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gments

검색결과 3,455건 처리시간 0.027초

Long Term Efficacy of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with Standard Cages alone in Lumbar Disc Diseases Combined with Modic Changes

  • Kwon, Young-Min;Chin, Dong-Kyu;Jin, Byung-Ho;Kim, Keun-Su;Cho, Yong-Eun;Kuh, Sung-U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6권4호
    • /
    • pp.322-327
    • /
    • 2009
  • Objective :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IF) is considered to have the best theoretical potential in promoting bony fusion of unstable vertebral segments by way of a load sharing effect of the anterior column.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PLIF with cages in chronic degenerative disc disease with Modic degeneration (changes of vertebral end plate). Methods : A total of 597 patients underwent a PLIF with threaded fusion cages (TFC) from 1993 to 2000. Three-hundred-fifty-one patients, who could be followed for more than 3 yea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Patients were grouped into 4 categories according to Modic classification (no degeneration : 259, type 1 : 26, type 2 : 55, type 3 : 11). Clinical and radiographic data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Results : The clinical success rate according to the Prolo's functional and economic outcome scale was 86% in patients without degeneration and 83% in patients with Modic degeneration. The clinical outcomes in each group were 88% in type 1, 84% in type 2, and 73% in type 3. The bony fusion rate was 97% in patients without degeneration and 83% in patients with Modic degeneration. The bony fusion rate in each group was 81% in type 1, 84% in type 2, and 55% in type 3. The clinical success and fusion rat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type 3 degeneration. Conclusion : The PLIF with TFC has been found to be an effective procedure for lumbar spine fusion. But, the clinical outcome and bony fusion rates were significantly low in the patients with Modic type 3. The authors suggest that PLIF combined with pedicle screw fixation would be the better for them.

Long-Term Follow-Up Results of Anterior Cervical Inter-Body Fusion with Stand-Alone Cages

  • Kim, Woong-Beom;Hyun, Seung-Jae;Choi, Hoyong;Kim, Ki-Jeong;Jahng, Tae-Ahn;Kim, Hyun-Jib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9권4호
    • /
    • pp.385-391
    • /
    • 2016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long-term follow-up radiologic/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who underwent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inter-body fusion (ACDF) with stand-alone cages (SAC) in a single academic institution. Methods : Total 99 patients who underwent ACDF with SAC between February 2004 and December 2012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A total of 131 segm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Basic demographic information, radiographic [segmental subsidence rate, fusion rate, C2-7 global angle, and segmental angle changes)/clinical outcomes (by Odom's criteria and visual analog score (VAS)] and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 long-term outcomes. Results : The majority were males (55 vs. 44) with average age of 53.2. Mean follow-up period was 62.9 months. The segmental subsidence rate was 53.4% and fusion rate was 73.3%. In the subsidence group, anterior intervertebral height (AIH) had more tendency of subsiding than middle or posterior intervertebral height (p=0.01). The segmental angle led kyphotic change related to the subsidence of the AIH. Adjacent segmental disease was occurred in 18 (18.2%) patients. Total 6 (6%) reoperations were performed at the index level.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But, overall long-term clinical outcome by Odom's criteria was unsatisfactory (64.64%). The neck and arm VAS score were increased by over time. Conclusion : Long-term outcomes of ACDF with SAC group were acceptable but not satisfactory. For optimal decision making, more additional comparative long-term outcome data is needed between ACDF with SAC and ACDF with plating.

선형 배수로에 대한 부등류 해석 (Varied Flow Analysis for Linear Drainage Channels)

  • 구혜진;전경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8호
    • /
    • pp.773-784
    • /
    • 2008
  • 본 연구는 노면배수시설에 이용될 수로 양단에 유출구를 가지며 유량이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선형 배수로의 부등류 흐름의 해석 방법을 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지배 방정식으로서 유한 차분 형태의 대수방정식을 사용하여 지배단면에서의 수심 값을 경계조건으로 Newton-Raphson 방법에 의하여 수면곡선을 계산하였다. 하류단에 유출구를 갖는 수로와 수로 양단에 유출구를 갖는 수로를 고려하고, 다양한 종단경사에 대하여 흐름 해석을 수행하였다. 단, 양단에 유출구를 갖는 수로의 경우 양단을 지배단면으로 만드는 임계 종단경사를 조사하여 이보다 작은 종단경사에 대한 흐름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임계경사는 지배단면의 위치와 종단경사의 관계로부터 결정하였다. 하류단에 하나의 유출구를 갖는 수로의 경우 수로 상에 존재하는 지배단면의 위치를 조사하여 그 지점을 기준으로 상류 및 하류 방향으로 수심을 계산한다. 반면 양단에 유출구를 갖는 수로의 경우 지배단면이 수로 양단이라면 분수계를 가정하여 분수계를 기점으로 구분되어지는 상류측 및 하류측 수로에 대한 흐름 해석을 수행하고, 상류단에서 분수계 방향으로 그리고 하류단에서 분수계 방향으로 계산된 분수계 지점의 두 수심이 동일할 때까지 흐름 계산을 반복한다. 흐름 계산 결과 양단에 유출구를 갖는 수로가 임계경사보다 큰 경사로 설치된 경우에는 하류단에 유출구를 갖는 수로의 흐름 거동과 유사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노면배수시설 설계의 중요한 요소인 최대수심은 종단경사가 작을 때 등류 해석으로 계산된 값이 부등류 해석보다 크게 산정되었으며, 이는 종단경사가 작을 때 등류 해석을 기반으로 한설계가 과대설계가 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친환경건축물 설계를 위한 Green VE 대상선정모델 (Subject Selection Model of Green VE for Sustainable Design)

  • 송창엽;문현석;현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42-52
    • /
    • 2011
  • 최근 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모든 산업분야에서 환경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건축물이 환경에 미치는 양향은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전생애주기 동안에 에너지 절약과 생태환경보전을 위해 국가별로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국토해양부와 환경부가 모든 시설물에 대한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2010년부터 신축되는 모든 공공청사에 대해서 건물에너지효율 1등급의 취득을 의무화하고 있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친환경건축물의 설계를 위해서는 설계 초기단계부터 친환경요소를 고려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받기 위한 과정을 살펴보면, 실시설계가 거의 완료된 시점에서 친환경요소들을 고려함으로써 근본적인 친환경요소들을 설계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본 및 실시설계 Value Engineering에서 친환경적인 요소들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친환경요소들을 고려한다면 효율적인 친환경건축물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과 기존의 VE 대상선정 기법을 분석하여 프로젝트에서 집중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친환경적인 요소들을 선정하기 위한 Green VE 대상선정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트랜스코딩 프록시에서 세그먼트 기반 캐쉬 교체 정책 (Segment-based Cache Replacement Policy in Transcoding Proxy)

  • 박유현;김학영;김경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5A권1호
    • /
    • pp.53-60
    • /
    • 2008
  • 최근 스트리밍 미디어는 인터넷 상의 많은 트래픽을 유발하고 있다. 기존의 웹을 위한 객체와 마찬가지로 스트리밍 객체 또한 프록시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여러 이점이 있긴 하지만, 스트리밍 미디어를 캐슁 하는 방법은 기존의 웹을 위한 객체보다 매우 크고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기 때문에 고려해야 할 점이 많다. 또한 많은 종류의 단말들의 다양한 대역폭을 적절히 서비스 하기 위해서 프록시 기능과 트랜스코딩 기능을 함께 할 수 있는 트랜스코딩 프록시가 유용하다. 기존의 프록시는 객체가 프록시 서버에 저장되어 있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로만 고려되었으나, 트랜스코딩 프록시에서는 같은 객체의 다양한 버전에 대해서 종합적인 효과를 고려하여 최적의 버전 집합을 저장 해야 한다. 또한 최근의 멀티미디어 캐슁 시스템들은 접근 빈도가 높은 앞부분을 캐슁하여 지연 시간을 줄이고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한편 많은 연구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효율적인 저장 관리를 위해서 객체를 세그먼트로 나누어 관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분 캐슁을 사용하는 트랜스코딩 프록시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른 후속 작업을 결정하기 위해 4개의 기본 이벤트를 이용하여 9개의 이벤트로 정의한다. 또한 트랜스코딩 프록시 시스템을 위하여 세그먼트 기반의 관리정책을 제안한다. 실험결과는 제안하는 방법이 사용자 지연시간, BHR와 트랜스코딩 데이터의 양이 적음을 보여준다.

우주항공의 신소재를 위한 New Austria Tunnel Method 수지합성에 대한 Fume silica의 영향 (Effects of Fume silica on synthesis of New Austria Tunnel Method Resin for new material in space aviation)

  • 김기준;이주호;박태술;이주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95-601
    • /
    • 2014
  • NATM의 미세 구조는 SEM, FT-IR, 인장특성, 그리고 [NCO]/[OH]의 mole %, 입도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 친환경적인 NATM에 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코팅에 더욱더 중요한 무용제 도료의 발전을 이끈다. 우리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NATM(New Austria Tunnel Method)의 수지를 합성하였다. 폴리우레탄과 에폭시로 합성한 혼성 수지는 일반적 NATM 수지와 도료와 비교하여 강도와 내구력이 매우 양호하다. 혼성수지는 폴리올, 에폭시, MDI, 실리콘 계면활성제, 촉매, 가교제, 충전제로 구성된다. 충전제인 fume silica는 경화속도를 가속시킬 뿐만 아니라 열적 장벽으로 물성이 우수함을 나타냈다. NATM 수지의 기계적 특성은 [NCO]/[OH]의 mole%와 fume silica가 증가함에 따라 강도가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가교제와 fume silica가 함유된 혼성수지의 미세구조는 스테인레스 스틸같은 금속물질의 열경화코팅을 위한 좋은 물질이다.

다문화사회가 지역공동체에 미친 영향분석 (Analysis the Multicultural Society Impact on the Local Community)

  • 박종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222-233
    • /
    • 2015
  •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유입이 지역공동체에 미친 영향을 정치(행정) 경제 사회 문화의 네 유형으로 분류하여 유형별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으로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일부 부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응답자는 다문화사회의 유입이 우리나라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향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분석결과 다문화사회가 지역공동체에 미친 가장 긍정적인 영향 분야는 정치(행정), 경제, 사회, 문화의 네 분야 중 문화분야 라고 평가하고 있으며, 반면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분야는 사회분야라고 평가하고 있다. 그 동안 우리는 획일화된 민족주의 문화속에서 살다가 이질적인 외국인주민들이 급속히 증가하면서 서로 간의 가치관 차이와 문화충돌로 인해 갈등이 발생하고 있지만 외국인주민들은 대체적으로 우리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질적으로 결혼이민자는 농촌총각의 결혼문제를 해결하여 사회범죄 발생률을 낮추는 효과는 물론 인구감소 현상을 막아주고 있다. 또한 외국인근로자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회피하는 3D업종에 낮은 임금으로 취업하여 우리나라 경제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Characterization of a New ${\beta}$-Lactamase Gene from Isolates of Vibrio spp. in Korea

  • Jun, Lyu-Jin;Kim, Jae-Hoon;Jin, Ji-Woong;Jeong, Hyun-D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4호
    • /
    • pp.555-562
    • /
    • 2012
  • PCR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beta}$-lactamase genes carried by ampicillin-resistant Vibrio spp. strains isolated from marine environments in Korea between 2006 and 2009. All 36 strains tested showed negative results in PCR with the primers designed from the nucleotide sequences of various known ${\beta}$-lactamase genes. This prompted us to screen new ${\beta}$-lactamase genes. A novel ${\beta}$-lactamase gene was cloned from Vibrio alginolyticus KV3 isolated from the aquaculture water of Geoje Island of Korea. The determined nucleotide sequence (VAK-3 ${\beta}$-lactamase) revealed an open reading frame (ORF) of 852 bp, encoding a protein of 283 amino acids (aa), which displayed low homology to any other ${\beta}$-lactamase genes reported in public databases. The deduced 283 aa sequence of VAK-3, consisting of a 19 aa signal peptide and a 264 aa mature protein, contained highly conserved peptide segments specific to class A ${\beta}$-lactamases including the specific amino acid residues STFK (62-65), SDN (122-124), E (158), and RTG (226-228). Results from PCR performed with primers specific to the VAK-3 ${\beta}$-lactamase gene identified 3 of the 36 isolated strains as V. alginolyticus, Vibrio cholerae, and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 indicating the utilization of various ${\beta}$-lactamase genes including unidentified ones in ampicillin-resistant Vibrio spp. strains from the marine environment. In a mating experiment, none of the isolates transfered the VAK-3 ${\beta}$-lactamase gene to the Escherichia coli recipient. This lack of mobility, and the presence of a chromosomal acyl-CoA flanking sequence upstream of the VAK-3 ${\beta}$-lactamase gene, led to the assumption that the location of this new ${\beta}$-lactamase gene was in the chromosome, rather than the mobile plasmi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VAK-3 ${\beta}$-lactamase was indicated by elevated levels of resistance to penicillins, but not to cephalosporins in the wild type and E. coli harboring recombinant plasmid pKV-3, compared with those of the host strain alone. Phylogenetic analysis showed that VAK-3 ${\beta}$-lactamase is a new and separate member of class A ${\beta}$-lactamases.

제4기 토함분지 (Quaternary Toham Basin)

  • 최성자;홍덕균;최위찬;김명진;이석규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5호
    • /
    • pp.533-541
    • /
    • 2004
  • 활성단층 연구가 시작된 이래로 제4기 퇴적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으며 단구 지형에 퇴적된 미고결 퇴적물에 대하여 많은 자료가 축척되어 있으나, 지금까지 고결된 제4기 지층에 대한 자료는 보고 된 바 없다. 토함산 동쪽의 탐정리와 장항리에는 단단하게 고화되어 있는 역층이 두껍게 발달하고 있다. 이 층을 조양도폭(Tateiwa, 1924)에서는 연일층군의 기저역암인 천북역암으로 보았으며, 손문 등(2000)는 제3기 퇴적분지인 와읍분지 남서부 지괴를 구성하고 있는 송전층에 대비한 바 있으나, 이 퇴적층의 분포를 추적하여 보면 제4기의 미고결 역질층과 정면으로 대치되고 있다. 이 역질층에 협재되어 있는 적갈색 내지 청회색의 사질층에 대한 OSL 연대 측정결과 85∼92ka의 연대가 산출되었으므로 신제3기 전기 마이오세의 천북역암이 아닌 제4기 최후기 간빙기(MIS 5c∼5e)로 확인되었다. 이 역질층을 토함산층으로 명명하였으며 거각력질 층준과 역질 층준으로 분류된다. 이 층은 연일구조선의 분절단층인 외동단층과 연일단층에 의하여 규제되는 북북동방향의 장방형 퇴적분지 내에서 발달하고 있으며, 이 분지를 토함분지라 정하였다. 플라이오세부터 가해진 동서압축력에 의한 서향 역단층 운동은 최후기 간빙기 동안인 약 10만 년 전 까지 계속되었으며, 서향압축에 수반된 정단층이 동쪽으로 일어나 붕적층이 퇴적되어 토함분지가 형성되었다.

경골 천정(pilon) 골절의 최신 치료 (Current Treatment of Tibial Pilon Fractures)

  • 이준영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1-57
    • /
    • 2011
  • Pilon fractures involving distal tibia remain one of the most difficult therapeutic challenges that confront the orthopedic surgeons because of associated soft tissue injury is common. To introduce and describe the diagnosis, current treatment, results and complications of the pilon fractures. In initial assessment, the correct evaluation of the fracture type through radiographic checkup and examination of the soft tissue envelope is needed to decide appropriate treatment planning of pilon fractures. Even though Ruedi and Allgower reported 74% good and excellent results with primar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recently the second staged treatment of pilon fractures is preferred to orthopedic traumatologist because of the soft tissue problem is common after primar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The components of the first stage are focused primarily on stabilization of the soft tissue envelope. If fibula is fractured, fibular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is integral part of initial management for reducing the majority of tibial deformities. Ankle-spanning temporary external fixator is used to restore limb alignment and displaced intraarticular fragments through ligamentotaxis and distraction. And the second stage, definitiv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the tibial component, is undertaken when the soft tissue injury has resolved and no infection sign is seen on pin site of external fixator. The goals of definitive internal fixation should include absolute stability and interfragmentary compression of reduced articular segments, stable fixation of the articular segment to the tibial diaphysis, and restoration of coronal, transverse, and sagittal plane alignments. The location, rigidity, and kinds of the implants are based on each individual fractures. The conventional plate fixation has more advantages in anatomical reduction of intraarticular fractures than locking compression plate. But it has more complications as infection, delayed union and nonunion. The locking compression plate fixation provides greater stability and lesser wound problem than conventional implants. But the locking compression plate remains poorly defined for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tibia. Active, active assisted, passive range of motion of the ankle is recommended when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is started. Splinting with the foot in neutral is continued until suture is removed at the 2~3 weeks and weight bearing is delayed for approximately 12 weeks. The recognition of the soft tissue injury has evolved as a critical component of the management of pilon fractures. At this point, the second staged treatment of pilon fractures is good treatment option because of it is designed to promote recovery of the soft tissue envelope in first stage operation and get a good result in definitive reduction and stabilization of the articular surface and axial alignment in second stage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