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powder milk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2초

두유(豆乳)에 첨가된 유제품이 젖산균의 산생성(酸生成)과 대두요구르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lk Products on Acid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in Soy Milk and Quality of Soy Yogurt)

  • 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3-191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농축대두단백으로 만든 두유에 4종의 유제품을 여러 가지 농도로 가하고 5종의 젖산균(Lactobacillus 4종, Leuconostoc 1종)의 산생성과 생육을 관찰한 후에 유제품을 첨가하여 만든 대두요구르트의 관능성을 조사하였다. 두유에 첨가된 유제품의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젖산균의 산생성은 점차로 증가하였으며, 첨가된 유제품 가운데 유청분말이나 탈지분유가 전지분유나 조제분유보다 젖산균의 산생성을 촉진시켰다. 특히 유청분말은 유제품의 첨가농도가 낮을 때 산생성 촉진효과가 높았으며, 전지분유는 산생성 촉진효과가 유제품 가운데 가장 낮았다. 젖산균 산생성의 경시적인 변화를 보면 표준시료(포도당 첨가 시료). 유제품 첨가 시료 어느 경우나 배양시간이 경가함에 따라 산생성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배양 초기부터 12시간까지는 포도당 시료의 산생성이 가장 높았으나 18시간 이후에는 유청분말 시료의 산생성이 가장 높았다. 전지분유 시료는 전 실험 기간에 걸쳐서 산생성이 가장 낮았다. 대두요구르트의 관능성을 보면 전지분유 시료와 탈지분유 시료의 향미(香味)는 표준시료(포도당 첨가시료)보다 우수하였으나 유청분말 시료와 조제분유 시료의 향미(香味)는 표준시료보다 저조하였다.

  • PDF

양파 첨가 형태를 달리한 두유의 이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oymilk with Addition of Onion)

  • 권유경;김철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6-96
    • /
    • 2015
  • Onions contain antioxidant flavonoids and bioactive sulfur compounds. These substances are more abundant in the peel than in onion flesh. For this reason, whole onions including peels were added to soy milk to produce soy milk with whole onions (SWO), whereas peeled onions were added to soy milk to produce soy milk with peeled onions (SPO). The function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se two kinds of soy milk were then analyzed and compared. Compared to control soy milk (CS) without onion powder, treated samples (to which freeze dried onion powder was added at 1.4, 1.6, 1.8, and 2.0%, respectively)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amounts of quercetin, isoflavone, and total phenol (p=0.05). The magnitude of the increase rose as the amount of added onion powder increased and when onion powder contained onion peels. With regards to antioxidant activity (DPPH and ABTS), SWO showed a greater value than SPO. The sensory evaluation scores of SWO and SPO were lower than CS for roughness and swallowing, as adding onion powder increased solid contents and viscosities. However,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were obtained 1.8SPO and 1.8SWO.

첨가재료에 따른 증편의 관능적.물성적 특성 (Sensory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Jeungpyun made with various Additives)

  • 최영희;전화숙;강미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00-206
    • /
    • 1996
  • 전통쌀가공식품인 증편의 영양성 및 기호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콩가루, 전지분유, 탈지분유, 난황, 난백, 쑥가루 등을 첨가하여 증편을 제조하였으며 첨가 재료별 증편의 성형성 및 관능적, 물성적특성을 비교 하였다. 첨가재료를 달리한 증편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쑥가루를 제외한 모든구에서 단백질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콩가루, 전지분유 첨가구는 조지방의 함량이 높았다. 탈지 분유와 전지분유를 첨가한 증편의 loaf volume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나, 난황, 난백, 쑥가루을 첨가 한 증편은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쑥 가루 및 난황첨가구는 기공이 균일하지 않았다. 첨가재료별 증편의 관능검사결과 콩가루, 전지분유, 탈지분유, 난백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단맛의 정도가 강하고 씹힘성 및 단단한 정도가 낮았으며, 쑥가루첨 가구는 쓴맛이 강하게 느껴지고 단단하였다. Texturometer로 증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쑥가루 첨가구는 경도, 탄력성 및 씹힘성이 높아 단단하고 탄력있는 특징을 보였으며, 콩가루, 전지분유, 탈지분유 및 난백첨가구는 이러한 물성이 대체로 낮아 부드럽고 질기지 않는 물성을 나타내었고 이는 관능검사 결과와 유사하였다. 콩가루 및 전지분유첨가구를 4$^{\circ}C$에서 저장했을 때 경도의 변화가 대조구보다 낮아 증편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 PDF

크릴을 이용한 순두부 분말 제조에 관한 연구 (PROCESSING OF SOY CURD POWER WITH SOYBEAN AND KRILL)

  • 한봉호;김근숙;조덕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37-141
    • /
    • 1979
  • 두부가공조건 및 순두부용 분말의 제조에 관하여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원료대두이 수침시간으로는 10시간이 적당하였다. 두유의 응고온도로는 $CaSO_4{\cdot}2H_2O,\;MgCl_2{\cdot}6H_2O$$CaCl_2$의 경우 $80^{\circ}C$가, GDL을 응고제로 사용할 때는 $90^{\circ}C$가 적당하였다. 응고제의 농도로는 $CaSO_4{\cdot}2H_2O,\;MgCl_2{\cdot}6H_2O$$CaCl_2$의 경우 원료대두에 대하여 $2%$가, GDL은 $3%$가 적당하였다. 수율과 제품의 단백질 함량면으로 보아 GDL의 사용이 $CaSO_4{\cdot}2H_2O,\;MgCl_2{\cdot}6H_2O$$CaCl_2$의 사용 보다 효과적이었다. 순두부용 분말의 제조는 두유를 분무건조함으로써 가능하였으며, 두유에 크릴즙을 혼합하여 분무건조하여 독특한 색택과 향미를 지닌 순두부용 분말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응고제를 두유와 크릴즙과 함께 혼합, 분무건조하여 순두부제조시 응고제를 달리 사용할 필요가 없는 분말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 PDF

대두요구르트의 제조에 관한 연구 -탈지대두유(脫脂大豆乳)가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Production of Soy Yogurt -Effects of Defatted Soy Milk on the Growth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 이정숙;고영태;백정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1호
    • /
    • pp.7-13
    • /
    • 1984
  • 본 연구는 탈지대두분(脫脂大豆粉)에서 만든 대두유에 여러 가지 당(糖), 발육촉진물질, amino acid, 유제품부산물을 가하여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생육과 산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것으로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배양시간에 따른 유산균의 생육도를 측정한 실험으로부터 대략 12시간까지가 대수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당(糖) 가운데 glucose와 fructose가 유산균에 의한 산생성에 현저한 효과를 보였으며, 그 적정농도는 각각 3% 정도였다. 첨가된 발육촉진물질 가운데 yeast extract가 유산균에 의한 산의 생성을 가장 촉진시켰으며 그 적정농도는 0.5% 정도였다. l-methionine의 첨가에 의하여 유산균에 의한 산생성이 감소하였다. 대두유에 첨가된 유청분말과 탈지분유는 유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촉진 효과가 저조하였다. 대두 단백질의 농도를 달리했을 때 유산균의 생육과 산생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 PDF

우유와 대두단백질을 이용한 요구르트의 제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Preparation of Yogurt from Milk and Soy Protein)

  • 김혜정;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00-706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우유에 탈지분유 또는 4종의 대두단백질을 2% 첨가하여 커드상의 요구르트를 만들고, 대조군(우유로만 만든 요구르트)과 비교하여 대두단백질의 첨가가 젖산균의 산생성 및 커드상 요구르트의 품질(관능성,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HPLC를 이용하여 커드상 요구르트의 몇 가지 유기산을 분석하였다. 대두단백질의 첨가로 젖산균의 산생성이 탈지분유를 첨가한 경우보다 촉진되었는데, 탈지대두분이나 대두분의 촉진효과가 현저하였다. 접종된 4종의 젖산균 (Lactobacillus 3종, Leuconostoc 1종) 중에서는 Leuc. mesenteroides와 L. bulgaricus의 산생성도가 높았다. HPLC에 의한 유기산 분석에서는 우유나 2% 대두분을 첨가한 우유에 L. bulgaricus를 접종하여 24시간 발효하는 동안 lactic acid와 acetic acid는 젖산균에 의해 생성되어 그 양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우유 중에 들어있는 citric acid는 젖산균에 의해 이용되어 그 양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성된 주요 유기산은 lactic acid였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표준시료에 비하여 대두단백질 첨가 시료의 관능성은 저조하였으며, 대두단백질 중에서는 농축대두단백이나 분리대두단백 첨가 시료가 탈지대두분이나 대두분 첨가 시료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커드상의 요구르트를 2주일간 $5^{\circ}C$ 냉장고에 저장하는 동안 산생성과 pH, 생균수에 거의 차이가 없어 저장성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haracterization of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oy Milk Cake Fermented by Bacillus sp.

  • Oh, Soo-Myung;Kim, Chan-Shick;Lee, Sam-P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5호
    • /
    • pp.704-709
    • /
    • 2006
  • The mucilage production and tyrosine content in soy milk cake (SMC) fermented by Bacillus firmus NA-1, Bacillus subtilis GT-D, and B. subtilis KU-A was improved by fortification with 10% defatted soybean flour. The fibrinolytic activity and consistency of the SMC were drastically increased by solid-state fermentation for 1 day. However, the consistency of the fermented SMC gradually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for 3 days. Furthermore, the tyrosine content of the freeze-dried powder of SMC fermented by three Bacillus sp. was 9 times higher than that of unfermented SMC. The soybean proteins, including the 7S and 11S subunits, were partially digested during alkaline fermentation, producing lower molecular-weight peptides. The fibrinolytic enzyme produced in SMC fermented by B. firmus NA-l and B. subtilis KU-A exhibited higher thermal stability than that of B. subtilis GT-D fermentation. The powder obtained from B. subtilis GT-D fermentation had an ${\alpha}$-amylase activity and lower consistency compared to those of B. firmus NA-1 and B. subtilis KU-A. In addition, this powder contained 6.3% moisture content, 27% crude protein content and 9 units of fibrinolytic activity and proteolytic activity.

DETECTION OF SOY, PEA AND WHEAT PROTEINS IN MILK POWDER BY NIRS

  • Cattaneo, Tiziana M.P.;Maraboli, Adele;Barzaghi, Stefania;Giangiacomo, Roberto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 2001년도 NIR-2001
    • /
    • pp.1156-1156
    • /
    • 2001
  • This work aimed to prove the feasibility of NIR spectroscopy to detect vegetable protein isolates (soy, pea and wheat) in milk powder. Two hundred and thirty-nine samples of genuine and adulterated milk powder (NIZO, Ede, NL) were analysed by NIRS using an InfraAlyzer 500 (Bran+Luebbe). NIR spectra were collected at room temperature, and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Sesame Software (Bran+Luebbe). Separated calibrations for each non-milk protein added, in the range of 0-5%, were calculated. NIR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Sesame Software (Bran+Luebbe). Prediction and validation were made by using a set of samples not included into the calibration set. The best calibrations were obtained by the PLSR. The type of data pre-treatment (normalisation, 1$\^$st/ derivative, etc..) was chosen to optimize the calibration parameters. NIRS technique was able to predict with good accuracy the percentage of each vegetable protein added to milk powder (soy: R$^2$ 0.994, SEE 0.193, SEcv 0.301, RMSEPall 0.148; pea: R$^2$ 0.997, SEE 0.1498, SEcv 0.207, RMSEPall 0.148, wheat: R$^2$ 0.997, SEE 0.1418, SEcv 0.335, RMSEPall 0.149). Prediction results were compared to those obtained using other two techniques: capillary electrophoresis and competitive ELISA. On the basis of the known true values of non-vegetable protein contents, the NIRS was able to determine more accurately than the other two techniques the percentage of adulteration in the analysed samples.

  • PDF

당뇨환자를 위한 올리고당 첨가 콩 아이스크림 : 품질특성과 당뇨 흰쥐에서의 혈당 및 지질 개선에 미치는 효과 (Oligosaccharide-Supplemented Soy Ice Cream for Diabetic Patients : Quality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n Blood Sugar and Lipid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허보영;성혜영;최영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8호
    • /
    • pp.663-67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ot only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overrun, meltdown and sensory evaluation of oligosaccharide-supplemented soy ice cream but also physiological effects of ice cream with soy and/or oligosaccharide on blood sugar and lipid profil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Powder of parched soybean was added at $7.6\%$ replacing skimmed milk and cream, soybean oil at $7.6\%$ replacing milk oil in cream, and fructooli-gosaccharide at $9.5\%$ replacing sucrose on weight basis. Five kinds of ice cream were prepared: MMS (skimmed milk, milk oil, sucrose), MMO (skimmed milk, milk oil, oligosaccharide), SSS (soybean, soybean oil, sucrose), SSO (soybean, soybean oil, oligosaccharide), and BSO (black soybean, soybean oil, oligosaccharide). Overrun and meltdown of soy ice cream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milk ice cream. Scores of sensory evaluation especially in mouth feel and melting feel in mouth were lower in soy ice cream. Freeze-dried ice cream was supplemented to AIN93-based diets at $30\%$(w/w). Sprague-Dawley male rats with diabetes induced by injecting streptozotocin were fed experimental diets for 4 weeks. Plasma glucose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SSO group compared with MMS group. Plasma insulin levels of MMO and SS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normal group, while those of MMS and SSO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 group. Plasma cholesterol was decreased in groups fed ice cream supplemented either soybean or fructooligosaccharide compared to MMS group. HDL-cholesterol level was elevated and triglycerid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MMO group compared to MMS group. LDL-cholesterol levels of SSS and BSO groups and liver triglyceride level of SSO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MMS group. In conclusion, oligosaccharide-supplemented soy ice cream lowered blood sugar, and ice cream supplemented with soybean and/or oligosaccharide improved lipid profile in diabetic rats.

된장분말을 첨가한 두유마요네즈의 항산화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Milk Mayonnaise Containing Soybean Paste Powder)

  • 박혜덕;이상선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3호
    • /
    • pp.203-210
    • /
    • 2009
  • 본 연구는 마요네즈 제조 시 유화제로 사용되고 있는 난황이 콜레스테롤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난황 대신 두유를 사용하였고, 된장의 항산화 효과로 인해 마요네즈의 저장성을 증진시켜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유화제 종류와 된장분말 첨가가 마요네즈의 품질특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지 조사하고자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페놀함량은 E1이 97.92 mg%, E2는 131.15 mg%, E3는 172.81 mg%로 증가되었고, S1은 56.87 mg%, S2는 111.39 mg%, S3는 152.75 mg%로 된장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p<0.001). 2) 전자공여능은 E1이 20.49%에서 E2는 34.32%, E3는 50.95%로 증가되었고, S1은 9.59%, S2는 16.02%, S3는 38.77%로 된장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p<0.001). 총 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된장분말을 6% 함유한 E3, S3에서 높게 나타났다. 3) 색도 측정 결과 L값(명도)은 E군이 S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a값(적색도)는 S군이 높았고, b값(황색도)는 E군이 높게 나타났다. 된장분말이 증가할수록 L값(명도)은 감소하였고, a값(적색도)과 b값(황색도)는 증가하였다(p<0.001). 4) 콜레스테롤 함량은 E군이 152.87-156.62 mg/100 g, S군은 2.87-8.29 mg/100 g으로 나타나 두유로 만든 마요네즈의 콜레스테롤 함량이 매우 낮았다(p<0.001). 5) 관능검사 결과는 된장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색의 점수는 낮았고 신맛, 짠맛, 발림성은 증가하였다. E군은 S군보다 기름 냄새와 느끼한 맛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의 전반적인 결과로 볼 때 향, 전체적인 맛,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된장분말 3%를 함유한 두유마요네즈 S2가 가장 적당한 마요네즈라고 사료된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난황 대신 두유를 사용하고 된장을 3% 첨가한 마요네즈에서 관능검사 시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콜레스테롤은 150 mg/100 g에서 10 mg/100 g로 낮출 수 있었다. 비록 두유보다 난황을 사용한 마요네즈가 더 높은 항산화성을 나타내었지만 저장성 실험을 한 결과 두유마요네즈가 더 높은 저장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마요네즈가 개발된다면 계란의 난황 대신 두유를 사용하여 콜레스테롤 함유량을 낮출 수 있으며 계란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 도움을 줄 것이다. 그리고 된장 분말이 항산화작용을 하는 점을 이용하여 식품의 보존제로 첨가하여 식용유지의 산화를 방지하고 우리의 전통 발효식품인 된장을 서양요리에 접목 시킬 수 있어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인 된장을 세계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