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ined lacquer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1초

옻칠의 정제기술에 관한 연구(II) - 조성분 배합에 따른 정제특성 및 기계적 성질 - (Study on Refining Technique of Raw Lacquer (II) - Refining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efined Lacquer according as Mixing Rate of Components -)

  • 송홍근;한창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1호
    • /
    • pp.43-51
    • /
    • 2001
  • 옻칠은 생칠의 조성분 배합에 따라서 정제시간이 단축되며, 또한 옻칠의 물리적 성질이 달라진다. 추출된 다당류를 첨가하였을 때, 정제시간은 첨가하지 않았을 때보다 1/3 정도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고 건조시간도 1/3~1/2 정도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우루시올을 첨가하였을 때는 투명성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뚜렷하지는 않았다. 또한 귀주산의 경우 10%의 우루시올을 첨가하였을 때, 인장강도가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우루시올과 다당류를 함께 첨가하였을 때는 건조시간의 단축 및 인장강도의 향상이 뚜렷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옻칠의 정제기술에 관한 연구(I) - 생산지·생산시기에 따른 생칠과 옻칠의 특성 및 도막 특성 - (Study on Refining Technique of Raw Lacquer (I) - Properties of Raw Lacquer, Refined Lacquer and Film according as Their Collecting Places and Seasons -)

  • 송홍근;한창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1호
    • /
    • pp.31-42
    • /
    • 2001
  • 본 실험은 생산지별 채취시기별 물리적 화학적 성상의 차이를 파악하여, 그 상이성을 최소화하여 비교적 높은 품질의 옻칠을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생칠은 국내 원주산 생칠과 중국의 섬서성(陳西省)산 생칠, 귀주성(貴州省)산 생칠, 안휘성(安微省)산 생칠 등이었다. 정제 특성 실험은 실험실용 정제기에 의하여 수행하였으며 이 정제기에 의해서 생산된 옻칠은 도막의 건조시간, 인장강도, 도막의 균일성 등과 같은 기계적 성질을 시험하였다. 도막은 자동 도포기(Film applicator)로 만들었고, 만들어진 도막은 만능재료시험기를 이용하여 인장강도를 시험하였다. 도막의 균일성은 주사전자현미경과 공초점 현미경에 의하여 2차원 및 3차원 화상을 얻어 판정하였다. 채취시기에 따른 정제조건 변이는 없었으나 생산된 옻칠의 점도는 시기에 따라 크게 변함을 알 수 있었다. 흑칠 제조시 철분의 굵기에 따라 혼합시기를 다르게 함으로써 이 흑칠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었다. 정제시간의 길이, 점도, 인장강도 등이 정제조건보다는 산지에 따라서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농업시스템분석을 통한 원주 옻의 합리적 관리방안 연구 (Study on the reasonable management of the lacquer in Wonju through the agricultural system approach)

  • 오현석;김정섭
    • 농촌계획
    • /
    • 제6권2호
    • /
    • pp.20-33
    • /
    • 2000
  • The lacqu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ources for endogenous development and cultural reproduction in Wonju. However traditional and social network, which had been formed by lacquer farmers, group of lacquer-pickers, refineries, and lacquer-ware craftsmen, is being collapsed. It is due to the recent imports of raw lacquer from China and refined lacquer from Japan. Public sectors including Wonju city have continuously improved the potential of lacquer production by planting lacquers. However, the potential of lacquer production isn't under enough condition to realize its value.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efforts of public sectors to raise lacquer industry, focused on the improvements of lacquer production potential until now, should be concentrated on realization of the production potential by reconstructing social productive system which is composed of diverse groups involved in lacquer ware production.

  • PDF

동유를 함유하는 목조주택 외장용 옻칠도료의 적용 (Application of Korean Rhus Lacquer Containing Tung Oil For Exterior Coatings)

  • 송병민;이병후;김현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81-9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식물성 오일인 동유에 국내산 생칠 또는 정제칠을 10, 20, 30 및 40 wt.% 혼합하여 목조주택 외장용 도료를 제조하고 기존의 외장용 도료인 오일스테인과 내후성을 비교하여 외장용 도료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생칠, 정제칠 및 동유를 혼합하여 제조된 도료의 성질에 대한 실험결과를 보면 생칠이 정제칠에 비해 화학구조 내에 존재하는 -OH group이 많으며 경화특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적점도는 정제칠이 생칠에 비해 Frequency 150 rad/s 이하에서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150 rad/s 이상에서는 거의 비슷한 수준의 동적 점도를 보여 주었다. 또한 동유에 생칠을 혼합할수록 화학구조내의 -OH group이 증가하고 경화온도가 증가함을 보여 주었다. 내후성 실험결과는 제조된 도막의 색차변화가 기존에 목조주택 외장용 도료로 사용하는 오일스테인에 비해 높게 나타났지만 동유에 생칠을 40 wt.% 혼합한 경우와 정제칠을 30 wt.% 또는 40 wt.% 혼합한 경우 거의 비슷한 색차 변화를 보여 주었다. 색차를 제외한 광택도 변화, 접촉각 변화의 측정 결과는 오일 스테인의 변화정도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 주어 목조주택 외장용 도료로써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다호리 출토 판상 칠기의 재질 분석 (Analysis of Flat Board-shaped Lacquer ware Excavated from Daho-ri in Changwon, Korea)

  • 김수철;박민수;윤은영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3권
    • /
    • pp.33-36
    • /
    • 2012
  • 다호리 유적에서 출토된 판상칠기에 대하여 수종 및 칠 도막, 금속장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판상칠기에 사용된 수종은 소나무류로 식별되었고 칠 도막의 현미경 관찰 결과, 총 5회의 칠을 했으며 칠 전체 두께는 약 100 ㎛이다. 적외선 분광 분석을 통해 정제칠과 비교하여 옻칠임을 확인하였다. 원형의 금속장식에 대한 성분 분석 결과는 주석과 납의 이원계 합금으로 백랍(白蠟, Pewter)이라 불리는, 주석을 주체로 하는 합금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지금까지 조사된 다호리 유적 출토 유물의 수종이 활엽수재였던 것에 반해 판상칠기의 목재는 침엽수재인 소나무류로 밝혀졌다.

한국산(韓國産) 옻칠도막(漆塗膜)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走査電子顯微鏡的) 고찰(考察)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Korean Rhus Lacquer Coats)

  • 이필우;김현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24-33
    • /
    • 1987
  • This study was executed to investigate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characteristics of Korean Rhus lacquer coats. With the unrefined coat, distilled water, sodium hydroxide, acetic acid, ethyl alcohol, cold-check test, and accelerated weathering were performed after refining treatment. These treated lacquer coats were discussed through observation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he obtained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Compared with unrefined coat, the refined coat of Korean Rhus lacquer showed more even surface with regular distribution of dispression. 2. Korean Rhus lacquer coat heated at $120^{\circ}C$ for 3 hours revealed no observable difference irrespective of refining and unrefining. 3. Korean Rhus lacquer coat treated by distilled water, sodium hydroxide, acetic acid. ethyl alcohol, cold-check test. and ultraviolet radiation showed significant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untreated coat. Especially. large deformation and checkings were observed by cold-check test and ultraviolet radiation respectively. 4. The Korean Rhus lacquer coat radiated by ultraviolet ray showed 0.11 duller and 1.41 brighter than non-radiated coat through color difference calculator.

  • PDF

국보 제326호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의 과학적 보존처리 (Scientific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Celadon Jar with the Inscription of 'the Fourth Sunhwa Year'(National Treasure No.326))

  • 이선명;권오영;박종서;한우림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53-469
    • /
    • 2019
  •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는 굽바닥에 명문이 새겨져 용도와 사용처, 제작자를 알 수 있는 등 초기 청자의 제작 정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편년자료이다. 청자 항아리는 과거에 여러 번 수리복원 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환경변화로 인해 처리 재료가 노화되어 균열부의 이격 및 단차가 발생하는 등 구조적 안정성이 우려되었다. 보존상태를 정밀 진단한 결과, 청자 항아리는 정면의 '입(入)'자형 균열, 좌면의 'V'자형 결실부를 포함한 균열, 후면의 'J'자형 균열이 주요 손상부위로 확인되었다. 균열부는 장뇌, 건성유, 송진 등이 포함된 정제 옻을 접착제로 토분을 첨가하여 접합하고 접합선은 다시 정제 옻을 칠한 후 금분으로 표면 처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실부는 석고로 복원 후 아크릴 물감으로 색맞춤하였다. 이후 수리복원 재료가 노화되어 1981년에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응급처리를 실시하였는데, 균열부 보강을 위해 Cemedine C를 쓰거나 Cemedine C에 Microballoon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보존처리는 유물의 보존상태 진단 결과를 근거로, 과거 수리복원 재료를 제거하고 물리적으로 취약한 부분을 다시 접합복원을 통해 보강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추후 전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도록 복원부를 중심으로 색맞춤을 실시하였다.

순창 운림리 농소고분 출토 목관 칠 분석을 통한 제작방법 연구 (Lacquer Layers and Making Methods of the Wooden Coffin Excavated from the Nongso Tomb of Unrimri, Sunchang in Korea)

  • 이혜연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55-362
    • /
    • 2017
  • 순창 농소고분은 적성면 운림리 일대와 내월리 농소마을을 둘러 형성된 구릉지 능선에 위치하고 있다. 고분의 토광은 비교적 깊은 곳에 조성되어 도굴의 피해가 없었으며 전체적으로 다량의 숯으로 채워져 있어 목관이 비교적 좋은 상태로 출토되었다. 고분 구조 및 매장시설, 출토 유물, 방사선탄소연대 측정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농소 고분의 축조시기는 고려시대 후기부터 조선 초기까지로 추정하고 있다. 농소고분에서 출토된 목관은 목곽과 목관의 2중 구조로 목관 외면에 두껍게 옻칠을 하고 금색 문자와 흰색 문양으로 장식되었다. 안료 분석 결과 금색 문자는 금(Au), 흰색 문양은 은(Ag)이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칠 막은 안료 층, 황갈색 층, 검은 층의 3개 층으로 관찰되었다. 검은 층은 그을음과 같은 검은 물질로 목재 바탕의 밑칠로 사용되었다. 황갈색 층은 옻칠로서 정제칠로 추정된다. 목관 칠막 분석을 종합하면 칠 제작방법은 금박을 이용하는 방법과 금분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추정된다. 안료 형태 및 내부 구조상으로는 금박이 유력하지만 표현된 글자의 형태를 보면 금분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금박과 금분을 이용한 재현실험을 통하여 제작방법을 확인한다면 고분 축조 당시 칠기 제작기술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부여 백제시대 목제품의 재질분석과 보존 (Analysis and Conservation of Wooden Objects from Buyeo Era of the Baekje Period)

  • 김수철;오정애;남궁승;이광희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0권
    • /
    • pp.43-61
    • /
    • 2009
  •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의뢰받은 백제시대 유적인 능산리, 쌍북리, 궁남지에서 출토된 목제품의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보존처리에 앞서 사전 조사로 수종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나무류, 삼나무, 느티나무, 상수리나무류, 굴피나무속, 밤나무속, 비자나무속, 주목, 버드나무류 등 다양한 종으로 식별되었다. 특히, 일본 고유의 수종인 삼나무의 유물이 수종 중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어 그 당시 일본과의 교류가 활발했던 것으로 보인다. 목제품 중 6점의 칠기에 대한 칠도막 분석결과 유물에 따라 다양한 칠도막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은 100㎛가 넘는 두께이었다. 갈색의 순수한 칠과 흑색안료를 혼합한 흑색 칠을 사용하였다. 또한, 칠기목제편의 적외선 분광분석 결과 정제칠의 스펙트럼과 비교했을 때 비슷한 흡수대를 가져 옻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존처리는 고분자량의 PEG#3,350수용액(10% → 50%까지)에 함침처리하여 물리적 강도를 부여한 후 진공동결건조를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