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rt messaging service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2초

지역사회 대상의 휴대폰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건강교육 중재의 효과 (Effects of Health Education using Short Messaging Service of Cellular Phone)

  • 김현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41-249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ducation from using cellular phones and a short messaging service. Methods: Collected data included baseline demographics, blood pressure, abdominal circumference, total cholesterol, body mass index and health behavior index (Dietary Practice Guidelines Score, Physical Activity, Drinking frequency, Stress scor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Action change stage score). Data were collected at public health centers in Chungcheongnam-do from January to December, 2011. Data obtained from Individual health counseling Programs in Chungcheongnam-do. Analysis was divided into health risk group and Disease management group, using a paired t test. Results: Following the education of using short messaging service of cellular phones Health risk group was a reduction in th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waist circumference. Disease management group was a reduction in the systolic blood pressure and body mass index. In both groups, there were improvement in the Health behavior index; dietary practice guidelines score, physical activity, stress scor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action change stage score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ducation using short messaging service of cellular phone for Community was effective in improving health behaviors and status. By applying the results, development of customized teaching messages for stable settlement is required.

Multimedia Messaging Service의 구현 (Implementation of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 강현관;김태현;강경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3)
    • /
    • pp.343-345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SMS(Short Message Service)로부터 발전하여 WAP(Wireless Application Prorocol)을 이용한 픽처 메시지 및 간단한 에니메이션 서비스의 단계를 지나 데이터의 포맷이나 형식을 가리지 않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를 메시징할 수 있는 서비스 센터의 구현에 관한 내용을 기술한다.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기술은 IS-95C 및 IMT-2000에서 통신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서비스 중의 하나로 기존의 메시징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크고 다양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인프라 역할을 하면서 더욱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 PDF

Design of Short Messaging Service based Public Address System for Industrial Architectures over Wireless Networks

  • Caytiles, Ronnie D.;Park, Byungjoo
    • 한국정보기술학회 영문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5-27
    • /
    • 2019
  • This paper deals with a web-based public address system for conveying information for different institutions. An architecture for a Short Messaging Service (SMS) based public address (PA) system that can be programmed by an authorized mobile phone or device is proposed. This PA system will facilitate information transfer from heads of offices, managers, directors, and deans of the institutions to its constituents or unit area as well as enable postings of information with proper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remotely. The system supports high priority messaging, allowing the conveyance of critical and time sensitive information. The mobility management support for the PA system will be based on the Hierarchical Mobile Internet Protocol version 6 (HMIPv6), hence, allowing for a seamless connectivity to the system. The major advantage of this proposed PA system a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electronic displays and bulletin boards is seamless mobility wherein the display devices can be programmed remotely by heads of the institutions and business organization. It also allows faster communication and immediate actions concerning the different institutions, organizations, and businesses, thus, ensuring high productivity.

휴대폰 문자메시지 교육이 제2형 당뇨병환자의 공복혈당과 자가관리에 미치는 효과 (Fasting Blood Sugar and Adherence to Diabetes Control Recommendation : Impact of Education Using Short Messaging Service of Cellular Phone)

  • 김희승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5권2호
    • /
    • pp.13-19
    • /
    • 200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using short messaging service(SMS) on fasting blood sugar(FBS) and diabetes adherence. Method : Forty-five diabetic patients being assessed pre and post intervention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Participants were requested to input the FBS and 2 hours post-prandial blood sugar everyday in http://www.biodang.com by cellular phone or wire Internet. The goal of the education was to lower FBS and keep diabetes adherence. The education was applied to the for 12 weeks. The education consisted of continuous education and reinforcement of diet, exercise, medication adjustment, as well as frequent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levels. The education performed weekly. All medication adjustments were communicated to the participants' doctor. FBS and diabetes adherenc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Results : The education using SMS of cellular phone had decrease FBS and increase oral medication taking, exercise, foot care, and hypoglycemia preparation adherence.

  • PDF

광역 커뮤니티서비스를 위한 메시징 시스템의 구조 및 QoS엔지니어링 모델의 설계 (Design of Messaging System′s Architecture and QoS Engineering Model for Global Community Services)

  • 궁상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380-386
    • /
    • 2003
  • 인터넷의 활용으로 사회는 점차 가까워지게 되고, 지리적, 시간적인 제약을 탈피한 대화 및 정보공유가 더욱 활발해 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무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핸드폰, PDA 등 무선 단말에서의 메시지교환이 더욱 활발해 짐에 따라, 기업이나 학교 등 공식적인 조직 뿐 아니라 취미나 관심을 같이하는 사람들끼리의 비공식적인 조직이 급격히 활성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새로운 변화는 채팅, 메신저, 단문메시지, 전자게시판, 동영상 파일 공유 등 다양한 커뮤니티 도구들을 활용하여 더욱 활성화되고 있고, 메시징 시스템은 이러한 응용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도구로써 활발히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은 다양한 광역 커뮤니티 응용을 지원하는 메시징 시스템의 설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서비스 컨텐츠의 종류나, 메시지의 길이 등 다양한 요건을 충족하는 엔진의 설계 뿐 아니라 이질적인 분산 환경에서 메시징 서비스의 품질을 최적화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관리방법과 메시징 시스템에의 적용시의 효과적인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 PDF

트위터 사용자와 팔로워들 간의 실시간 메시지 교류 시스템 개발 (A Real-Time Messaging System for Twitter Users and Their Followers)

  • 박종은;권오진;이홍창;이명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87-95
    • /
    • 2011
  • 최근 급속히 보급된 스마트폰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발전은 가상 세계와 실세계를 보다 밀접하게 연결하여 사람들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일반적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는 사용자들 간의 네트워크를 쉽게 구성하는 방법에 치중하고 있으며 네트워크에 참여한 다른 사용자들과 단순한 정보 교환 기능을 지원한다.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서비스인 트위터는 정보 교환 기능으로 트윗이라는 단문 메시지만을 사용하고 있으며 2억명이 넘는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SNS인 트위터의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실시간 그룹 채팅을 지원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활용하여 스마트폰 그룹 메시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트위터의 소셜 네트워크를 반영하여 트위터 사용자와 그 사용자의 팔로워들이 참여하는 그룹을 자동적으로 형성하고 그룹 구성원이 모두 참여할 수 있는 실시간 그룹 메시징을 지원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스마트폰 그룹 메시징 시스템은 XMPP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징 서버와 트위터의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실시간 메시징을 수행하는 스마트폰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트위터 메시지를 이용하여 손쉽게 메시징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으며, XMPP 서버에 자동적으로 형성되는 그룹을 통하여 자신의 팔로워들과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교환할 수 있다.

전화상담과 문자메시지 제공이 허혈성 심질환자의 금연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Smoking Cession Program Using Telephone Counselling and Text Messaging for Patients after Ischemic Heart Disease)

  • 김은심;최혜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248-7258
    • /
    • 2014
  • 본 연구는 전화상담과 문자메시지 제공 금연프로그램이 중재 횟수를 달리한 실험군1, 실험군2와 대조군의 금연 자기효능감, 니코틴의존도, 호기일산화탄소 농도, 금연성공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 허혈성 심질환자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효과를 측정한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금연 자기효능감, 금연성공률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니코틴의존도,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실험군1은 실험군2에 비해 금연 자기효능감, 금연성공률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호기 일산화탄소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니코틴의존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허혈성 심질환자에게 제공한 전화상담과 문자메시지 중재 금연프로그램은 금연성공률의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중재 횟수에 따라 더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tact Control Smart Phone Application

  • Ko, Yong Min;Lim, Dong Kyun;Min, Byong Seo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2권1호
    • /
    • pp.30-31
    • /
    • 2013
  • In the recent years, as smart phones popularized, the number of people who use IMS (instant messaging service) and SNS (social network service) rapidly has increased as the usage of SMS (short message service) relatively decreased. That is why this thesis suggests a contact control service based on Android. It contains an inducing function that calls acquaintances, which were given a score based on the level of familiarity from saved contacts and call logs. And it provides an overall ranking of call log in order to grasp frequently called people. This developed system was tested on Samsung Galaxy S2 and LG Optimus LTE / Android 2.2 which were the main smart phone models.

휴대폰 문자메시지 기능의 인터페이스 이용성에 관한 연구 (Exploring Usability of Mobile Text Messaging Interfaces)

  • 이지연
    • 정보관리연구
    • /
    • 제35권4호
    • /
    • pp.1-16
    • /
    • 2004
  •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휴대폰 문자메시지 시스템을 이용할 때 경험하는 인터페이스 상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향상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폰 문자메시지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휴대폰 문자메시지 시스템의 문제점으로는, 1) 전달받은 메시지의 내용이나 의도를 파악하기 어려움, 2) 문자메시지의 저장, 정렬, 탐색 등의 어려움, 3) 문자메시지의 길이 제한, 4) 문자입력의 어려움, 그리고 5) 비슷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종종 다른 수신자에게 잘못 전달되는 오류와 이로 인한 사회적인 문제 등이다. 본 연구의 초기 가정은 문자메시지 시스템을 이용할 때 발생하는 대다수의 문제점이 이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이용성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75명의 대학생 이용자를 대상으로 일주일 동안 모든 문자메시지를 저장하고 각각의 메시지에 대한 간단한 일지를 기록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발견된 문제점들은 제한된 메시지 길이, 부자연스러운 문자입력방식, 감정 표현의 불충분함, 수신확인 기능의 결여, 보낸 메시지의 자동저장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이러한 문제점들은 문자메시지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Diet-Related Stomach Cancer Behavior Among Iranian College Students: A Text Messaging Intervention

  • Dehdari, Tahereh;Dehdari, Laleh;Jazayeri, Shim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2호
    • /
    • pp.5165-5172
    • /
    • 2016
  • Background: Stomach cancer is one of the five most common cancers in Ira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 mobile telephone short-message service (SMS) based-education intervention using Health Belief Model (HBM) variables in improving dietary behavior in terms of stomach cancer prevention among a sample of Iranian female college students.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124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dormitories of Yazd University, Yazd, Iran were randomly selected and assigned to either the intervention (n=62) or the control group (n=62). Information (data) regarding HBM variables and dietary behavior related to stomach cancer prevention was collected by 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Forty eight messages were designed and sent to the participants' phones in the intervention group during the 48-day intervention period. Two groups were followed-up one month after the intervention delivered via SM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BM variables (except for the perceived severity) and the preventive dietary behaviors for stomach cancer in the intervention group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following the education intervention delivered via SMS. Conclusions: SMS-delivered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can be a practical strategy to improve dietary behavior related to stomach cancer pre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