET 섬유와 PP 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 시편의 특성을 비교해보면 두 섬유가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RPET 섬유는 PP 섬유의 대체 재료로서 충분할 뿐만 아니라 폐 PET병을 재활용하고 환경오염을 저감시킨다는 측면에서 친환경적으로 더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재생 PET 섬유가 혼입된 황토 콘크리트의 크리프 거동과 균열저항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reep Behavior and Crack Resistance of Hwang-toh Concrete Mixed with Recycled-PET Fiber)

  • 김성배;김장호;한병구;홍건호;송진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65-273
    • /
    • 2009
  • 환경문제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친환경 콘크리트의 개발을 위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지고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 배합시 시멘트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시멘트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포졸란 반응재료들이 혼화재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널리 매장되어 있는 황토는 친환경 재료로서, 포졸란 반응을 하는 활성황토는 콘크리트의 혼화재로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황토와 재생 PET 섬유가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황토와 재생 PET 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 거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건조수축 시험을 통해 황토와 재생 PET 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재료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외부구속균열 및 자유수축변형 실험을 통하여 혼화재로서 황토가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을 줄이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재생 PET 섬유는 건조수축에 의한 외부구속균열을 제어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