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resource-based industry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7초

지역자원기반산업의 산업집적지 형성과정과 성공요인: 순창 장류산업을 사례로 (The Formation Process and Success Factors of Regional Resource-based Industries: A Case Study on Fermented Soy Industry in Sunchang)

  • 이경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42-357
    • /
    • 2011
  • 새로운 지역발전 패러다임으로 지역단위가 세계시장의 경쟁에 참여하고 있으며, 지역의 중요성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주변부 지역에서는 지역의 경쟁력을 이끌 수 있는 수단으로 지역자원을 이용한 산업의 발굴 및 이용에 주목하고 있다. 지역자원기반산업은 지역의 내생적 발전을 이끄는 중요한 기제이다. 본 연구는 주변부지역의 지역발전정책에의 함의를 도출하기 위하여 지역자원기반산업의 산업집적지 형성과정 및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지역자원기반산업의 산업집적지 형성과정을 고찰하고, 성공요인을 밝히는 것은 산업역동성의 근본적인 토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본 연구의 3장에서는 지역자원기반산업이 형성하는 배경 및 성공 프로세스를 역사적 접근방법으로 살펴보고, 4장에서는 사례연구에서 나타난 지역자원기반산업의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5장에서는 앞의 연구를 요약하고 지역발전정책수립시에 활용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지역자원기반산업의 가치사슬 상의 기업활동 네트워크 -순창 장류산업을 사례로- (Firm-activity Networks in the Context of the Value Chain of Regional Resource-based Industries: A Case Study of Fermented Soy Product Industry in Sunchang)

  • 이경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51-365
    • /
    • 2011
  • 본 연구는 지역자원기반산업의 지역경제공간의 형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기업 네트워크 분석방법과 가치사슬의 개념을 통합하는 연구틀을 고안하였다. 주활동으로 원료구매에서 생산, 판매에 이르는 기업활동 네트워크를 살펴보았으며, 지원활동으로 연구개발과 기업지원서비스 네트워크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틀을 기반으로 지역자원기반산업을 유형화하고 이 유형들을 종합하여 살펴봄으로써, 지역자원기반산업의 공간적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연구틀을 소개하고 한국 대표적인 지역자원기반산업인 장류제조업에 적용하여, 장류산업의 기업활동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지역자원기반산업의 역동성을 살펴보았다.

순창 장류산업 네트워크의 변화와 조정 (The Network Changes and Adjustments in the Sunchang Fermented Soy Industry)

  • 이경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7-36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산업 네트워크의 변화를 통해 지역과 산업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순창 지역 산업의 변화과정을 지역 내부에서 출현한 전통장류제조업체와, 지역외부에서 유입된 기업인 양조장류제조업체로 구분하여, 순창 장류산업의 발전과정과 지역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지역산업 네트워크를 통해 조직, 기술, 영역 공간의 지역 내외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2장에서는 순창 장류산업의 지역 내외의 확장과 변화를 살펴본다. 3장에서는 순창장류산업을 행위자 측면과 제도적 측면에서 장류산업을 살펴본다. 행위자 측면에서는 전통장류제조업체의 기업활동 네트워크를 생산네트워크, 판매네트워크, 연구개발 및 지원 네트워크로 구분하여, 순창 장류산업에서 나타난 네트워크와 이들의 조정과정을 살펴본다. 그리고 제도적 측면에서는 행위자를 둘러싼 조직, 기술, 영역 공간의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져왔고 조정되어 왔는지를 살펴본다. 4장에서는 논의를 종합하고 결론짓는다. 본 연구는 지역산업을 분석하는 관점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PDF

지역특화 IT 인력양성 프로그램 성과분석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IT Human Resource Program in Regional Industry)

  • 박정환;김국보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9-93
    • /
    • 2014
  • 미래 신 성장동력이며 융합산업의 핵심 도메인인 IT 산업은 타 산업과의 융합을 통하여 국가 발전의 기반이 되는 산업이지만, IT 고급인력의 부족 현상은 지방과 수도권에 한정되지 않고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그간의 연구들은 포괄적인 인력양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사업수행 지역의 특성화를 이룰 수 있는 인력양성 정책에 대한 성과분석에 대한 연구들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지역의 IT 고급 인력을 양성하여 IT 융합을 기반으로 지역산업을 활성화하고 이를 통하여 지역을 발전시키기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IT 인력양성 활성화를 위하여 지역 기반 인력양성사업의 IT 분야 성과분석을 통하여 제도개선방안을 설계하고자 한다.

개방화시대의 수산경제학의 과제 (The Problem of Fisheries Economics Arising from the Liberalization of korean Economy)

  • 이승래
    • 수산경영론집
    • /
    • 제24권1호
    • /
    • pp.65-86
    • /
    • 1993
  • In this paper, fishery economics is reviewed to extend a basic opportunity for developing new fishery economics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import liberalization on the fish trade structure of Korea. The principle outline of extensions emphasis to realize the modern fishery problems based on fishery economics and develop the practical methodology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s of the import liberalization on the fishery and fishermen welfare. During the process of export - oriented industrilization, the role and position of fishery in the economy is changed dynamically. When faced with the imperative of the role and position of fishery in the economy, fishery economists and domestic policy makers must decide how to organize themselves for solving fishery problems under the new regime in the import liberalization on the fish trade. Fishery problems impacted by the new regime can not be solved by fishery itself but be solved by the centralized efforts of all contributors in national views. Therefore the new systematic analytical methodology must be develop and the traditional fishery economics must be related to the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and fishery sociology as subsidiary theories specialized. Due to the impacts of the import liberalization on the fish trade structure, fishery economists face with radical changes in the domestic fishery : a place of the resources harvest to place of the combination resource harvest and its demand, a fishing as a resource exploitation to a fishing as a resource management, a traditional small scale costal fishing to a modernized and scaled fishing, fishery using the given natural resource itself to fishery as technology intensive industry, and a food supply industry to a welfare indusry based on the regional and economic resource and social environment. As these changes, fishery and its community's regional and economic resource and social environments as multiple roles of the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re emphasized in fishery economics under the new regime in the import liberalization on the fish trade. Furthermore, domestic policy makers and administrators in a public sector must realize the above radical changing trends in fishery and understand a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in fishery and develop a new fishery structure focusing on the fishing system and the fishery laws. As this point, they make efforts to improve and develop fishery as a food supply industry. Japan, for example, has a non - governmental organization to conflict the problem of international fishery such as a movement of a civil environmental protection. Also fishermen in Japan already realized conservation and pollution problems in fishing as fundamental issues of human being.

  • PDF

Exploratory Research on Dualism Structure of Tourism Alliance Network

  • Joun, Hyo-Kae;Cho, Nam-Jae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08년도 연합학회학술대회
    • /
    • pp.477-486
    • /
    • 2008
  • This paper examines the evolution issues of regional tourism resources in complicated and networked industry the perspective of co-evolution types and dualism. Regional tourism structure has been changing more and faster according to various attractions and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natural resources, facilities, festivals and events, drama and movies, and public resources, etc. This paper approaches Olikowski's dualism perspective as a theoretical view about the alliance network between region's attractions and tourism industry in Korea. Exploratory analysis was explained the dualism cases performed on the matrix between resource characteristics and alliance complexity on human resources based on regional tourism industry.

  • PDF

설악권 지역관광경쟁력기반 저하에 따른 위기타개와 관광활성화를 위한 속성 연구 (A study on the attitude of Crisis outleting and Revitalization of tour as the Decline of Competitiveness of Local tourism in Mt. Sorak Area)

  • 김영일;한응범
    • 산학경영연구
    • /
    • 제19권2호
    • /
    • pp.117-140
    • /
    • 2006
  • 관광 상품의 경쟁력은 훌륭한 자연경관과 유무형의 자원들이 적정한 조화를 이룰 때 관광객의 욕구 충족과 아울러 지역경제와 연계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관광산업은 지방화시대에서 중요한 지역경제 운영 및 개발 재원 마련의 핵심 사업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특히 강원도 설악권의 경우에는 뚜렷한 부존자원과 지역개발재원이 부족한 실정에서 지역특성에 부합하는 관광자원 개발이 각 지역의 재정자립도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악권 관광개발에 있어서의 제 운영상의 문제점과 정책적 문제점을 도출하고 관광자원의 효율적인 보전과 개발 등을 통해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현지 방문 관광객과 관광업종사자간 상품, 서비스, 홍보 마케팅 측면에서의 실증조사를 한 후 이에 맞는 경쟁력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는 지방화, 글로벌화 시대를 맞이하여 한국 관광자원의 개발 및 상품화를 체계화하여 금강-설악이 연계되는 설악관광의 육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본 연구의 한계는 설악권에 대한 관광지역 활성화를 주제로 한 관계로 인해 연구범위를 설악권 한 지역으로 국한했기 때문에 일반화 과정에는 다소 미흡하다고 판단되며 측정 면에서도 관광객과 관광 종사자 사이의 인식차이 검증에 불과하다고 볼 수 있다.

  • PDF

대구.경북 모바일산업의 기술혁신 특성 및 혁신역량 제고방안 (Characteristic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Methods for Innovation Capability in Daegu-Gyeongbuk's Mobile Industry)

  • 전지혜;이철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29
    • /
    • 2014
  • 본 연구는 대구 경북 모바일산업을 대상으로 기술혁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연구개발 인력 및 연구개발비 그리고 연구개발 네트워크를 가치사슬 부문별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역 경쟁력 제고를 위한 모바일산업의 혁신역량 제고방안을 제시하였다. 대구 경북 모바일산업의 연구개발 인력 지원은 모바일 기기 및 콘텐츠 부문에 집중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 부문의 일부 대기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업들이 규모가 작은 영세 중소업체이기 때문에 연구개발비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연구개발 네트워크는 모든 가치사슬 부문에서 기업 내부 중심의 폐쇄적인 특성을 보이며, 대학 및 연구 지원기관과의 연계는 미약하다. 따라서 대구 경북 모바일산업의 혁신역량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인프라, 플랫폼 및 임베디드 SW 그리고 모바일 콘텐츠 부문과 같이 열악한 가치사슬 부문을 중심으로 선별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더불어 모든 가치사슬 부문에 있어서는 산 학 연 관이 혁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강화할 수 있는 지속적인 만남의 장(場)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PDF

자원순환적 지역개발의 해외 벤치마킹사례 연구 (What is Missing from Korea's New Regional Development Policy - An Overseas Case Studies Toward an Eco-Oriented Society -)

  • 문석웅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5권2호
    • /
    • pp.355-386
    • /
    • 2006
  • 일본과 미국은 순환형 사회의 구현을 국가 정책의 최상위 목표로 설정하고 폐기물 제로의 사회로 향하여 구체적인 진전을 나타내고 있다. 기업차원에서 청정생산구축을 통하여 산업경쟁력을 강화하는 단계를 넘어서 지역경제개발에서도 자원순환적 접근을 체계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에코타운 프로젝트는 지역경제 개발과 환경기술 개발을 위한 R&D 지원을 병행함으로써 환경산업의 육성, 그리고 지역개발과 환경문제의 개선을 동시에 추구하는 통합적 정책의 본보기가 된다. 미국의 사례에서는 생태적 산업개발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울이는 세심한 기획과 지속 가능한 건물의 설계, 협력적 네트워크의 구축을 위한 물질순환에 대한 엄밀한 연구, 그리고 협조와 조정의 모형을 보게 된다. 순환형 시스템의 구축은 에너지와 자원의 사회 전체적 효율을 향상시키고, 환경과 경제, 산업경쟁력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함으로써 기후변화 문제를 비롯한 지구환경 문제에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방안이다. 국내에서도 모든 국가 정책의 디자인 자체가 자원순환의 비전에 의거하여 친환경적으로 설계되도록 하는 혁신이 필요하다.

  • PDF

지역산업 육성정책의 적정성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Adequacy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Regional Industries)

  • 박상옥;원유호;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260-5267
    • /
    • 2013
  • 성공적인 지역발전 모델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공간적 특색을 살릴 수 있는 전략산업 육성이 필요 하다. 지역산업 발전의 선택과 집중사이에서 선정된 전략산업이 지역경제를 이끄는 원동력이 될 것이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파급효과를 줄 것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단순히 정책적 과제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지자체의 많은 관심과 역할이 중요하며 장기적으로 지역산업과 관련된 주체의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한지를 평가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산업을 육성하는 정책적 사업의 적정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다양한 평가지표가 고려되어야 할 것임에 착안하여 국내외 지역발전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지표를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전문가를 대상으로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하여 지표의 가중치를 도출하고, 지속가능한 지역산업이 갖춰야 할 합리적 평가체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지역발전' 부문에서 '지역경제', '인력양성', '지역마케팅' 부문의 속성으로 구분하여 총 9개의 지표를 도출하였고, '산업발전'부문의 '인프라 구축', '기술개발', '기업지원'의 9개 지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향후 지역산업 육성정책의 평가 시 다양하고, 구체적인 평가체제를 기본으로 부족 부분을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지자체는 전략적으로 산업간 융복합이 가능하고, 광역지역 간 연계가 용이한 전략 산업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역산업을 위한 인재와 기업에 대한 원활한 기반마련 및 지원이 이루어 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