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nning 3-forest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7초

SPANNING 3-FORESTS IN BRIDGES OF A TIGHT SEMIRING IN AN LV-GRAPH

  • Jung, Hwan-Ok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7권5_6호
    • /
    • pp.1307-1318
    • /
    • 2009
  • An infinite locally finite plane graph is an LV-graph if it is 3-connected and VAP-free. In this paper, as a preparatory work for solving the problem concerning the existence of a spanning 3-tree in an LV-graph, we investigate the existence of a spanning 3-forest in a bridge of type 0,1 or 2 of a tight semi ring in an LV-graph satisfying certain conditions.

  • PDF

EXISTENCE OF SPANNING 3-TREES IN A 3-CONNECTED LOCALLY FINITE VAP-FREE PLANE GRAPH

  • Jung, Hwan-Ok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8권3_4호
    • /
    • pp.893-908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ve the existence of spanning 3-trees in a 3-connected infinite locally finite VAP-free plane graph. Together with the results of Barnette and the author, this yields that every finite or infinite 3-connected locally finite VAP-free plane graph contains a spanning 3-tree.

하이브리드 최소신장트리 알고리즘 (Hybrid Minimum Spanning Tree Algorithm)

  • 이상운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7A권3호
    • /
    • pp.159-16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간선들이 동일한 가중치를 갖고 있는 그래프에서 최소신장트리 (Minimum Spanning Tree, MST)를 얻기 위해 Bor$\dot{u}$vka, Prim과 Kruskal MST 알고리즘을 실제 그래프에 적용한 결과 Bor$\dot{u}$vka와 Kruskal MST 알고리즘은 MST를 얻었지만 Prim MST 알고리즘은 MST를 얻는데 실패함을 보였다. 또한, Bor$\dot{u}$vka의 $2^{nd}$ Stage에서 Inter-MSF MWE를 선택하는 알고리즘이 복잡함을 알 수 있었다. Bor$\dot{u}$vka의 $1^{st}$ Stage는 최소한의 간선들로 최소신장 포레스트 (Minimum Spanning Forest, MSF)를 얻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Kruskal MST 알고리즘은 모든 간선들을 대상으로 하지만 항상 MST를 얻는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Bor$\dot{u}$vka의 $1^{st}$ Stage와 Kruskal MST 알고리즘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MST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하이브리드 MST 알고리즘을 추가적으로 6개의 그래프에 적용한 결과 Kruskal MST 알고리즘과 동일하게 항상 MST를 얻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알고리즘 수행속도와 메모리 용량 측면에서 비교한 결과 하이브리드 MST 알고리즘이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따라서 제안된 알고리즘을 일반화된 MST 알고리즘으로 채택이 가능할 것이다.

Simulating the Lyman-Alpha Forest with Massive Neutrinos and Dark Radiation for Large-Volume Surveys

  • Rossi, Graziano
    • 천문학회보
    • /
    • 제44권1호
    • /
    • pp.57.1-57.1
    • /
    • 2019
  • In support of current and upcoming large-volume cosmological surveys such as the SDSS-IV eBOSS, LSST, and DESI, we present an extensive suite of high-resolution cosmological hydrodynamical simulations spanning a large range of cosmological and astrophysical parameters. We follow the evolution of gas, dark matter, neutrinos, and dark radiation, and consider several combinations of box sizes and number of particles - enhancing the resolution up to $3{\times}33283=110$ billion particles in a (100 h-1 Mpc)3 box size. We also provide 100,000 skewers for a variety of redshift slices and combination of cosmological and astrophysical parameters, useful for interpreting upcoming high-quality $Lyman-{\alpha}$ forest data. These novel simulations represent an improvement over our previous runs, and can be useful for a broader variety of cosmological and astrophysical applications, ranging from the three-dimensional modeling of the $Lyman-{\alpha}$ forest to cross-correlations between different probes, for studying the expansion history of the Universe including massive neutrinos, and for particle-physics related topics.

  • PDF

"There's no Place like Home: The Sejong Suite"

  • Rossi, Graziano
    • 천문학회보
    • /
    • 제45권1호
    • /
    • pp.47.3-48
    • /
    • 2020
  • I will present the Sejong Suite, an extensive collection of state-of-the-art high-resolution cosmological hydrodynamical simulations spanning a variety of cosmological and astrophysical parameters, primarily developed for modeling the Lyman-Alpha forest. Adopting a particle-based implementation, we follow the evolution of gas, dark matter (cold and warm), massive neutrinos, and dark radiation, and consider several combinations of box sizes and number of particles. Noticeably, for the first time, we simulate extended mixed scenarios describing the combined effects of warm dark matter, neutrinos, and dark radiation, modeled consistently by taking into account the neutrino mass splitting. Along the way, I will also highlight some new results focused on the matter and flux statistics.

  • PDF

Developing drought stress index for monitoring Pinus densiflora diebacks in Korea

  • Cho, Nanghyun;Kim, Eunsook;Lim, Jong-Hwan;Seo, Bumsuk;Kang, Sinky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4권3호
    • /
    • pp.115-125
    • /
    • 2020
  • Background: The phenomenon of tree dieback in forest ecosystems around the world, which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high temperatures that occur simultaneously with drought, has received much attention. Korea is experiencing a rapid rise in temperature relative to other regions. Particularly in the growth of evergreen conifers, temperature increases in winter and spring can have great influence.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reports of group dieback of Pinus densiflora trees in Korea, and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es. However, research on techniques to diagnose and monitor drought stress in forest ecosystems on local and regional scales has been lacking. Result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evaluated an index to identify drought and high-temperature vulnerability in Pinus densiflora forests. We found the Drought Stress Index (DSI) that we developed to be effective in generally assessing the drought-reactive physiology of trees. During 2001-2016, in Korea, we refined the index and produced DSI data from a 1 × 1-km unit grid spanning the entire country. We found that the DSI data correlated with the event data of Pinus densiflora mass dieback compiled in this study. The average DSI value at times of occurrence of Pinus densiflora group dieback was 0.6, which was notably higher than during times of nonoccurrence. Conclusions: Our combination of the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and growing degree days evolved and short- and long-term effects into a new index by which we found meaningful results using dieback event data. Topographical and biological factors and climate data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DSI. This study serves as the first step in developing an even more robust index to monitor the vulnerability of forest ecosystems in Korea.

Pinus radiata 소나무의 정아내(頂芽內) Arginine함량(含量)의 시기적변화(時期的變化) (Seasonal Variation of Arginine in Buds of Pinus radiata in Relation to Flower Initiation)

  • 홍성옥;지 비 수이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9-67
    • /
    • 1977
  • 본(本) 실험(實驗)에서는 Pinus radiata의 정아내(頂芽內) 유리(遊離) arginine함량(含量)의 시기적(時期的) 변화(變化를) 화아분화(花芽分化)와 관련(關聯)하여 1974년(年) 5월(月)부터 1975년(年) 6월(月)까지의 기간(其間)에 걸쳐 연구(硏究)하였다. 사용(使用)된 정아(頂芽)는 뉴질랜드 로토루아시(市) 소재(所在) 임업연구소(林業硏究所) 포장(圃場)에 생장(生長)하고 있는 4개(個)의 Clone에서 채취(採取)하였으며, 전년도(前年度)에 개화(開花)하였던 가지의 정아(頂芽)를 arginine 분석(分析)에 이용(利用)하였다. 본(本) 연구(硏究)의 주요(主要)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一般的) 정아내(頂芽內) arginine의 함량(含量)은 4개(個) Clone에서 공(共)히 화아분화기(花芽分化期)인 12월(月)~3월(月)(북반구(北半球)의 6월(月)~9월(月)에 해당(該當)에 절정(絶頂)에 달(達)하였고 개화기(開花期)인 8월(月)~9월(月)에 가장 저조(低調)하였다. 2. 화아분화기중(花芽分化期中) arginine이 절정(絶頂)에 달(達)하는 회수(回數)는 각(各) Clone의 자화분화(雌花分化)의 주기수(週期數)(P. radiata에서는 1~3주기(週期)임) 대체(大體)로 일치(一致)하였다. 3. 개화량(開花量)이 많은 Clone은 적은 Clone에 비(比)하여 높은 arginine함량(含量)을 나타내었고 이러한 현상(現象)은 특(特)히 화아분화기(花芽分化期)에 더욱 현저(顯著)하였다. 4. 그러므로 정아내(頂芽內) Arginine의 함량(含量)은 화아분화(花芽分化)와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다고 사료(思料)된다.

  • PDF

테다소나무 7-1037 클론의 단일 반형매 풍매가계 6년생 생장에 대한 QTL mapping과 QTL 대립유전자 치환의 평균효과 (QTL Mapping for 6-Year-Old Growths of a Single Open-Pollinated Half-Sib Family of a Selected Clone 7-1037 in Loblolly Pine(Pinus taeda) and Average Effect of QTL Allele Substitution)

  • 김용율;이봉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4호
    • /
    • pp.483-494
    • /
    • 2006
  • 테다소나무 7-1037 클론에서 얻은 반형매 풍매 차대의 반수체 DNA에 대해 AFLP 표지자 분석을 수행하여 유전연관지도를 작성하고, 6년생 때의 수고 및 흉고직경 생장에 대한 QTL mapping을 수행하였다. 121개 AFLP 표지자로 전체 연관거리 1,869 cM, marker간 평균거리 18.5 cM의 20개 framework map을 작성하였다. Composite interval mapping 방법에 의해 수고 생장의 전체 표현형 변이의 5.9%를 설명할 수 있는 l개의 QTL과 흉고직경 생장 변이의 3.9~5.6%를 설명할 수 있는 3개의 QTL을 동정하였으며, QTL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수고 생장에 대한 QTL의 유전적 효과는 39.6cm이었고, 흉고직경 생장에서는 7.20~9.41 mm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상기 QTL들과 가장 가깝게 연관되어 있는 표지자를 이용하여 대립유전자 치환의 평균효과(average effect of gene substitution)를 산출한 결과, 수고생장에서는 44.3 cm, 흉고직경 생장에서는 8.38~11.81 mm이었다. 테다소나무의 생장에 대한 가계내 개체유전력을 0.2 이하로 가정한다면, 본 연구에서 확인된 QTL은 7-1037 클론의 반형매 풍매 차대가 보유한 상가적 유전분산의 26.8%를 설명할 수 있어 표현형에 의한 개체선발보다 선발효율에서 5배나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반형매 풍매 차대를 이용한 QTL mapping 분석은 채종원을 기반으로 하는 선발육종 사업에서 필요한 breeding value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인공교배 가계를 이용한 기타의 QTL 분석에 비해 보다 현실적이고 적용성이 높은 방법론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