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iency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3초

영상의 시각적 품질향상을 위한 Saliency 맵 기반의 컬러 영상압축 (Saliency Map Based Color Image Compression for Visual Quality Enhancement of Image)

  • 정성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46-455
    • /
    • 2017
  • A color image compression based on saliency map was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higher quality in saliency blocks on which people's attention focuses, compared with non-saliency blocks on which the attention less focuses at a given bitrate. The proposed method uses 3 different quantization tables according to each block's saliency level. In the experiment using 6 typical images, we compared the proposed method with JPEG and other conventional methods. As the result, it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Qup=0.5*Qx) is about 3.1 to 1.2 dB better than JPEG and others in saliency blocks in PSNR at the almost similar bitrate. In the comparison of result images, the proposed one also showed less error than others in saliency blocks.

가우스 가중치를 이용한 돌출 값 추정을 위한 방법 (The Method to Estimate Saliency Values using Gauss Weight)

  • 유영중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965-970
    • /
    • 2013
  • 이미지로부터 돌출 영역을 추출하는 것은 이후의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위한 사전 작업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 논문에서는 하나의 이미지에서 각 픽셀의 돌출 값을 추정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을 소개한다. 논문에서 제안되는 방법은 이전에 연구된 색상과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돌출 값 추정 방법을 개선한 방법이다. 먼저 이미지에서 픽셀들의 색상관계를 이용해 각 픽셀의 돌출 값을 계산하고, 이 값을 근거로 중심 돌출 픽셀을 추정한다. 추정된 중심 돌출 픽셀을 기준으로 가우스 가중치를 적용하여 각 픽셀의 돌출 값을 재추정하고, 통계적 돌출 값 추정에 적용할 초기 확률을 위해 각 픽셀의 돌출 여부가 결정된다. 마지막으로 각 픽셀의 돌출 값은 베이즈 확률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실험결과는 본 논문의 적용 방법이 적정한 크기의 돌출 영역을 가진 이미지에 대해 이전의 방법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임을 보여준다.

An Improved Saliency Detection for Different Light Conditions

  • Ren, Yongfeng;Zhou, Jingbo;Wang, Zhijian;Yan, Yuny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3호
    • /
    • pp.1155-1172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saliency detection framework based on illumination invariant features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saliency detection under the different light conditions. The proposed algorithm is divided into three steps. First, we extract the illuminant invariant features to reduce the effect of the illumination based on the local sensitive histograms. Second, a preliminary saliency map is obtained in the CIE Lab color space. Last, we use the region growing method to fuse the illuminant invariant features and the preliminary saliency map into a new framework. In addition, we integrate the information of spatial distinctness since the saliency objects are usually compact. The experiments on the benchmark dataset show that the proposed saliency detection framework outperforms the state-of-the-art algorithms in terms of different illuminants in the images.

A Study on Visual Saliency Detection in Infrared Images Using Boolean Map Approach

  • Truong, Mai Thanh Nhat;Kim, Sanghoo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6권5호
    • /
    • pp.1183-1195
    • /
    • 2020
  • Visual saliency detection is an essential task because it is an important part of various vision-based applications. There are many techniques for saliency detection in color images. However, the number of methods for saliency detection in infrared images is limited.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simple approach for saliency detection in infrared images based on the thresholding technique. The input image is thresholded into several Boolean maps, and an initial saliency map is calculated as a weighted sum of the created Boolean maps. The initial map is further refined by using thresholding, morphology operation, and a Gaussian filter to produce the final, high-quality saliency map.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high performance when applied to real-life data.

운동 및 근접 모델을 이용하는 관심맵의 향상 (Enhancement of Saliency Map Using Motion and Affinity Model)

  • 길종인;최창열;김만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57-567
    • /
    • 2015
  • 정지영상에서 공간 관심맵을 생성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되어 왔고, 최근에는 동영상의 운동정보를 활용하는 운동 관심맵 예측 기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운동 관심맵은 운동정보 및 영역분할을 활용하고 있지만, 일반적인 영상에서는 만족스러운 데이터를 얻는 것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우수한 관심맵을 얻기 위해서는 객체 운동, 카메라 운동 등의 운동유형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다양한 자연영상을 대상으로 적용하면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운동기반 관심맵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공간 관심맵에 운동 정보를 결합하고, 운동 복잡도를 활용한다. 또한 근접 모델을 이용하여 주변 픽셀들의 관심도를 유사하게 함으로써, 동일 객체 또는 배경 영역이 유사한 값을 가지도록 한다. 실험에서는 다양한 동영상 데이터에 제안 방법을 적용하여 성능 검증을 수행하였다. 공간 관심도의 개선 여부를 증명하기 위해서 공간 관심맵 방법과의 객관적 성능 평가를 통해서 제안 방법이 공간 관심맵보다 운동 픽셀의 경우에 평균적으로 관심도 값이 +38 정도 향상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참조 데이터가 있는 4개의 동영상을 대상으로 얻은 ROC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여준다.

Pedestrian identification in infrared images using visual saliency detection technique

  • Truong, Mai Thanh Nhat;Kim, Sanghoon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15-618
    • /
    • 2019
  • Visual saliency detection is an important part in various vision-based applications. There are a myriad of techniques for saliency detection in color images. However, the number of methods for saliency detection in infrared images is inadequate.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simple approach for pedestrian identification in infrared images using saliency. The input image is thresholded into several Boolean maps, an initial saliency map is then calculated as a weighted sum of created Boolean maps. The initial map is further refined by using thresholding, morphology operation, and Gaussian filter to produce the final, high-quality saliency map.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produced high performance results when applied to real-life data.

색상 대비와 텍스처 정보를 이용한 효과적인 스테레오 영상 중요도 맵 추출 (Extraction of an Effective Saliency Map for Stereoscopic Images using Texture Information and Color Contrast)

  • 김성현;강행봉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008-1018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hat constructs a saliency map in which important regions are accurately specified and the colors of the regions are less influenced by the similar surrounding colors. Our method utilizes LBP(Local Binary Pattern) histogram information to compare and analyze texture information of surrounding regions in order to reduce the effect of color information. We extract the saliency of stereoscopic images by integrating a 2D saliency map with depth information of stereoscopic images. We then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wo different sizes of the LBP histograms that are generated from pixels. The distance we measure is texture difference between the surrounding regions. We then assign a saliency value according to the distance in LBP histogram. To evaluate our experimental results, we measure the F-measure compared to ground-truth by thresholding a saliency map at 0.8. The average F-Measure is 0.65 and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improved performance in comparison with existing other saliency map extraction methods.

Saliency Map 다중 채널을 기반으로 한 개선된 객체 추출 방법 (Enhanced Object Extraction Method Based on Multi-channel Saliency Map)

  • 최영진;퀴런;김광락;김형중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2호
    • /
    • pp.53-61
    • /
    • 2016
  • 영상으로부터 중요 객체를 구하는 Saliency Map은 현재 영상처리 분야에서 가장 활발한 연구 분야이다. 이와 관련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가고 있으나 Saliency Map의 객체를 추출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SLIC와 색상차, 영역간 거리, texture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 추출하는 방법으로 Saliency Map을 개선하고자 한다. 실험결과는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영상의 모든 영역이 아닌 중앙에 있는 영역을 중점으로 주요 객체를 추출하는 결과를 보였다.

적응적인 Saliency map 모델 구현을 통한 얼굴 검출 (Face Detection through Implementation of adaptive Saliency map)

  • 김기중;한영준;한현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7권 제1호
    • /
    • pp.153-156
    • /
    • 2007
  • 인간의 시각 시스템은 선택적 주의 집중에 의해 시각 수용체로 도달되는 많은 물체들 중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Itti와 Koch는 시각적 주의를 제어할 수 있는, 신경계를 모방한 계산적 모델을 제안하였으나 조명환경에 고정적인 saliency map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상에서 ROI(region of interest)을 탐지하기 위한 조명환경에 적응적인 saliency map 모델을 구성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변화하는 환경에서 원하는 특징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상황에 적응적인 동적 가중치를 부여한다. 동적 가중치는 conspicuity map에 S.K. Chang이 제안한 PIM(Picture Information Measure)을 적용시켜 정보량을 측정한 후, 이에 따라 정규화된 값을 부여함으로써 구현한다. 제안하는 조명환경에 강인한 적응적인 saliency map 모델 구현의 성능을 얼굴검출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

배경 영상의 위치를 이용한 관심맵의 개선 (Improving Saliency Map using the Location of Background)

  • 거초;길종인;김만배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8-49
    • /
    • 2013
  • Saliency는 인간의 시각에서 관심 영역이나 객체를 찾기 위한 기법으로 최근 영상 리타겟팅, 영상분할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기존 제안된 방법들을 전체영상을 대상으로 saliency map을 구하게 되어, 복잡한 객체들의 구성, 큰 전경객체들의 존재 등의 경우에는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배경이 존재하는 영상들을 대상으로 기존 방식중의 하나인 histogram based contrast(HBC)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배경영역의 빈도확률을 HBC에 적용하여 배경에 존재하는 픽셀값의 saliency을 감소하면, 상대적으로 전경에 존재하는 픽셀들의 saliency는 증가하게 된다. 실험에서는 제안한 기법으로 배경의 saliency는 감소하고, 전경객체는 증가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