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illing rudder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6초

조타에 의한 선박의 횡요 감소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Rudder Roll Control System of a Vessel in Irregular Waves)

  • 이승건;이경우;황성준;강동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10호
    • /
    • pp.839-845
    • /
    • 2005
  • 조타에 의해 불규칙파 중 선박의 선수동요 및 횡요를 제어하는 횡요 감소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횡요를 포함한 선박 운동 시뮬레이션을 위해 4-자유도 조종 운동방정식을 사용하였고, 선체에 가해지는 외력으로서 파강제력이 고려되었다. 파강제력은 3차원 특이점 분포법에서 얻어진 주파수 전달함수로부터 시간영역해석법을 적용하였다. 선수동요와 횡요를 제어하는 PD 제어기를 각각 구성하고, 이를 선형 결합하여 횡요 감소 조타 제어기를 구성하였다. 조타 속도 및 타의 종류를 변화시켜 선수동요 및 횡요의 제어효율을 검토하였다.

조타에 의한 선박의 횡요 감소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Rudder Roll Control System of a Vessel in Irregular Waves)

  • 이승건;황성준;강동훈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5-61
    • /
    • 2005
  • 조타에 의해 불규칙파$\cdot$중 선박의 선수동요 및 횡요를 제어하는 횡요 감소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횡요를 포함한 선박 운동 시뮬레이션을 위해 4-자유도 조종 운동방정식을 사용하였고, 선체에 가해지는 외력으로서 파강제력이 고려되었다. 파강제력은 3차원 특이점 분포법에서 얻어진 주파수 전달함수로부터 시간영역해석법을 적용하였다. 선수동요와 횡요를 제어하는 PD 제어기를 각각 구성하고, 이를 선형 결합하여 횡요 감소 조타 제어기를 구성하였다. 조타 속도 및 타의 종류를 변화시켜 선수동요 및 횡요의 제어효율을 검토하였다.

  • PDF

Flap 타 선박의 조종성능 추정 연구 (Prediction of Maneuverability of a Ship with Flap Rudder)

  • 김연규;김선영;하병인;김현식;임채성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3권2호
    • /
    • pp.171-176
    • /
    • 2006
  • To improve ship's maneuverability high lift rudders like as Schilling rudder, flap rudder etc. were used. To predict the maneuverability of a ship with flap rudder HPMM tests are carried out. To analyze the test results modular model is used. To use modular model the forces of flap rudder must be measured separately from the hull forces. The flap rudder is made as independent system from the hull. To investigate the simulation results of modular model the tests results are analyzed by whole ship model, and simulated. The compared results of simulation show a good agreement except turning test. The reason is the different analysis result of flap rudder drag forces. From the present study it is possible to analyze HPMM tests of a ship with flap rudder by modular model.

타의 종류에 따른 선박의 파랑 중 직진성능에 관한 연구 (Study on Variation in Ship's Course Keeping Ability under Waves Depending on Rudder Type)

  • 구본국;이종현;강동훈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7-92
    • /
    • 2013
  • The variation in the course keeping ability in relation to rudder type is investigated using simulations with 3 different types of rudders (a normal rudder, normal rudder with a plate, and Schilling rudder) under wave conditions. The simulation is developed based on an MMG model with Kijima's regression model, along with the data from Son's experiments and Kose's experiments. A 3-D source distribution method is applied to calculate the source of the external wave forces for the simulation. The coefficients of an autopilot controller that may affect the course keeping ability are also estimated from the simulations with the different rudders. The course keeping ability is evaluated by comparing the forward distances while the ships are simulated with the rudders and autopilot control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