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tour guid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8초

스마트 투어 가이드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과 모바일 앱 (Service Platform and Mobile Application for Smart Tour Guide)

  • 좌정우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203-209
    • /
    • 2016
  • 디지털 관광은 여행 전, 동안, 이후에 관광객의 활동을 디지털로 지원한다[1]. GPS를 지원하는 스마트폰은 주요 관광지에서 투어 가이드와 스토리텔링 서비스와 같은 위치 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스마트 관광 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하고 제주도의 주요 관광명소에서 스마트 투어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제안하는 스마트 관광 서비스 플랫폼은 관광지도와 지리정보시스템, 콘텐츠 관리 시스템, 멀티모달 내비 시스템, 관광지 콘텐츠 제작 및 관리시스템, 여행상품 제작 및 관리시스템, 스마트 검색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기로 구성된다. 스마트 투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제안하는 스마트 관광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주 유명 관광명소에서 여행 전, 동안, 이후의 디지털 관광을 지원한다.

Pedestrian Network Models for Mobile Smart Tour Guide Services

  • Jwa, Jeong-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8권1호
    • /
    • pp.27-32
    • /
    • 2016
  •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enabled mobile phones provide location-based applications such as car and pedestrian navigation services. The pedestrian navigation services provide safe and comfortable route and path guidance for pedestrians and handicapped or elderly people. One of the essential components for a navigation system is a spatial database used to perform navigation and routing functions. In this paper, we develop modeling and categorization of pedestrian path components for smart tour guide services using the mobile pedestrian navigation application. We create pedestrian networks using 2D base map and sky view map in urban area. We also construct pedestrian networks and attributes of node, link, and POI using on-site GPS data and photos for smart pedestrian tour guide in the major walking tourist spots in Jeju.

3D Neighborhood Relationships of Cellular Genetic Algorithms for the Tour Guide Assignment Problem

  • Setiyani, Lina;Okazaki, Takeo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6권3호
    • /
    • pp.151-157
    • /
    • 2017
  • Management optimization is very important in tourism, especially when it is related to productivity. One of the problems in management optimization is tour guide assignment. Well-arranged tour guide assignment will increase productivity while maintaining service quality. A cellular genetic algorithm is one of the methods that can be used to solve this problem. Furthermore, previous study has shown that a cellular dimension increase can lead to promising benefits for certain problem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gi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advantages of increasing cellular dimensionality on the tour guide assignment problem by using a cellular genetic algorithm.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폰 관광 정보 시스템 (A Tour Information System on Smart Phone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 김석현;김지욱;김현정;박동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77-691
    • /
    • 2012
  • 스마트폰의 위성항법장치(GPS) 수신기능과 이동식 네트워크 기능을 응용한 위치기반 서비스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와 이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한다. 현재 많이 활용되고 있는 위치기반의 상황인지 모델을 통한 스마트폰 응용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나 이 위치정보와 POI간 거리를 이용한 정적인 정보만을 주로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위치와 POI와의 거리를 인식하여 해당 관광지 전문해설사의 음성과 이미지와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동적인 관광해설 스마트폰 응용 소프트웨어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관광지에서 느낀 점을 텍스트 형식과 함께 동영상이나 사진의 형태로 업로드하여 사용자 간에 정보를 공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구현하였다.

여행자 상황 정보 기반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핸드헬드 디바이스 투어 가이드 시스템 (A Mobile Tour Guide System using Wearable See-through Device and Hand-held Device based on Shared Touring Context)

  • 김도연;서대일;유병현;고희동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9-38
    • /
    • 2016
  • 모바일 투어 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은 여행 정보를 제공하여 여행자가 여행 중에 주변의 관심 지점(POI; Point of Interest) 을 검색하고 찾아갈 수 있도록 돕는다. 최근 모바일 컴퓨팅 기술이 발전하면서 핸드헬드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여행 정보 검색에 활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지만, 모바일 투어 가이드 어플리케이션들은 디바이스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여행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이들 투어 가이드 어플리케이션들은 여행 상황을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여행자는 각각의 디바이스에 여행자의 검색 의도를 별도로 입력해야 하고, 동기화된 여행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여행 정보를 제공하고 여행 상황을 공유하는 모바일 투어 가이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핸드헬드 디바이스와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여행자에게 여행 정보를 제공하고, 각각의 디바이스가 가진 단점을 상호 보완하면서 여행자를 안내한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은 각각의 디바이스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여행 상황을 공유하여 여행자의 입력을 최소화하고, 여행 상황에 맞는 여행 정보를 제공한다.

위치-인식 기반 덕수궁 관광 가이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ocation-Aware Tour Guide System for a Palace)

  • 박다정;황상희;김아름;창병모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31-138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위치 인시 기반 관광 가이드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PDA를 사용하여 서울 중심부에 있는 덕수궁 관장을 위한 위치 인식 기반 관광 가이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관광객들에게 현재 위치, 주변 정보 그리고 건물들의 자세한 설명 등과 함께 덕수궁을 가이드 한다. 또한 관광 가이드의 질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 유형에 따른 맞춤형 가이드, 다중 언어 음성 가이드 등을 제공한다.

  • PDF

Personal Smart Travel Planner Service

  • Ki-Beom Kang;Myeong Gyun Kang;Seong-Hyuk Jo;Jeong-Woo Jw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385-392
    • /
    • 2023
  • The smart tourism service provides tourists with personal travel planner services and context-awareness-based tour guide service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personal travel planner service that creates my travel itinerary using the smart tourism app and the travel planner system. The smart tourism app provides recommended travel products and POI tourist information used to create my travel itinerary. The smart tourism app also provides the smart tourism chatbot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select POI tourist information easily and conveniently. The travel planner system consists of the smart tourism information system and the smart tourism chatbot system. The smart tourism information system provides users with travel planner services, recommended travel products, and POI tourism information through the smart tourism app. The smart tourism chatbot system consists of named entity recognition (NER), dialogue state tracking (DST), and Neo4J servers, and provides chatbot services as a smart tourism app. Users can create their own travel itinerary, modify the travel itinerary while traveling, and then register it as a recommended travel product to users, including acquaintances.

React Native and Android Mobile Apps for Smart Tourism Information Service to FITs

  • Cho, Hyun-Ji;Lee, Jin-Yi;Park, Tae-Rang;Jwa, Jeong-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2호
    • /
    • pp.63-69
    • /
    • 2022
  • We develop a smart tourism information system that provides smart tourism services to free independent tourists (FITs) through various content distribution channels such as mobile apps, Instagram, YouTube, and chatbots. The smart tourism information system provides location and storytelling-based tourism information, accommodation, restaurant information, and recommended travel products so that tourists can create a travel itinerary based on personalized situation awareness. The smart tourism information system also provides smart tourism services using commercial maps, navigation, and weather forecast APIs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o provide smart tour guide services to tourists who travel according to the travel itinerary. In this paper, we develop the React Native app that provides smart tourism services provided by the smart tourism information system. The smart tourism React Native app has implemented two methods: a method that directly connects to the smart tourism information system, and a method that provides services by interworking through the GraphQL Query Language developed by META (Facebook). The smart tourism React Native app implements OSMU (One Source Multi-use) by providing tourism information from mobile apps, photos from Instagram, and drone videos from YouTube as an integrated UI.

사용자 경험 강화를 위한 위치 기반 캠퍼스 투어 증강현실 게임 (A Location-Based Campus Tour Augmented Reality Game for Enriching User Experience)

  • 최재욱;박경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729-735
    • /
    • 2020
  • 대학 캠퍼스 투어는 방문객 또는 예비 학생들에게 학교 환경, 시설 및 역사를 홍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최근 스마트 폰의 대중화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많은 대학에서 캠퍼스 투어를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증강 현실 기술을 활용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기존의 캠퍼스 투어 증강 현실 앱은 대부분 설명 중심의 캠퍼스 투어 가이드를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시스템 구현을 캠퍼스의 주요 건물이나 기호에 관한 단순 정보 제공하는 것에 그친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을 통해 캠퍼스를 돌아다니며 자체 가이드 투어를 하고 신입생이나 방문객들이 보다 자연스럽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캠퍼스에 익숙해지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위치 기반 모바일 증강 현실 보물찾기 게임의 설계 및 개발을 제시한다.

TIP(Travel Interesting Plan in tour)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 of TIP in tour)

  • 위찬혁;최용길;조위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05-607
    • /
    • 2016
  • 국내외 여행자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여행 전부터 조사하여 계획을 짜는 사람들, 여행을 떠났으나 길을 몰라 목적지를 잘 찾지 못하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여행에서의 이동 간 효율성을 제공한다. 동시에 편리함, 만족감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행 시스템을 통하여 국가와 목적지를 선택하고 선택한 여러 목적지 중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서 최단 경로에 위치한 목적지를 안내하여 여행 경로를 단축시키고 시간을 절약한다. 또한 부가적인 시설의 위치를 안내해주는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