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ielded-microstrip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7초

Efficient Calculation of a Step Discontinuity for Shielded-Microstrip using Vector Finite Element (VFEM) and Mode Matching Method

  • Kim, Young-Tae;Park, Jun-Seok;Kim, Hyeong-Seok
    • KIEE International Transactions on Electrophysics and Applications
    • /
    • 제2C권5호
    • /
    • pp.268-272
    • /
    • 2002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procedure to analyze a shielded-microstrip step discontinuity using the mode matching method (MMM) combined with the vector finite element method (VFEM), which is used to find the equivalent waveguide-model for a microstrip. In order to calculate the effective-widths and -dielectric permittivity of the equivalent waveguide-model corresponding shielded-microstrip, the propagation constant and characteristic impedance are calculated from the VFEM. MMM is then applied to find the scattering parameter in the planar waveguide. This technique makes it possible to take advantage of the high accuracy of the VFEM as well as the high efficiency of the MMM.

FEM을 이용한 Shielded Microstrip Line의 정전용량 해석 (A Calculation of the Capacitance of a Shielded Microstrip Line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 이우찬;김형석;아델 라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1664-1665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a derivation of the capacitance of a shielded microstrip line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FEM). The first approach adopts a 2-D version of Gauss's theorem and an approximation of integral to finite differencing. In this case, the choice of a contour and the size of a mesh affects the validity of the capacitance. Next, the method for deriving the capacitance by using of energy relation is shown. Finally, the simulation results are compared to those of the commercial tool (COMSOL) adopted FEM.

  • PDF

$0.18-{\mu}m$ CMOS공정을 이용한 Ka 대역 근거리 무선통신용 전력증폭기 설계 (Ka-band Power Amplifiers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0.18-{\mu}m$ CMOS Process)

  • 허상무;이종욱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4호
    • /
    • pp.131-136
    • /
    • 2008
  • [ $0.18-{\mu}m$ ] CMOS공정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22-29 GHz)에서 응용할 수 있는 전력증폭기를 설계하였다. 전도성 기판에 의한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기판 차폐된 두 가지 형태의 전송선로를 설계하고, 40 GHz 까지 측정 및 모델링하였다. 기판 차폐 microstrip line (MSL) 전송선로의 경우 27 GHz에서 약 0.5 dB/mm의 삽입손실을 나타내었다. 기판 차폐 MSL 구조를 이용한 전력증폭기는 0.83$mm^2$의 비교적 작은 면적을 차지하면서도 27 GHz에서 14.7 dB의 소신호 이득과 14.5 dBm의 출력을 나타내었다. 기판 차폐 coplanar waveguide (CPW) 전송선로의 경우 27 GHz에서 약 1.0 dB/mm 삽입손실을 나타내었으며, 이를 이용한 전력증폭기는 26.5 GHz에서 12 dB의 소신호 이득과 12.5 dBm의 출력을 나타내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0.18-{\mu}m$ CMOS공정을 이용한 저가격의 근거리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차폐된 단일, 결합 및 Edge-Offset 마이크로 스트립 구조의 주파수 의존특성 (Frequency-Dependent Characteristics of Shielded Single, Coupled and Edge-Offset Microstrip Structures)

  • 홍문환;홍의석;오영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388-395
    • /
    • 1986
  • Spectral domain에서 hybrid mode 분석과 Galerkin method를 사용하여 차폐된 단일, 결합 및 edge-offset 마이크로 스트립 구조의 분산특성을 고찰하였다. 진행방향의 스트립 전류에 대한 새로운 2개의 basis function이 제안되었으며 그들을 사용한 수치해의 수렵속도를 비교하였다. 결합 마이크로 스트립의 전류분포는 단일 마이크로 스트입의 전류분포로부터 Fourier변환의 shift theorem을 이용하여 얻었으며 off-centered 스트립의 분산에 대한 영향이 논의되었다. 수치 결과들은 여러가지 구조 parameter 들을 포함하여 다른 유용한 data 들과 비교한 결과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등각사상 법을 이용한 접지 면에 어퍼처를 갖는 차폐된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해석 (Analysis of Shielded Microstrip Line with Ground Aperture using Conformal Mapping Method)

  • 천동완;이진택;김원기;신철재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944-95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등각사상 법을 이용해 접지 면에 어퍼처를 갖는 차폐된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의 특성임피던스 및 유효 유전 상수 등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닫힌 형태의 공식을 제시하기 때문에 따로 어떠한 수치해석 방법을 쓰지 않고도 선로 파라미터들을 계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먼저 신호가 마이크로스트립 모드(Quasi-TEM)로 진행한다고 가정하고 차폐된 선로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정전 용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부분별 정전 용량들을 이용해 임피던스 및 유효 유전상수를 계산하였다. HFSS 시뮬레이션 결과, 계산 결과가 시뮬레이션 결과와 오차범위 $5\%$ 이내로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마이크로스트립 회로 패키징의 고차모드 차폐를 위한 하우징 설계 (Design of Housing Structure for the Suppression of Higher­Order Modes in the Microstrip Circuit Packaging)

  • 전중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8호
    • /
    • pp.1621-162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회로의 패키징에서 고차모드 전파를 억제할 수 있는 유도성 격벽구조를 설계한다. 마이크로파 패키징은 회로를 외부의 물리적, 전기적 환경으로부터 격리$.$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반면에, 동작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하우징에 의한 고차모드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특성임피던스 및 실효유전율에 대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패키징 크기가 가능한 커야 하지만, 패키징을 통과할 수 있는 고차모드의 차단 주파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패키징 크기가 가능한 작아야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유도성 격벽 패키지는 기존의 용량성 격벽 패키지에 비하여 고차모드 전력전달 억제계수$({S_21})$가 30㏈ 더 개선되었으며, 고차모드의 전달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송수신 모듈과 같은 마이크로파 시스템 패키지화(System­in­a­Package) 설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A SiGe HBT Variable Gain Driver Amplifier for 5-GHz Applications

  • 채규성;김창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3A호
    • /
    • pp.356-359
    • /
    • 2006
  • A monolithic SiGe HBT variable gain driver amplifier(VGDA) with high dB-linear gain control and high linearity has been developed as a driver amplifier with ground-shielded microstrip lines for 5-GHz transmitters. The VGDA consists of three blocks such as the cascode gain-control stage, fixed-gain output stage, and voltage control block. The circuit elements were optimized by using the Agilent Technologies' ADSs. The VGDA was implemented in STMicroelectronics' 0.35${\mu}m$ Si-BiCMOS process. The VGDA exhibits a dynamic gain control range of 34 dB with the control voltage range from 0 to 2.3 V in 5.15-5.35 GHz band. At 5.15 GHz, maximum gain and attenuation are 10.5 dB and -23.6 dB, respectively. The amplifier also produces a 1-dB gain-compression output power of -3 dBm and output third-order intercept point of 7.5 dBm. Input/output voltage standing wave ratios of the VGDA keep low and constant despite change in the gain-control voltage.

Compact 2D ADI-FDTD를 이용한 도파관 구조의 분산특성 연구 (Dispersion Analysis of the Waveguide Structures by Using the Compact 2D ADI-FDTD)

  • 어수지;천정남;박현식;김형동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39권10호
    • /
    • pp.38-45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Compact 2D FDTD(Finite-Difference Time-Domain)에 대한 고속 알고리즘으로써 시간간격 △t가 안정조건(Stability Condition)에 의해 제한받지 않는 Compact 2D ADI(Alternating Direction Implicit)-FDTD 차분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구현된 알고리즘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내부가 공기로 채워져 있는 구형(Rectangular) 도파관과 차폐된 전송선로를 해석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기존의 Compact 2D FDTD의 결과 및 해석적인 해와 매우 잘 일치하며, 계산 소요시간도 기존의 Compact 2D FDTD에 비해 상당히 절약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도파관 구조의 분산 특성 연구에 있어 효율적인 고속화 기술로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