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LPG storage tank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외부화재시 LPG 소형저장탱크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of Small LPG Storage Tanks at External Fires)

  • 임지표;마병철;정창복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4-7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safety of a small LPG storage tank with a capacity less than 3 ton when it is exposed to an external fire. First, simulation studies were carried out using ASPEN Plus and PHAST to demonstrate that overpressurization in the tank can be relieved by discharging the LPG through an adequately sized safety valve, but the release may lead to the secondary risk of fire and explosion around the tank. Next, the temporal variations of the temperatures of the lading and tank wall were obtained using AFFTAC, which showed that the tank wall adjacent to the vapor space could be overheated in about 11 min to such a point that the weakened strength might cause a rupture of the tank and subsequent BLEVE. The consequences of the BLEVE were estimated using PHAST. Finally, several practical measures for preventing the hazards of overheating were suggested, including an anti-explosion device, sprinkling system, insulation, heat-proof coating, and enhanced safety factor for tank fabric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se measures were examined by simulations using AFFTAC and ASPEN Plus.

LPG소형저장탱크 BLEVE 발생 시점 예측 툴 개발 (Development of a Tool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Time of BLEVE in Small LPG Storage Tanks)

  • 채충근;이재훈;채승빈;김용규;한신탁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4-83
    • /
    • 2020
  • In Korea, about 110,000 LPG small storage tanks of less than three tons have been installed in restaurants, houses and factories, and are used as LPG supply facilities for cooking, heating and industrial use. In the case of combustible liquefied gas storage tanks, the tank may rupture due to the temperature increase of the tank steel plate (approximately 600℃) even when the safety valve is operating normally, causing large-scale damage in an instant. Therefore, in the event of a fire near the LPG small storage tank,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predict the timing of the BLEVE(Boiling Liquid Expanding Vapour Explosion) outbreak in order to secure golden time for lifesaving and safely carry out fire extinguishing activities. In this study, we have first investigated the results of a prior study on the prediction of the occurrence of BLEVE in the horizontal tanks. And we have developed thermodynamic models and simulation program on the prediction of BLEVE that can be applied to vertical tanks used in Korea, have studied the effects of the safety valve's ability to vent, heat flux strength of external fires, size of tanks, and gas remaining in tanks on the time of BLEVE occurrence and have suggested future utilization measures.

고속도로 휴게소 소형 LPG 저장탱크 폭발에 따른 영향범위 분석 (Impact Range Analysis of Small LPG Storage Tank Explosions at Highway Rest Areas)

  • 전승덕;이순범;이재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319-327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고속도로 휴게소에 설치된 소형 LPG 저장탱크의 폭발에 따른 영향범위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휴게소에 설치된 2,900 kg 소형 LPG 저장탱크의 증기운 폭발(VCE)과 비등액체팽창증기 폭발(BLEVE)로 인한 과압과 복사열의 영향범위를 ALOHA(Areal Location of Hazardous Atmospheres)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도출된 폭발 과압과 복사열의 영향범위는 각각 최대 반경 336 m와 423 m로 나타났다. 269 m 이내의 사람들은 3.5 psi이상의 과압으로 중상을 입을 수 있고, 192 m 이내의 사람들은 10 kw/m2이상의 복사열로 사망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나아가 고속도로 휴게소 부대시설과 피해 영향범위를 고려한 LPG 저장 탱크의 안전관리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고속도로 휴게소에 설치된 소형 LPG 저장탱크의 안전관리뿐만 아니라 휴게소 환경 및 시설을 고려한 안전사고 예방 규정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건물 화재 시 LPG소형저장탱크 보호용 화재 저항 재료 성능 실증 (Experimental validations of fire-resistant materials for protecting LPG small storage tank from building fires)

  • 김승환;김경식;허승건;이재훈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8-2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화재사고가 발생한 건물에 인접한 LPG 탱크용 방화벽의 적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제안된 방화벽 재료는 (1) 두께 10 mm 목재합판, (2) 내화도료를 도포한 목재합판, (3) 두께 75 mm Expanded Polystyrene, (4) 두께 75 mm 유리섬유 충진 샌드위치 판넬, (5) 두께 75 mm Autoclave Lightweight Concrete이다. 화원은 1 m 정사각형으로 120-140 g/s의 LPG를 균일하게 분사하여 방화벽과 후단의 탱크를 가열한다. 적용성은 시험 후 방화벽의 구조적 건전성 확인, 방화벽 양면 및 탱크표면 온도, 탱크 인근 복사열을 분석하여 판단한다. 그 결과, ALC 방화벽이 유일하게 구조 건전성을 유지하였고 저장탱크 온도를 가작 적게 상승시켜 폭발 방지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결과를 활용하여 방화벽의 성능평가 기준 마련에 필요한 핵심인자를 도출하였다.

벌크로리를 통한 국내 LPG 공급시스템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vestigation of LPG Supply System by Bulk Lorry in Korea)

  • 이화영;이민경;김정환;길성희;김영규;김홍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16
    • /
    • 2020
  •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에서 판매사업자의 벌크로리를 이용한 LPG 공급은 10톤 이하의 벌크로리로 3톤 미만의 소형저장탱크까지만 가능하다. 정부에서는 LPG 판매사업자의 향상된 안전관리능력을 반영하여 벌크로리의 공급 범위를 10톤 미만의 저장탱크까지로 확대할 계획을 발표하였다. 따라서 벌크로리를 통해 안정적으로 저장탱크에 LPG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기존 벌크로리의 LPG 공급 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벌크로리를 통한 국내의 LPG 공급시스템 현황을 파악하고, 안전한 LPG 공급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기초자료 수집을 위해서 관련 사업자 대상으로 벌크로리를 통한 저장탱크 LPG 공급시스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조사를 진행하여 안정적인 LPG공급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공동주택용 태양열원 급탕시스템의 운전성능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Solar Assisted Hot Water System for Apartment Houses)

  • 이윤규;황인주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5권11호
    • /
    • pp.928-936
    • /
    • 2003
  • In the present study, feasibility investigation on the solar assisted hot water supply system for apartment houses was carried out by the review of service facility and heat load pattern. Also analysis and experiment of the small sized system model were performed. This hybrid system are consists of solar collector, heat storage tank, controller, and gas boiler using LPG as a secondary heat source. The analytical results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data. We found that this hybrid system could reduce the energy cost by 30% for hot water compared to typical boiler system in the apartment houses. Also we showed that this model could be used for the energy and economic analysis of the hybrid system.

과류차단 밸브 작동 시 오작동에 대한 분석 (Malfunction Analysis when a EFV is Working)

  • 전형택;박성진;김성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28-33
    • /
    • 2018
  • 최근 들어 정부는 도시가스 미공급지역 해소 및 소규모 공급지역의 경제성 확보를 위해 준저압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주로 중앙 저장 탱크에서 매설 배관으로 각 세대에 공급하고 있는데 타공사에 의한 매설 배관의 파손 시 가스의 누출을 차단할 방법으로 배관 파손에 의한 과류를 차단할 수 있는 밸브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를 위해 System CFD Code인 Flownex를 이용하였으며 실제 과류차단밸브에 해당되는 Component를 개발 완료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Flownex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값과 비교 하였으며 2% 내외의 오차율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를 위해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을 단위의 LPG 공급 배관망을 선정하여 Modeling을 하였으며 주배관에서 세대로 인입되는 가지관의 이음 부위에 임으로 과류차단밸브 Component를 설치하였다. 주 배관에서 세대까지 가장 긴 배관을 선택하여 세대 인입 직전에 배관을 임으로 파손시켜 과류가 발생하도록 시나리오를 정하였다. 배관이 파손됨에 따라 과류가 발생하게 되고 과류차단밸브가 작동하게 되는데 이 때 과류차단 밸브의 작동이 타 배관에 미치는 영향 및 오작동 유무를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