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 childbirth pla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10개월 이하 영아를 둔 취업모의 양육지원체계, 자녀가치관 및 심리적 안녕감이 둘째아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 Care Support, Value of Childre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Second Childbirth Plans for Employed Mothers with An Infant of 10 Months or Younger)

  • 박찬화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5-111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thways of factors affecting 173 employed mothers' second childbirth plans. Participants were all employed working mothers with an infant under 10 months old. The hypothetical model used in this research proposed that workplace childcare support, social support,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mothers will directly affect second childbirth plans. Additionally, workplace childcare support, social support, value of children, marital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will indirectly influence second childbirth plans as a result of parenting stres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at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tress were the factors which directly affected second childbirth plans of employed mothers. In addition, workplace childcare support, social support, marital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indirectly influenced second childbirth plans as a result of parenting stres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workplace childcare support and the need for enhancing the value of children. This research further suggests the need for policies aimed at increas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creasing parenting stress for working mothers who are contemplating second childbirth plans.

저출산 대응정책이 출산순위별 출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ertility Policies on Childbirth by Birth Order)

  • 유계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2호
    • /
    • pp.191-201
    • /
    • 2009
  •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prepared the comprehensive five-year basic plan (2006-2010) to deal with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eing. The basic plan aims at recovering the fertility rate to the appropriate level and improving the social and economic systems in preparation for the aged society.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ertility policies on childbirth by birth order. The data came from 1,729 adults who gave birth to babies in 2007 and 991 adults as the control group. The ser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establishing the health and nutrition system for maternity and children, and expanding of tax and social insurance benefit were effective policy measures to increase childbirths of first children, while the policy measures establishing the health and nutrition system for maternity and children, supporting for daycare and pre-school education, and work-life balance were effective to childbirths of second or third children in 2007. However, the policies of supporting for costs of test-tube baby and expanding childcare infra didn't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s on childbirths in 2007. The implications of study results were discussed.

초임부의 부부관계와 부모기전이 보상/비용기대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Expectation on Reward/Cost and Martial Relation of First Pregnant Women)

  • 김양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7권3호
    • /
    • pp.1-16
    • /
    • 1999
  • This study focuses on the beginning of transition to parenthood expectation and applies the exchange theory in order to examine reward and cost of transition to parenthood expectation and picks up the main cause effecting it. This study conducted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total 330 first pregnant women and examin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F-test analysis by using collected data. And here are the result of research. First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expectation expected rewards much more than costs and had much importance on individual aspects in parenthood. The more were they aged hardly educated and housewives the higher did they showed expectation of reward. The less did they have high education the more did they expect costs of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expectation. Second to examined the reward/cost of transition to parenthood expectation according to martial satisfaction the more did they have martial satisfaction the more did they expectation of the rewa ds on transition to parenthood expectation. On the contrary the more did they respect from husbands the less did they cost of transition to parenthood expectation.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lead family life having childbirth to the positive way be examining the process from childbirth plan to delivery. Also it will be applicable to seek for the methods to help would-be parents as basic data on material on education about transition to parenthood.

  • PDF

기혼남성의 추가 출산계획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Why Married Men Decide to Have Additional Children)

  • 전나리;조복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25-143
    • /
    • 2012
  • 본 연구는 저출산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기혼남성의 인구통계학적 변수, 양육 부담감, 역할 만족도, 출산장려정책 인지도가 어떠한지 살펴보았고, 추가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거주하는 만 5세 이하의 자녀를 둔 기혼남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여, 최종 188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재자녀수가 적을수록, 배우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역할만족도가 높을수록, 출산장려정책인지도가 높을수록, 배우자가 취업하지 않았을때 "남편과 아내 모두 자녀출산을 원함"범주에 드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내만 원함"의 경우는 현재자녀수가 적을수록, 기혼남성의 역할만족도가 낮을수록, 배우자가 취업하지 않았을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편만 원함"의 경우는 현재자녀수가 적을수록, 배우자가 취업 하였을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남편과 아내 모두 자녀출산을 원치 않음"의 경우는 현재자녀수가 많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Analyzed by Spatial Composition of Domestic Share House

  • Lee, Jae-Hyouck;Kim, Young-Hoon
    • KIEAE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5-12
    • /
    • 2017
  • Purpose: Recently, a sudden increase in one household in Korea has become an important social problem. Changes in lifestyles such as population change, marriage, childbirth, and divorce are becoming increasing factors for single-family households. As a result of these changes,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policies for one accredited state. However, the policy for one domestic applicant is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countries. As a measure to cope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applicants, Shared House has emerged and research on Shared House is necessary. Method: First, we analyz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hare house. And it does a spatial analysis of domestic share house. Especially, it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space and public space. Finally, the plan characteristics are deriv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Resul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share house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arrangement of private space and the public space. Second, the larger the scale, the more vertical arrangement than horizontal arrangement. Finally, the character of the share house chang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

저출산 대응을 위한 일-가정 양립지원정책 (Work-Family Balance Policies Responding to Low Fertility)

  • 유계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8권1호
    • /
    • pp.111-125
    • /
    • 2012
  •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1983년 인구대치수준에 도달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현재 세계 최하위권의 출산율에 머물고 있다.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증가와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어려움은 전통적 성역할 및 가족규범과 함께 저출산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또한 지속적인 경기침체와 양극화는 일-가정 양립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저출산을 보다 심화시키고 있다. 2011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서는 저출산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책의 우선순위를 일-가정 양립지원 및 결혼·출산·양육부담 경감에 두고 있다. 특히 양성평등 환경조성에 기반한 일-가정 양립지원정책은 향후 출산율 제고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보육, 근로시간, 휴가·휴직, 돌봄노동 등 우리 사회의 저출산과 관련된 일-가정 양립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정부와 국내기업의 정책 현황과 출산율 제고효과를 고찰함으로써 저출산 대응 및 여성고용 촉진을 위한 일-가정 양립지원정책의 추진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PDF

치과위생사의 안정적인 고용문화 정착을 위한 제언 (Suggestions for Settlement Stable Employment Culture of Dental Hygienist)

  • 윤미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63-471
    • /
    • 2017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의 경력단절의 요인을 분석하고 장기근속을 위한 제도적 마련 및 치과위생사의 안정적인 고용문화 정착을 위한 방안을 연구하여 치과위생사의 구인난 해결과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 및 유휴인력 재취업 방안을 찾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또한 치과계 여성 종사인력 올바른 일자리 정착을 위한 포럼 등 관련 문헌고찰과 선행연구자료 및 정보 등을 분석하여 치과위생사의 안정적인 고용문화 정착을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치과위생사의 경력단절 예방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출산 및 육아로 퇴직을 방지하기 위한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장가근속을 유지하기 위한 임금과 근무시간, 근무형태를 효율적으로 구성하며, 경력 장려금의 지급, 병원내 복무규정과 처우개선을 구체화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장기근속을 유도할 수 있는 경력유지 장려금 및 '청년내일채움공제' 제도의 도입 등을 통해 고용환경을 조성하고 경력단절의 예방체계를 구축해야 되겠다. 둘째, 유휴인력의 활용방안 모색 및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결혼, 출산, 육아, 학업, 개인사정 등을 이유로 기존 정규 근무시간에서 본인이 원하는 만큼 시간을 줄여 근무하고 국가지원금을 받으며 일하는 시간선택제 일자리 전환제도를 더욱 활용하고, 그 신청과정을 간소화하고 평가기준도 단일화해야 할 것이다. 유휴인력의 재취업 시 부여할 업무범위와 근무형태의 표준화가 필요하며, 근무형태도 전일제나 시간제 등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새로운 기술을 반영하여 치과의사협회와 치과위생사협회가 공동으로 유휴인력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빠른 재취업이 가능하도록 돕고, 유휴이력의 인적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인력의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한다. 셋째, 휴직 후 타 직종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들의 치과계 재유입 유도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치과계를 이탈하여 타 직종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들이 다시 치과계로 돌아올 수 있는 긍정적인 이미지의 근무환경조성과 유휴인력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이고 꾸준한 홍보, 유휴인력을 위한 전문취업사이트 구축 등 치과계 전체의 공동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일과 육아를 모두 양립할 수 있도록 여성의 사회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정부의 현실적인 지원과 혜택, 그리고 이용이 편리한 제도적 마련이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