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subject matter knowledg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8초

A Review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Subject Matter Knowledge for Teaching Earth System Concepts

  • Roehrig, Gillian H.;Nam, Youn-Kye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94-503
    • /
    • 2011
  •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earth science has been re-conceptualized as an interdisciplinary discipline entitled Earth System Science (ESS), which is based on knowledge of the physical earth system and human impact on the earth. While there is increasing effort to teach earth as a system in K-12 education, teachers' preparedness of to teach earth system is still in its infancy. This article focuses on reviewing the literature of teachers' knowledge of earth systems and of how teachers' knowledge of subject matter affects their teaching practic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First, the study investigated a literature of PCK in general as well as in science teaching. Then this study duscuss what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SMK) is and what it means to be in teaching earth system science. Third, a literature of teachers' knowledge of earth system was reviewed. Finally, a number of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are made as to what teacher education program should do to better prepare future teachers to teach earth systems.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 및 영향 요인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Level and Influencing Factors of Academic Pass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PCK)

  • 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3호
    • /
    • pp.553-568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과 그 열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소속 초등학교 교사 161명을 선정한 후,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일부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적인 심층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 학습에 대해 '중요함'과 '조화열정'은 높은 수준, '시간/에너지 투자'와 '강박열정'은 보통보다 약간 높거나 낮은 수준이었다. 과학 내용학 학습에 대한 '좋아함'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지만, 과학 교육학 학습에 대한 '좋아함'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교직 경력보다 학부 과학 심화전공 여부에 따른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는 과학 PCK에 대한 열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개인의 관심 및 흥미', '고등학교 계열', '학부 과학 심화전공 여부', '과학 관련 대학원 진학 여부', '초등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친 경험', '영재교육원에서 과학을 가르친 경험', '과학 전담 교사 담당 경험', '과학 관련 교사 연수', '과학 관련 교수-학습 자료 개발 경험', '과학 및 과학영재 관련 업무 담당 경험', '과학 관련 교사공동체 참여 경험' 등을 골고루 선택하였다. 그러나 그 선택 비율에서는 학부 과학 심화전공 여부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초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 비교 (Comparison of Academic Passion for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betwee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 임효진;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4호
    • /
    • pp.690-700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을 비교하였다. 또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별로 과학 내용학에 대한 학업 열정과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2학기에 교육대학에서 과학 관련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비과학 심화전공 1~4학년 학생 182명과 초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직교사 161명을 선정한 후,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 검사를 온라인으로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집단 내 비교에서는 과학 내용학에 대한 학업 열정의 경우 현직교사가 예비교사보다 '중요함'과 '좋아함'의 수준이 높았지만, 예비교사는 현직교사보다 '시간/에너지 투자'의 수준이 더 높았다.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에서는 예비교사가 현직교사보다 '시간/에너지 투자'의 수준이 높았지만, 다른 하위 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집단 간 비교에서는 예비교사의 경우 '조화열정'에서만 과학 내용학에 대한 학업 열정보다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이 더 높았다. 현직교사의 경우에는 '좋아함', '중요함', '시간/에너지 투자', '강박열정'에서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보다 과학 내용학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이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였다.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과 영향 요인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Level and Influencing Factors of Academic Passion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PCK)

  • 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1호
    • /
    • pp.1-16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과 그 열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학기에 과학 관련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비과학 심화전공 1~4학년 학생 182명을 선정한 뒤,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을 측정하는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일부 학생을 대상으로 개별적인 심층 면담도 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내용학 학습과 과학 교육학 학습에 대해 '중요함'과 '조화열정'은 높은 수준, '좋아함'과 '시간/에너지 투자'는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 '강박열정'은 보통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학년보다는 고등학교 시절 계열에 따라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의 차이가 더 컸다. 초등 예비교사는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개인의 관심 및 흥미', '고등학교 시절 계열', '교육대학 과학 관련 강좌의 강의 내용', '교육대학 과학 관련 강좌 담당 교수의 특성', '교육실습 경험' 등을 비교적 많이 선택하였다. 그러나 그 선택 비율에서는 고등학교 시절 계열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PCK)의 재구성과 적용 방법 (Re-conceptualization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Its Application)

  • 조희형;고영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18-632
    • /
    • 2008
  • 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PCK의 정의와 그 구성요소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연구는 과학교사의 PCK를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과학교사 교육의 교육과정 내용을 선정하고 관련 과목을 결정하는 기준이나 준거로 사용될 수 있도록 재구성한 PCK를 제안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가 획득하여 가져야 할 PCK를 "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 또는 현직 과학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이수하거나 중 고등학교의 실제 과학 교수 경험을 통해서 획득하여 그의 중 고등학교 과학 교수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있는 지식과 기능"으로 정의하였다. 이와 같이 정의된 과학교사의 PCK는 과학과 교육학의 두 영역의 하위요소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통합되어 이루어지며, 이 연구에서는 그렇게 획득되는 PCK를 과학교육 소양으로 부른다. 이 논문에서는 PCK의 조작적 정의와 재구성된 PCK를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교육에 적용하는 방법과 그에 관한 연구에 던져주는 시사점도 기술한다.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Subject Matter Knowledge (SMK)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of Primary School Teachers in Classroom Teaching

  • Kwak, Youngsu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67-37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science content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hown in the primary school science classes. Through analysis of classroom teaching, explore the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PCK. Using open-ended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group discussions on a regular basis to analyze and compare classes of five primary school teachers, the relationship between CK and PCK. Regardless of the school level the teacher's PCK and professionalism is required with varying focus and emphasis. The features of the primary school teacher's PCK are as follows: Firstly, elementary teach secondary teach content, teachers value pedagogical knowledge (PK) content knowledge (CK). The primary school PCK requires more of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teaching methods that to subject areas. PCK be without content knowledge, and the teacher's PCK is subject-specific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PCK in the primary school science teaching, ways to set up professional exchange or collabora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to provide supplementary in-service training focused on content knowledge for primary school teachers.

수업 반성 저널을 통해 살펴 본 초등 교사의 과학 수업 반성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Teachers' 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Examined through Their Reflective Journals)

  • 양기창;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3호
    • /
    • pp.372-385
    • /
    • 2012
  • For decades, reflection has been recognised as a meaningful tool to bring forth teachers' ownership as well as knowledge and action empowerment in teacher education. Ye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elementary teachers' 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in Korea. In this study, 71 reflective journals of 24 elementary teachers on their science teaching wer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reflective journals were analyzed in terms of 'productive reflection', a concept suggested by Davis (2006). Unproductive reflection is mainly descriptive without analysis, whereas productive reflection can promote teachers' learning by integrating four aspects of teaching (learner/learning, subject matter knowledge, instruction and assessment). The result showed what elementary teachers consider and emphasize and how they integrate their ideas. Most of reflective journals included aspects of 'instruction', 'learner/learning', and 'subject matter knowledge'. However 'instruction' was emphasized most frequently (69.0%) than 'subject matter knowledge' (33.8%) and 'learner/learning' (26.8%). 'Assessment' was hardly included nor emphasized. More than half of the journals (56.3%) showed no integrations, which were unproductive reflection. A third of the journals (32.4%) integrated only two aspects among four. Average score of integrations was 1.6 on a scale of 4 points. The integrations were not affected by the length of reflective journals and the teaching experi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ductive reflection would not increase naturally with teaching experience and there needs more tactful guidance to develop elementary teachers' productive 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교실 수업에서 초임 과학교사의 교과내용지식이 내용교수지식에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effects of Subject Matter Knowledge(SMK)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f secondar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classroom teaching)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11-62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에서 드러난 초임교사의 과학내용지식 측면의 특징을 탐구하는 것이다. 수업동영상 분석을 위한 컨설팅 협의회, 초임교사와의 면담 자료 등을 활용하여 초임교사들이 지닌 과학교과에 대한 인식 및 과학내용 지식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분석대상으로 한 수업은 중학교 3학년 일과 에너지 단원의 9차시 수업이며, 6명의 초임교사와 선배교사로 구성된 6명의 컨설팅 협의진이 차시별 수업을 교차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임과학교사들은 실증주의적 인식론을 지니고 있으며, 교사의 권위는 내용지식을 많이 아는 데서 나온다고 생각하며, 과학 엘리트 의식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과내용지식 측면에서 초임교사의 수업의 특징을 살펴보면, 때로는 교사 자신의 오개념으로 인해 수업 중에 표현 오류가 발견되고, 교사가 내용을 많이 아는 것이 오히려 독이 되는 경우가 발견되고, 생각나는 것을 모두 언급하는 산발적 내용 전개가 발견되며, 초임이나 비전공자가 진행할 경우 수업시간이 남아도는 등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초임교사의 과학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경력교사들이 제안하는 대안을 탐색하였다. 결론에서는 과학교사의 교과내용지식(SMK)은 과학 교수활동에 영향을 주지만, 다른 교사지식에 의해 매개되므로, 초임 과학교사들의 과학내용지식(SMK)을 과학 내용교수지식(PCK)으로 전환할 수 있는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the Student-Teacher Practice)

  • 박철용;민희정;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41-648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두 명의 사범대학 4학년생들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인터뷰, CoRe 질문지, 교육실습기간의 수업관찰기록 등의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반복적 비교 분석법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두 예비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 수준은 매우 낮았다. 두 예비과학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은 서로 달랐으며, 과학 교수지향은 교육실습 기간 동안의 교수경험 후에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두 예비과학교사의 내용지식은 매우 부족하였으며, 학생 이해에 대한 지식수준도 매우 낮았다.

지식 공유의 관점에서 본 과학 교실 담화의 사례 (Cases of Science Classroom Discours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Sharing)

  • 오필석;김찬종;이선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97-30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교실 수업이 지식 공유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 토대하여 우리나라 중등학교 과학 교실에서 담화 행위를 통해 발생하는 지식 공유의 다양한 양상을 파악하였다. 9명의 과학 교사들의 수업을 녹화한 비디오 테잎을 주된 자료원으로 하였으며, 수업 녹화물과 전사본을 해석적인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중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들 간의 담화 행위를 통해 이루어지는 지식 공유의 양상은 네 가지로 대별되었다. 즉, 교과 내용의 재생, 교과 내용의 재구성, 이해의 확장 및 정교화, 의미의 협상이 그것이다. 특히, 학생들의 능동적인 담화적 역할이 허용된 보다 적극적인 수준의 지식 공유 양상이 이상적인 교실 담화 행위의 한 유형이라고 할 수 있는 스캐폴딩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더욱 다양한 관점에서 과학 수업을 이해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고, 더 좋은 과학 수업을 위해 스캐폴딩과 같은 이상적인 교실 담화 행위의 특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수업에 활용하는 노력이 있어야함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