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ed stalk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갈대를 이용하여 제조한 바이오펠릿의 품질 특성 (Fuel Characteristics of Biomass Pellets Fabricated with Reed Stalk)

  • 김성호;한규성
    • 펄프종이기술
    • /
    • 제48권3호
    • /
    • pp.99-106
    • /
    • 2016
  • Our aim was to identify the potential of reed stalk as a raw materials for biomass pellet production. Compared to woody biomass, reed stalk contained significant levels of ash. The holocellulose content of reed stalk was similar to that of larch, but the lignin content of reed stalk was lower than that of larch. In the elemental analysis, chlorine content of reed stalk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larch, and satisfied only the mixed biomass pellet B of European non-woody pellet standards(EN 14961-6). In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ash, heavy metals contents of reed stalk satisfied European non-woody pellet standards. Higher heating value of oven-dried reed stalk pellet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larch wood pellet. The durability of reed stalk pellet was lower than that of larch wood pelle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reed stalk might be used as a raw material of mixed biomass pellet B.

곡물재와 채소재를 이용한 도자기용 유약제조와 그 특성 (Pottery Glaze Making and It′s Properties by Using Grain Stem Ash & Vegetables Ash)

  • 한영순;이병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834-841
    • /
    • 2004
  • 우리 주변(경기도 이천, 양평, 용인)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곡물대 10가지와 2가지의 곡물껍질(콩깍지, 왕겨), 4가지의 채소(시금치, 무우잎과 줄기, 호박잎과 줄기, 고추대)의 재를 만들어 한국적 천연 재유의 특성을 연구 분석하고 그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곡물대재는 4가지로 분류되었다. 1그룹인 들깨대재, 참깨대재, 검정콩대재, 팥대재에는 다른재에 비하여 $SiO_2$ 성분이 적고 CaO와 P$_2$ $O_{5}$ 성분이 10%이상 함유되어 비교적 유백현상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약한 녹색기가 도는 밝은 노랑색유로 나타나 유백유 기본유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였다. 2그룹인 고추대재, 시금치재, 콩깍지재, 무우잎ㆍ줄기재, 콩대재에는 모든 성분이 비교적 고르게 함유되어 있었고, 특히 MgO 함량이 평균 8.53%로 가장 많고 Fe$_2$ $O_3$ 성분이 2% 정도 함유하고 있어 채도가 높은 녹색기를 많이 띤 노랑색유로 나타났으며 유흐름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 이라 보 유약의 기본유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였다. 3그룹인 옥수수대재, 흰콩대재, 호박잎ㆍ줄기재는 $SiO_2$, $Al_2$ $O_3$의 함량이 다른 재에 비하여 많았고 Fe$_2$ $O_3$가 3~5%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어 UV에 대한 4분류 중 색상, 채도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짙은 노랑에서 짙은 고동색을 지닌 색상이 강하게 나타나 천목유 및 흑유의 기본유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였다. $SiO_2$ 성분이 45~82%로 함량이 제일 많아 잘 녹지 않고 다른 재에 비하여 Fe$_2$ $O_3$와 P$_2$ $O_3$ 성분의 함량이 적은 4그룹인 갈대재, 볏짚재, 수수대재, 왕겨재는 푸른색기 또는 녹색기가 도는 흰색에 가까운 미색으로 나타나 백유의 기본유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