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garlic extract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6초

홍마늘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흰쥐의 항비만 및 지질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Red Garlic Extract for Anti-Obesity and Hypolipidemic in Obese Rats Induced High Fat Diet)

  • 이수정;김라정;류지현;신정혜;강민정;김인수;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1-220
    • /
    • 2011
  •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흰쥐에 15 brix의 홍마늘 열수추출물을 1%, 3%, 5% 및 7%로 식이 중에 혼합급이하여 체내 지질 함량 및 항비만 효과를 측정하였다. 비만지수와 체지방량은 3% 이상의 홍마늘 추출물의 급이시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내장 지방 및 부고환 주변 지방 함량은 홍마늘 추출물의 급이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다. 혈청 중의 총 지질 및 중성지방은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질환 위험지수도 감소되었다. ALT 및 AST 활성은 홍마늘 추출물 급이시 대조군에 비해감소되었다. 간 조직 중 총 지질 함량은 5-7%의 홍마늘 추출물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홍마늘 추출물의 5% 이상 급이시 분변 중에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배설이 증가되었다. 혈청 중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5-7%의 홍마늘 추출물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항산화 활성은 7%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상승되었다. 따라서 홍마늘 추출물은 분변으로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배출을 증가시킴으로써 체내 지질 저하 및 항비만 효과를 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Retort-pouch 된장찌개 품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tort-pouch Soybean Paste Pot Stew)

  • 김경자;강정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41-546
    • /
    • 1996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valuate quality of retort-pouched conuiment food by adding garlic, ginger, redpepper in cooking soybean paste pot stew. Cooked and storaged retort-pouch soybean paste pot stew with four different levels of garlic, ginger, red-pepper (T$_1$garlic 2%, T$_2$: ginger l%, T$_3$: red-pepper 2%,T$_4$: garlic 2%+ginger 1 %) was tested for sensory evaluation, pH, TBA value, and microbiological number changes. 1) No systematic increase of total bacteria counts was detected during the storage periods for bowl or retort pouch soybean-paste samples. The inclusions of ginger extract did not pose any microbiological safty problem. 2) Sensory evaluation conducted by fifteen university students as panelis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ive samples in color, flavour, and appearance and a notable preference for T$_1$ sample. 3) There was a slowly increase of TBA value during the first 5-7 days of storage in retort-pouch and bowl. The inclusion of ginger extract at 1.0% level tended to lower TBA values.

  • PDF

Sclerotirum cepivorum에 대한 마늘 재배종의 저항성 검정 (Screening for Resistance of Garlic Cultivars to White Rot Caused by Sclerotium cepivorum)

  • 이용훈;이왕휴;이두구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94-597
    • /
    • 1998
  • The optimal quantity of inoculum was determined to screen resistance of garlic cultivars against Sclerotium cepivorum and 30 cultivars was tested. The growth of the pathogen in detached roots, Disease incidence was increased when the inoculum density was raised form 10 to 100 sclerotia. The optimal inoculum density to differentiate resistance or susceptibility of garlic cultivars was seemed to be 50 sclerotia. The cultivars collected from England, Japan, Nepal and Turkey, and cultivars such as common red, PI1356104 and PI135693 were less than the other cultivars in their disease incidence. The growth of S. cepivorum in detached roots varied from 23 to 33 mm according to garlic cultivars.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disease incidence and the growth in detached roots. The sclerotial germinatio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root extract was extract was added. The addition of only distilled water resulted in 13% germination, but the addition of 0.25 g of root extract in 100 ml distilled water resulted in more than 85% germin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timulation of sclerotial germination among cultivars which showed different resistance.

  • PDF

홍마늘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y of Solvent Fractions from Red Garlic)

  • 황초롱;신정혜;강민정;이수정;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950-957
    • /
    • 2012
  • 열처리를 통한 새로운 마늘 가공품의 개발 및 그 생리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새로이 개발된 홍마늘의 용매별 계통 분획물을 제조하고, 항산화 활성과 항비만 활성을 중심으로 한 생리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홍마늘 계통 분획물 중 갈변물질의 함량은 chloroform 분획물에서 가장 높았고, 총 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hexane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었고, 다음으로 chloroform 분획물의 순이었다. DPPH와 ABTS 라디칼소거능 및 FRAP법에 의한 항산화능도 chloroform 분획물이 타 분획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은 갈변물질의 함량이 높고, 총 페놀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높은 hexane 및 chloroform 화합물에서 활성이 높아 홍마늘 분획물의 항산화능은 이들 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로 추정된다.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은 $500{\mu}g/ml$ 미만의 농도에서는 농도 증가와 더불어 유의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가장 활성이 높았던 chloroform 분획물에서 4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분석의 결과에서 활성이 높았던 hexane 및 chloroform 분획물의 지방세포 분화와 지방 축적 억제 활성은 여타 분획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항산화 활성과 항비만 활성이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는 홍마늘 중의 항산화 활성물질은 주로 비극성이며, 지방 축적 억제 활성이 있는 물질은 주로 극성에 대한 용해성이 더 높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이와 관련하여서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김치 부재료가 젖산균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imchi Minor Ingredient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 이진희;조영;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11-520
    • /
    • 1995
  • 파, 마늘, 생강, 적생고추, 고추가루의 멸균 추출액의 농도가 2%와 4%가 되도록 첨가한 배지에서 김치의 주된 젖산균들인 Leu. mesenteroides와 Lac. plantarum의 생육을 조사하였는데, 모든 부재료가 Lac. plantarum의 생육을 저해하였으며 마늘은 이 균에의 저해효과가 가장 컸으며, 생강이 Leu. mesenteroides의 생육에 증진 효과를 보였고, 마늘이 역시 Leu. mesonteroides의 생육에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마늘, 생강 및 고추가루의 연속분획추출 후 멸균액을 배지에 첨가해 역시 두균의 생육정도를 조사하였을 때 마늘의 부탄을 분획물이 두균의 생육에 저해효과를 보여 그 효과물질은 alkaloid나 flavonoid일 것으로, 또 생강과 고추가루의 물 분획물이 Leu. mesenteroides의 생육 촉진 효과를 나타낸 바 그 효과물질은 당류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The Effect of Pre-Treated Black Garlic Extracts on the Antioxidative Statu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Ginseng Chicken Soup (Samgyetang)

  • Barido, Farouq Heidar;Jang, Aera;Pak, Jae In;Kim, Yeong Jong;Lee, Sung 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036-1048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le improvement in the antioxidative statu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ady-to-eat (RTE) Samgyetang after adding various black garlic (BG) extracts. The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 content (TPC), total flavonoid content (TFC), meat quality indexes, and lipid oxidation rates were measured after receiving one of five different treatments consisting of conventional Samgyetang broth as a negative control, raw garlic (RG) extract as a positive control, BG, oven-dried BG, and maltodextrin-encapsulated BG extract as treatments. Employing retort cooking, fat trimmed carcasses were added to the initially prepared broth together with a phenolic extract that was set at 5% (w/w). A significant intensification of red and yellow color was observed in breast and thigh meat treated with BG extracts, regardless of pretreatment,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and RG. The moisture percentage was affected by the addition of BG extracts, where the encapsulation group retained the highest water content after retorting. In terms of antioxidative status, maltodextrin-encapsulated BG extract was as effective as an oven-dried extract to scavenge free radicals and showed the highest score among samples (p<0.01). The concentration of TFC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nd did not differ between encapsulation and oven-dried groups, followed by BG, RG, and the negative control. However, the addition of encapsulated BG extract was the most effective in delaying the formation of malondialdehyde among the samples. Therefore, pre-treatment of BG extract through encapsulation is recommended to develop a higher antioxidative statu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mgyetang.

허브 염용액으로 마리네이드 한 고등어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 평가 (Sensory Test and Physiochemical Property of Marinade Mackerel with Hem Salt Solution)

  • 주형욱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1-235
    • /
    • 2011
  • 본 연구는 허브 추출물로 마리네이드 한 고등어의 품질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마늘, 생강, 바질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최적의 첨가량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마늘 3%, 생강 3%, 바질 2%의 기호도가 가장 높아 최적의 첨가량으로 도출하였다. 최적의 첨가량인 마늘 3%, 생강 3%, 바질 2%를 첨가하여 마리네이드 한 고등어의 pH 변화는 적색육 어류의 초기 부패점인 pH 6.2-6.4의 범위 안에 들어가 제품 품질 특성에 적합하였으며 특성차이검사에서 견고성은 GA3이 가장 낮아 부드러웠고, 탄력성도 GA3이 가장 좋았으며 촉촉함 또한 GA3 이 촉촉하여 생강, 바질 보다는 마늘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호도 검사에서 외관, 향, 절감, 맛 모두 GA3를 가장 선호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볼 때 GA3(마늘 3%)이 최적의 첨가량으로 보아진다.

  • PDF

홍마늘 조성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ed garlic compositions)

  • 강민정;김동규;신정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46-454
    • /
    • 2017
  • 홍마늘과 생약재 5종(생강, 도라지, 모과, 진피, 박하)이 혼합된 조성물의 항염증 활성을 검증하고자 홍마늘 50%와 천연식물류 5종을 각각 10%씩 혼합한 조성물을 물과 에탄올로 $70^{\circ}C$$95^{\circ}C$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총 페놀화합물은 $70^{\circ}C$에서 에탄올로 추출 시 608.60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며 물 추출물에서는 이보다 낮은 함량이었다. 홍마늘의 유효성분인 alliin과 SAC는 $70^{\circ}C$에서 물로 추출하였을 때 각각 1.29 mg/g과 2.60 mg/g으로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다. 홍마늘과 5종 천연식물류 복합추출물의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70^{\circ}C$에서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각각 15.96-73.65%와 5.71-77.19%로 가장 높았다. NO 생성억제 활성은 물 추출물 보다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높았으며 $70^{\circ}C$ 보다는 $95^{\circ}C$에서 추출하였을 때 더 활성이 높았다. ROS 생성은 에탄올 $95^{\circ}C$ 추출물이 $1,000{\mu}g/mL$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약 64.92%로 가장 활성이 높았다. iNOS와 $IL-1{\beta}$의 발현량은 $1,000{\mu}g/mL$ 농도의 $95^{\circ}C$ 에탄올 추출물에서 LPS 단독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홍마늘 및 생약재 복합 추출물의 항산화와 항염증 활성은 서로 다른 유용물질의 영향으로 발현이 되며, 이들 유용물질은 추출용매와 온도에 따라 함량이나 구성이 서로 상이하였다.

Effect of Kimchi and Its Ingredients on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 Jung, Keun-Ok;Kil, Jeung-Ha;Kim, Kwang-Hyuk;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2호
    • /
    • pp.149-153
    • /
    • 2003
  • Effects of kimchi and its ingredients, vitamin C and $\beta$-sitosterol on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were investigated. Three kimchi variations were studied: a standard recipe (kimchi I) and two functional variations for cancer prevention and treatment made with organically grown ingredients (kimch II and III). Methanol extracts and juices from kimchi I and III did not inhibit the growth of H. pylori. However, 10 mm and 12 mm inhibition zones were formed by methanol extract and juice from kimchi II, which had higher concentrations of red pepper powder (RPP) than those of kimchi I and III. Among the major kimchi ingredients, methanol extracts of RPP, garlic and ginger substantially inhibited the growth of H. pylori. The maximal inhibition zone (30 mm) was attained with garlic treatment. Inhibitory effects of the RPP, garlic and the sub-ingredient mixture (prepared with radish, garlic, RPP, ginger, green onion, sugar and fermented anchovy juice) on H. pylori were decreased by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Neither the fermented garlic nor the fermented sub-ingredient mixture inhibited the growth of H. pylori. But, the inhibition Bone of fermented RPP was 12 mm, which was less than the 16 mm inhibition zone formed by the non-fermented RPP. Vitamin C and $\beta$-sitosterol which are known to be functional active compounds of kimchi also showed no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H. pylori after 3 days of incubation.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why the inhibitory effect is removed or decreased by lactic acid fermentation, and to determine if fresh kimchi and lactic acid bacteria of kimchi can inhibit the growth of H. pylori.

김치 부재료가 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Lactobacillus Plantarum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imchi Submaterial on the Growth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 조영;이진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5-38
    • /
    • 1994
  • 김치 부재료 중 마늘, 고추가루, 양파의 멸균 추출액의 농도가 2%와 4%가 되도록 첨가한 배지에서 김치의 주된 젖산균들인 Leu. mesenteroides와 hc. Plantarum의 생육도를 조사하였는데, 마늘과 양파는 Leu. mesenteroi-des와 Lac. Plantarum 두 균의 생육에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Leu. mesenteroides의 생육 억제효과는 마늘과 양파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나 Lac. Plantarum의 생육억제는 마늘이 더 큰 효과를 보였다. 고추가루는 Lac. plantawm에는 양파와 비슷한 생육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Leu. mesenteroides에는 배양이 계속 진행되면서 생육 증진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