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silence motive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도시가스 사업장 근로자에 대한 안전커뮤니케이션, 안전침묵 동기와 침묵행동 사이의 영향관계 (The Effect Relationship among Safety Communication, Safety Silence Motives and Silence Behaviour for Workers in Natural Gas Workplace)

  • 김혜진;박달재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5-44
    • /
    • 2019
  • 안전한 사업장을 만들기 위한 핵심 요소 중 하나는 근로자들이 안전 문제에 대해 활발하게 소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시가스 사업장에서는 관련 프로그램이나 커뮤니케이션 활동 등을 개발 및 운영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의 과정에서 안전 문제에 근로자들의 침묵행동이 발생할 경우, 사업장 안전관리 향상에 긍정적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gcirc}{\bigcirc}$ 도시가스 사업장(서울 및 경기지역) 근로자 233명을 대상으로 안전침묵 동기, 침묵행동과 안전커뮤니케이션 사이에 영향관계를 조사하고자 관련 설문지를 개발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의 일관성을 확인하고자 신뢰도 분석, 각 요인의 영향 변인 간 상관분석 및 가설 검증에 대한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안전침묵 동기가 침묵행동보다 안전커뮤니케이션에 그리고 안전커뮤니케이션이 침묵행동보다 안전침묵 동기에 높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안전침묵 동기가 안전커뮤니케이션이 잘 안 되는 이유 중 하나라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안전커뮤니케이션이 잘 된다고 하여 안전침묵 동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는 것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장의 안전 관련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개선하고, 개발한다면 사업장 내 안전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Role of Safety Silence Motives to Safety Communication and Safety Participation in Different Sector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vestigation Results on Two Kinds of Industries in Indonesia

  • Ansori, Nachnul;Widyanti, Ari;Yassierli, Yassierli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2호
    • /
    • pp.192-200
    • /
    • 2021
  • Background: A number of accidents have occurred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Efforts in reducing accidents have been undertake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afety behaviors. Unfortunately, few studies have examined motives behind unsafe behaviors, such as safety silence motives. This study aimed to observe the motives underlying safety behaviors, namely safety silence motive (SSM) (SSM-relation, SSM-climate, SSM-issue, and SSM-job)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SSM and safety communication on safety participation in different industrial sectors and scales. Materials and Methods: Eighty workers from two industrial sectors and scales of SMEs were involved. They were instructed to fill out a set of questionnaires. A five-Likert scale was used to respond. An independent t test was applied to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partial least square-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multigroup was used to develop a model on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SSM scores were high in SMEs, and the scores were different across industrial sectors and scales. SSM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afety communication, and safety communication positively influenced safety participation. Conclusion: The study of SSM, safety communication, and safety participation in different sectors and scales should be separated in S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