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pepper seeds powder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 of Red Pepper Seeds Powder on Lipid Composition in Rats Fed High-Fat.High-Cholesterol Diets

  • Song, Won-Young;Chun, Sung-Sik;Ku, Kyung-Hyung;Choi, Jeong-Hw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3호
    • /
    • pp.184-188
    • /
    • 2010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d pepper seeds powder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high cholesterol diet. Rats were divided into five experimental groups: normal diet group, high fat high cholesterol diet group, high fat high cholesterol diet with 5% red pepper seeds powder supplemented group (SA group), high fat high cholesterol diet with 10% red pepper seeds powder supplemented group (SB group) and high fat high cholesterol diet with 15% red peeper seeds powder supplemented group (SC group). The serum triglyceride (TG) and cholesterol contents, and LDL-cholesterol and atherogenic index (AI) of the red pepper seed powder supplemen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HF group. The serum HDL-cholesterol contents of the red pepper seed powder supplemented groups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e HF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rum HDL-cholesterol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The hepatic TG and cholesterol contents of the red pepper seed powder supplemen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HF group. The fecal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tents of the red pepper seeds powder supplemen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HF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of red pepper seed powder may have a pronounced impact on markers of lipid metabolism in serum and liver of rats fed high fat high cholesterol diets.

고추씨를 첨가한 즉석 고추장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Gochujang added with Red Pepper Seeds Powder)

  • 이금옥;김기쁨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5-24
    • /
    • 2018
  • This study produced instant Gochujang(red pepper paste) with enhanced convenience by increasing nutritional value and palatability, and by reducing production period, adding in the red pepper seed in the red pepper paste produc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use of the red pepper seed that is not used often as a food ingredient even though its nutrition value when producing red pepper paste was proven. Moisture content, pH, L-value, a-value, b-value, sugar contents, and salinity of instant Gochujang tended to increase as the amount of red pepper seed increased, while viscosity manifested the opposite trend. Sensory evaluations were conducted on instant Gochujang to assess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which demonstrated that as the amount of red pepper seeds powder increased, the intensity of redness for the red pepper paste's external appearance, luster, spicy flavor and taste, and savory taste were evaluated strong. Meanwhile, fermentation value, which is red pepper paste's foremost weakness was evaluated as weak. Moreo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grain when compared to the contrast group consisting of regular red pepper paste. The results of preference test demonstrated that the RG3 with 30% of red pepper seed is optimal in terms of the external appearance,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고추씨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항산화계 및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Pepper Seeds Powder on Antioxidative System and Oxidative Damage in Rats Fed High-Fat.High-Cholesterol Diet)

  • 송원영;양정아;구경형;최정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161-116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고추씨의 생체 내 항산화작용을 규명하기 위하여 고콜레스테롤 고지방 식이 흰쥐 간조직의 항산화 방어계와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 150$\pm$10 g 내외의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정상식이 대조군(N), 고지방.고콜레스테롤 공급군(HF),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공급군에 고추씨파우더 5% 공급군(SA), 10% 공급군(SB) 및 15% 공급군(SC)으로 총 5군으로 나누었다. 식이 및 식수는 자유섭취하게 하였으며 4주간 사육한 후 희생시켰다. 실험기간 동안 체중 증가량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공급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고추씨 공급군에서는 정상군 수준이었으며 식이효율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간 조직 중의 항산화 효소계인 SOD 활성은 HF군에 비해 고추씨 공급군에서 다소 증가한 경향이었다. GSHpx의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 콜레스테롤 공급군 모두에서 감소되었으나 SC군에서는 정상군 수준이었다. 또한 catalase 함량은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공급군에 비해 고추씨파우더를 공급한 군에서 증가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유리기를 소거하는 지표인 간조직의 superoxide radical 함량을 microsome에서 관찰한 결과는 정상군에 비해 HF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고추씨파우더를 공급한 모든 군에서 감소되었다. 간조직의 mitochondria에서는 고추씨파우더를 공급한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SB, SC군에서는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간조직의 cytosol에서 $H_2O_2$를 관찰한 결과 고지방 고콜레스테롤군 대조군에 비해 고추씨파우더 공급군에서 감소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간조직의 mitochondria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HF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SC군에서는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의 산화적 손상의 지표가 되는 carbonyl가 함량을 microsome에서 측정한 결과는 정상군에 비해 HF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고추씨파우더를 다량 공급한 두 군에서는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mitochondria에서 측정한 결과는 HF군에 비해 고추씨파우더를 공급한 군에서 감소하였으나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간 조직 중의 과산화지질의 함량을 관찰한 결과는 고지방 고콜레스테롤군에 비해 고추씨파우더를 공급한 모든 군에서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혈장에서 측정한 결과도 고추씨파우더를 공급한 군에서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추씨파우더의 항산화 성분이 효과적으로 활성산소종의 소거에 관여함으로써 산화적 손상을 완화시킨 결과로 보인다.

고추씨 물추출물이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항산화 효소활성 및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Red Pepper Seeds Powder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and Oxidative Damage in Rats Fed High-Fat and High-Cholesterol Diets)

  • 김유나;구경형;강신권;최정화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4호
    • /
    • pp.284-291
    • /
    • 2011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red pepper seeds powder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and oxidative damage in groups of rrats fed high-fat and high-cholesterol diets group (HFC). The Rra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ve experimental groups which are : composed of a normal diet group, a high fat high cholesterol diet group, and a high fat high cholesterol diet group supplemented with different amounts contents (1%, 2% and 4%) of red pepper seeds powder water extracts supplemented groups (HFCW1, HFCW2 and HFCW4, respectively). Body weight gains and food intake were lower ofin the red pepper seed water extracts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inof the HFC group. Hepartic xanthine oxidase (XOD) activity was decreased in the HFCW2 and HFCW4 groups compared to the HFC group. Hepartic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ctivitiyactivity was increased in the HFCW4 group compared to the HFC group. Hepatic superoxide radicals within the mitochondria and microsomes of cel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HFCW2 and HFCW4 groups compared to the HFC group. Hepartic hydrogen peroxide in the cytosol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HFCW3 and HFCW4 groups compared to the HFC group. Hepatic carbonyl values in the microsomes and mitochondria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HFCW4 group compared to the HFC group. Hepartic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substance (TBARS) activity was decreased in the HFCW2 group compared to the HFC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water extracts of red pepper seeds powder may reduce oxidative damage by activation of antioxidative defense systems in rats fed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s.

근적외 분광분석법에 의한 분말고추중의 씨앗 및 꼭지혼입량의 신속한 측정 (Rapid Determination of Seed and Stem Content in Red Pepper Powder by 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ic Analysis)

  • 조래광;손미령;안재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47-451
    • /
    • 1991
  • 분말고추가루에 씨앗이나 꼭지를 혼입시켜 저장시킨 결과 capsanthin, capsaicin, total-sugars 등의 성분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꼭지가 혼입된 시료보다 씨앗이 혼입된 시료에 있어서 품질의 열화정도가 큼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씨앗이나 꼭지의 함량을 근적외 분광분석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씨앗의 혼입량은 1.76%의 측정오차로, 꼭지의 혼입량은 0.43%의 측정오차로 각각 30초 이내에 통시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고추씨 혼합비율에 따른 고추가루의 흡습특성 비교 (Comparison of Sorption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Powders with Their Seeds Mixing Ratio)

  • 김현구;조길석;박무현;장영상;신재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17-823
    • /
    • 1990
  • 고추씨 혼합비율에 따른 고추가루를 상대습도 11%에서 93%까지 8단계의 상대습도별로 $15^{\circ}C,\;25^{\circ}C$$40^{\circ}C$의 온도구에 저장하면서 고추가루의 흡습특성을 비교하였다. 저장시간에 따른 고추가루의 흡습곡선은 고추씨 혼합비율에 관계없이 RH 43% 이하에서는 단시간 내에 평형에 도달하여 수분함량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RH 75% 이상에서는 평형수분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RH 75% 이상에서는 갈변현상이 나타났고, RH 33% 이하에서는 탈색현상이 나타났다. 고추씨를 완전히 제거한 고추가루의 단분자층 수분함량은 온도에 따라서 5.88%에서 7.35%로서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증가하였고, 고추씨 혼합비율이 높을 수록 단분자층 수분함량은 감소하였다.

  • PDF

라면 건조 수프 재료의 방사선 조사 검지를 위한 Thermoluminescence 활용 (Detection of Post-Irradiation of Dry Soup Base Ingredients in Instant Noodle by Thermoluminescence Technique)

  • 황금택;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59-766
    • /
    • 1998
  • 방사선 조사 또는 비조사한 라면 건조 수프 재료 및 배합 수프에서 무기물을 분리하여 이 무기물의 TL을 측정하여 TL을 라면 건조 수프 재료의 방사선 조사 여부 검지에 활용 가능한지를 검토하였다. 라면 건조 수프 재료 또는 배합 수프를 방사선 조사하여 sodium polytungstate 용액을 사용하여 무기물을 분리하여 TL signal ((1st glow TL 강도)/(48.6 Gy에서 재조사한 2nd glow TL 강도))을 측정하였다. $229{\sim}295^{\circ}C$$262{\sim}295^{\circ}C$ 구간에서 측정한 TL signal이 조사 시료와 비조사 시료간의 차이가 다른 구간에 비하여 컸다. 상기온도 구간에서 비조사 마늘분말, 생강분말, 후춧가루, 양파분말, 고춧가루, 참깨의 TL signal의 평균은 0.2 이하인 반면, 10 kGy 조사한 양파분말, 고춧가루, 참깨의 경우는 20 이상이었다. 10 kGy 조사한 양파분말, 고춧가루, 참깨를 배합 수프에 각각 또는 같이 혼합하였을 때 비조사 배합 수프의 경우 상기 온도 구간에서의 TL signal 평균이 각각 0.08 및 0.1이었으나 조사재료를 혼합한 경우 7이 넘었다. 배합 수프를 1, 5, 10 kGy 방사선 조사한 TL signal 평균은 상기온도 구간에서 10 이상이었다.

  • PDF

고추씨 향신조미료 제조를 위한 추출 조건 (Extraction conditions for preparation of natural seasoning of red pepper seed)

  • 한미영;고순남;김우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0-376
    • /
    • 1999
  • 고춧가루 공장에서 폐기물로 발생되는 고추씨를 매운맛을 지닌 향신 조미 물질로서의 효과적인 활용하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고추씨는 열수추출하였으며 추출시 추출온도와 시간 및 소금, 당, 인산염과 유기산등의 첨가 영향을 검토하였다. 또한 추출전 10$0^{\circ}C$에서의 증자나 215$^{\circ}C$와 33$0^{\circ}C$에서의 볶음의 영향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고추씨를 증자 또는 볶음하여 추출한 경우에 수율은 증가하였지만 탁도는 감소하였으며 매운 향미는 비가열처리구에서 높았다. 고추씨를 7$0^{\circ}C$-10$0^{\circ}C$에서 10-60분간 열수추출하였을 때 8$0^{\circ}C$에서 30분간 추출한 시료가 비교적 높은 27%의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매운맛도 높았다. 한편, 소금, 당, 인산염과 유기산을 첨가하여 8$0^{\circ}C$에서 30분간 추출한 수율은 0.5% NaCl이 27.21%, 0.2% $Na_2$HPO$_4$은 29.21%로 대조구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며 매운 향미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 PDF

Anti-adipogenic Effects of Dongchimi Nano Juice in Mouse 3T3-L1 Adipocytes

  • Kong, Chang-Suk;Lee, Sun-Hyun;Seo, Jung-Ok;Park, Kun-Young;Rhee, Sook-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4호
    • /
    • pp.285-288
    • /
    • 2006
  • The anti-adipogenic effect of dongchimi nano juice prepared using a nano-filtering process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leptin and glycerol levels and the expression of 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PPAR\gamma)$ gene as indicators of lipid accumulation or lipolysis. Red pepper powder, seeds of red pepper, garlic, and ginger were added in the preparation of dongchimi. Dongchimi was fermented to reach the optimal fermentation period, followed by nano-filtration in the range of $0.0005\sim0.1\;{\mu}m$. The lactic acid bacteria of dongchimi nano juice were removed completely by a nano-filtering process. Treatment of dongchimi nano juice induced glycerol release in the 3T3-L1 adipocytes and decreased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PPAR\gamma$.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ongchimi nano juice may enhance lipolysis and modulate adipogenesis in 3T3-L1 cells.

라면 건조 스프 재료의 방사선 조사 검지를 위한 Hydrocarbon류 검출 (Detection of Hydrocarbons to Determine Post-Irradiation of Dry Soup Base Ingredients in Instant Noodle)

  • 황금택;박준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018-1023
    • /
    • 1998
  • 방사선 조사한 라면 건조 스프에서 hydrocarbon류를 검출하여 이를 라면 스프의 방사선 조사 여부를 검지하는 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스프 재료를 개별, 또는 배합 전후에 방사선 조사하여, hexane으로 지방을 추출하고 Florisil column으로 분리한 hydrocarbon류를 G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10 kGy 조사한 팜유, 고춧가루, 참깨에서 비조사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는 hydrocarbon C17:2, C16:3, C17:1, C16:2 등이 검출되었다. 비조사 재료만을 사용하여 배합한 스프에서는 C17:2, C16:3, C17:1, C16:2가 검출되지 않았다. 팜유 또는 참깨만을 방사선 조사한 것을 사용한 배합 스프에서는 C17:2, C16:3, C17:1, C16:2이 검출되었으며, 고춧가루만 방사선 조사한 것을 사용한 배합 스프에서는 C17:2와 C16:3이 검출되었다. 비조사 재료를 배합한 후 방사선 조사하였을 때, 1 kGy 조사 시료에서 C17:2, C17:1, C16:2가 검출되었고, 5 kGy 및 10 kGy 조사한 시료에서 C17:2, C16:3, C17:1, C16:2가 다량 검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