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 harvested pepper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산 일시 수확형 고추 후레이크의 특성 및 다양한 드레싱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stics of Korean Single-harvested Pepper(Capsicum annuum, L.) Flakes and the Effects on the Quality of Various Dressings)

  • 김선아;구혜진;김경선;박재복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21
    • /
    • 2006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harvested pepper flakes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red and green pepper flakes on the quality of various dressings. Moisture contents of red and green pepper flakes were $14.57{\pm}0.13%\;and\;11.86{\pm}0.12%$, capsaicinoids contents on a dry-weight basis were $207.91{\pm}6.68\;mg/100\;g\;and\;172.32{\pm}5.94\;mg/100\;g$, and total free sugars were $21.63{\pm}1.81%\;and\;12.49{\pm}0.56%$, respectively. ASTA color of red pepper flakes was $150.93{\pm}4.56$. Viable cell numbers of red and green pepper flakes were $3.9X10^4\;CFU/g\;and\;5.2X10^5\;CFU/g$, respectively. The pH values in French dressing and Italian dressing, with added red and green pepper flakes, were slightly increased, but not in American Caesar dressing. Acidity and viscosity weren't statistically different in the 3 kinds of dressings by the addition of red and green pepper flakes. The color difference $({\Delta}E^*_{ab})$ for the storage periods was calculated in each dressing and that of American Caesar dressing with added red pepper flakes was extremely high. Viable cell number in each dressing was maintained at 2 log CFU/g during the storage periods. The sensory characteristics during the storage periods were assessed by members of a trained panel, and showed that the color and pungency of red and green flakes increased the overall preference in the Italian dressing and American Caesar dressing.

시기를 달리하여 일시 수확한 고추의 등급별 품질 (Quality of Single-Harvested Red Peppers by Harvest Time and Fruit Grade)

  • 정구민;황재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919-923
    • /
    • 2002
  • 'Manita', a red pepper cultivar, and 'HL', a cultivar bred for single-harvest by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were cultivated using direct sowing method, and all fruits were harvested five times at on interval of one week, and were grouped into five grades by color and appearance (drying degree). The amount of red fruits in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harvest time, and at the fifth harvest time, the ratios of red fruits were 80.9 and 79.1% for Manita and HL, respectively. Among red fruits, the portion of ROO grade (red pepper dried considerably on the plant) was 42.9%, RO (red pepper dried partially on the plant) 31.9%, and RF (fresh red pepper) 6.1% for Manita. For HL, the portions of RO and RF were 56.7 and 22.4%, respectively. As fruits aged, the redness intensified. ROO, RO, and RF fruits had ASTA color values of 150.4, 140.1, and 107.4 for Manita, and for HL, those of RO and RF were 100.0 and 77.1,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capsaicinoids, organic acid, and suga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 harvest time.

일시 수확한 고추의 품질 (Quality of Single-Harvested Red Peppers)

  • 정구민;권승규;황재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28-131
    • /
    • 2002
  • 'Manita', a red pepper cultivar being cultivated currently and 'HL', a cultivar bred for single-harvest by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were grown by direct sowing and raising seedling methods, respectively, and all the fruits on the tree were harvested once. Fruits were grouped into 6 grades by color and appearance and their chemical compositions were analyzed. Generally, 'HL' showed less redness and contained less amounts of capsaicin, organic acid, Vit. C, and sugar than 'Manita'. Regardless of cultivar and cultivation method, red-old fruits, ripened and partially dried on the plant, had more red color (21-30%) and more capsaicin (40.0-78.3 mg% vs. 33.2-52.7 mg%), but less sugar (12.70-16.69% vs. 14.46-17.43%) than red-fresh fruits.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direct sowing and raising seedling.

일시 수확한 고추의 건조방법별 품질 (Quality of Single-Harvested Red Peppers by Drying Methods)

  • 정구민;황재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29-333
    • /
    • 2003
  • Fruits of 'Manita', a red pepper cultivar, and 'HL', a cultivar bred for single-harvest, cultivated by direct sowing method were harvested simultaneously. The red fruits were freeze-, sun-, indoor-, hot-air $(65^{\circ}C)$, and excessive hot-air (50% longer time) dried. For Manita. ASTA values of freeze- and indoor-dried red pepper were the highest $(153.6{\sim}168.4)$, and those of sun- and hot air-dried ones were $119.2{\sim}131.5$. Excessive hot-air drying decreased the redness by about $9{\sim}15%$ compared to normal hot-air drying. For HL, ASTA values $(150.3{\sim}171.7)$ of indoor-dried red peppers were much higher than other dried peppers. Red pigment in HL was destroyed easily during sun drying, showing values of only $49.2{\sim}69.2$. By excessive hot-air drying, the redness did not decrease, compared to normal hot-air drying. The organic acid contents of both cultivars were higher in sun- and hot-air-dried ones than freeze- and indoor-dried ones. Copsaicinoid contents of both cultivars decreased up to 22% by excessive hot-air drying compared to normal hot-air drying. Sugar contents were lower in all drying methods other than freeze drying for both cultivars.

한국산 일시 수확형 고추를 이용한 고추장의 품질 및 저장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Korean Single-Harvested Pepper (Capsicum annuum L.))

  • 김경선;박재복;김선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59-765
    • /
    • 2007
  • 본 연구는 한국산 일시 수확형 고추의 화학적 품질을 분석하여 매운맛과 색상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의 제품화를 위해 고추장에 응용함으로써 고추장의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YW213은 ASTA 색상값이 $212.71{\pm}2.38$, YW211은 매운맛 함량이 $271.67{\pm}25.10mg/100g$으로 매우 높은 특성을 보였다. YW211과 YW213을 첨가하여 매운맛과 색상을 조절한 고춧가루로 제조한 고추장의 발효에 따른 품질 변화를 분석한 결과, YY는 색상이 우수하나 매운 맛 함량이 $3.98{\pm}0.24mg/100g$으로 매우 낮은 특성으로 YW211을 비율별로 혼합하여 제조한 결과, YY+30% YW211 는 매운맛 $52.61{\pm}8.62mg/100g$으로 매운맛 함량이 증가함을 보여줬다. ASTA 색상값은 YY+20% YW211부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색상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GR 시료는 매운맛 함량이 높고 색택 또한 우수한 시료로 고추장 제조에 적합한 화학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YW213을 첨가하여 성분특성을 분석한 결과, ASTA 색상값은 GR에 YW213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GR+30% YW213 첨가구에서 $130.01{\pm}1.31$로 높은 색소함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운맛 함량은 GR에 YW213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YW211, YW213 첨가 고추장의 pH는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낮아지는 반면, 적정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YW211, YW213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pH는 높았으며 90일 경과후의 pH는 $4.7{\sim}4.9$로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YW211, YW213 첨가 고추장 모두 숙성 60일까지는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90일에는 소량 감소하였다. 환원당은 숙성이 진행되면서 숙성초기에 YY에 YW211을 첨가한 고추장이 급격히 증가하여 30일경까지 최고수준에 달하나 이후 서서히 감소하였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환원당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일시 수확형 고추의 숙성도와 재배 요인에 따른 화학적 특성 (Changes of Various Chemical Components by the Difference of the Degree of Ripening and Harvesting Factors in Two Single-harvested Peppers (Capsicum annuum, L.))

  • 김선아;김경선;박재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15-620
    • /
    • 2006
  • SR211과 SR213은 모두 색소 함량이 매우 높았으며 매운맛 특성을 좌우하는 capsaicinoids 함량은 SR211의 경우 숙성도와 상관없이 150 mg/100 g 이상의 매우 높은 함량을 갖는 것으로 분석된 반면, SR213은 5 mg/100 g 미만의 매우 낮은 함량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재배시기에 따른 품질 특성 변화를 3년간 모니터링 한 결과, 두 품종 모두 고유의 매운맛과 색상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경향을 보여 SR211은 고색소의 강한 매운맛 고추, SR213은 고색소의 약한 매운맛 고추를 생산하는데 적합한 품질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품종 모두 유리당 함량과 ascorbic acid 함량이 높아 화학적 품질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고품질의 일시수확형 고추의 개발 및 보급이 이루어진다면 한국산 고추 특유의 맛뿐만 아니라 영양학적, 상품적 가치가 매우 높은 고품질 제품화가 가능할 것이며, 이는 국제적인 브랜드 상품으로 발전하기 위한 윈동력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고추에서 SCB액비 시용량 설정을 위한 수량 및 품질 평가 (Evaluation of Yield and Quality from Red Pepper for Application Rates of Pig Slurry Composting Biofiltration)

  • 임태준;홍순달;김승희;박진면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1-177
    • /
    • 2008
  • 악취와 양분의 불균일을 개선한 SCB 액비를 농경지에 투입하기 위해서는 작물에의 이용 및 환경에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적정한 질소 양분관리가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지 고추 재배에서 수량과 고추 품질 평가 항목으로 가용성 당 및 capsaicinoids 등을 고려하여 정식 전 액비의 적정 시용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액비 처리에 따른 건물중은 시용량 증대에 따라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부위별로는 열매가 건물중의 주요 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열매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각각의 부위별로 처리간의 큰 차이가 없음을 보였다. 정식 후 72에서 133일까지 총 5회에 걸쳐서 수확한 누적 수량에서 수확 초기인 1차 및 2차 수확에서는 처리간의 수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3차 수확이래로 액비 처리간에 차이를 보였다. 홍고추의 수량은 액비의 시용량 증가에 따라서 정량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액비 100% 시용구에서 가장 많은 수량을 나타내었으나, 화학비료구 및 액비 125%구와 처리간의 차이는 없었다. 고추 품질 평가로서 가용성 당과 캡사이시노이드와의 비교에서 액비 시용 수준과 화학비료구간의 차이는 없었다. 위의 결과에서 고추에서 밑거름 화학비료 대체를 위한 액비의 시용은 질소 시비 추천량에 대해서 SCB 액비 100% 시용이 추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