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gregational resistanc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염기성 pH에서의 고점도 커들란에 의한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억제 효과 증진 (A High Viscosity of Curdlan at Alkaline pH Increases Segregational Resistance of Concrete)

  • 이인영;김선원;이중헌;김미경;조인성;박영훈
    • KSBB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114-118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담당의 일종인 커들린을 콘크리트 혼화제로 사용하기 위하여 시험공장 수준에서의 커들란 대량생산 공정을 확립하고, 생산한 다당의 물성과 특성을 조사하고 콘크리트와의 혼합에 의한 콘크리트 재료분리 억제제로서의 새로운 용도를 평가하였다. 커들란을 300 리터 발효조에서 고농도로 대량 생산하기 위하여 커다란 규모로 대량 생산 시 종종 제한요인이 되는 산소 전달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최적 교반속도와 세포성장 단계와 커들란 생산 단계에서의 배양액 pH를 전이하는 방법을 적용 하였다 교반속도를 200 rpm으로 유지하여 pH를 7.0으로 조절하여 20시간 배양 후, 배양액 내 암모니움은 고갈되었고. 이때 세포농도는 9.8g/L에 달하였다. 질소원이 고갈되고 커들란이 생산되는 단계에서 발효액의 pH를 5.5로 전이하여 최종 65g/L의 커들란을 120 시간 안에 생산할 수 있었다. 커들란의 용해도는 pH 11.0 이하에서는 거의 불용임을 알 수 있었으며, pH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여 pH 13에서는 거의 다 녹았다. 커들란의 점도는 pH 12에서 가장 높았고 pH 13에서도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다. 시멘트 현탁액의 pH가 약 13 정도임을 생각할 때 커들란을 혼화제로 콘크리트에 첨가할 경우 잘 용해되고 또한 콘크리트의 점도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커들란을 소량 첨가하였을 때에도 물이 slurry로부터 분리되었으나 커들란을 소량 첨가하였을 때에도 시멘트 slurry로부터 물이 분리되지 않고 균일한 흐름 경향을 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자들은 조업이 간편한 회분식발효를 통하여 고능도로 거들란을 대량생산할 수 있었으며, 효율적이고 저렴한 분리공정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커들란을 소량 콘크리트에 첨가하여 재료 분리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는 바, 커들란의 산업적 생산에 커다란 가능성을 부여한다.

  • PDF

Production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EPS WN9, from Paenibacillus sp. WN9 KCTC 8951P and Its Usefulness as a Cement Mortar Admixture

  • Kahng, Goong-Gjung;Lim, Seo-Hyung;Yun, Han-Dae;Seo, Weon-Taek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6권2호
    • /
    • pp.112-116
    • /
    • 2001
  • The production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EPS WN9, from Paenibacillus sp. and its suitability as a viscosity modifying admixture for cement mortar mixing were investigated. After 48h culture in an optimized medium, cell growth and EPS production were 1.2g/L and 4.0g/L, respectively. By adding EPS WN9 to mortar, it was possible to prepare a homogeneous mortar without material segregation and excess air entrapment. The optimal amount of EPS addition to mortar found to be 0.02 to 0.05%(w/w) of the cement used. Increasing the dosage of EPS WN9 from 0 to 0.05%(w/w) resulted in a setting retardation of 0.14h to 0.8h and an increase i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of 10 to 2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