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nning tree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8초

On spanning 3-trees in infinite 3-connected planar graphs

  • Jung, Hwan-Ok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21
    • /
    • 1996
  • In this paper the existence of spanning 3-trees in every 3-connected locally finite vertex-accumulation-point-free planer graph is verified, which is an extension of D. Barnette to infinite graphs and which improves the result of the author.

  • PDF

EXISTENCE OF SPANNING 3-TREES IN A 3-CONNECTED LOCALLY FINITE VAP-FREE PLANE GRAPH

  • Jung, Hwan-Ok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8권3_4호
    • /
    • pp.893-908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ve the existence of spanning 3-trees in a 3-connected infinite locally finite VAP-free plane graph. Together with the results of Barnette and the author, this yields that every finite or infinite 3-connected locally finite VAP-free plane graph contains a spanning 3-tree.

Low-delay Node-disjoint Multi-path Routing using Complementary Trees for Industrial Wireless Sensor Networks

  • Liu, Luming;Ling, Zhihao;Zuo, Y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5권11호
    • /
    • pp.2052-2067
    • /
    • 2011
  • Complementary trees are two spanning trees rooted at the sink node satisfying that any source node's two paths to the sink node on the two trees are node-disjoint. Complementary trees routing strategy is a special node-disjoint multi-path routing approach. Several complementary trees routing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in which path discovery methods based on depth first search (DFS) or Dijkstra's algorithm are used to find a path for augmentation in each round of path augmentation step. In this paper, a novel path discovery method based on multi-tree-growing (MTG) is presented for the first time to our knowledge. Based on this path discovery method, a complementary trees routing algorithm is developed with objectives of low average path length on both spanning trees and low complexity. Measures are employed in our complementary trees routing algorithm to add a path with nodes near to the sink node in each round of path augmentation step. The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our complementary trees routing algorithm can achieve low average path length on both spanning trees with low running time, suitable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in industrial scenarios.

이븐 연결망 Ed의 에지 중복 없는 스패닝 트리를 구성하는 알고리즘 (Constructing Algorithm of Edge-Disjoint Spanning Trees in Even Interconnection Network Ed)

  • 김종석;김성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7A권3호
    • /
    • pp.113-120
    • /
    • 2010
  • 이븐 연결망은 고장허용 다중컴퓨터에 대한 하나의 모형으로 제안된 연결망으로, 간단한 라우팅 알고리즘, 최대고장허용도, 노드 중복 없는 경로와 같은 여러 가지 유용한 성질과 알고리즘들이 분석되었다. 기존에 발표된 라우팅 알고리즘과 노드 중복 없는 경로를 구성하는 알고리즘은 최적임이 증명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븐 연결망에서 에지 중복 없는 스패닝 트리를 구성하는 기법은 소개되지 않았다. 에지 중복 없는 스패닝 트리는 상호연결망의 고장허용도의 성능 향상과 효율적인 방송 기법을 분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매우 유용한 기법이다. 기존에 발표된 라우팅 알고리즘 또는 노드 중복 없는 경로를 구성하는 알고리즘은 라우팅 또는 노드 중복 없는 경로를 위한 알고리즘으로 에지 중복 없는 스패닝 트리를 구성하기 위해 적용될 수 없는 알고리즘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븐 연결망 $E_d$에서 에지 중복 없는 스패닝 트리를 구성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LAPLACIAN SPECTRA OF GRAPH BUNDLES

  • Kim, Ju-Young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1159-1174
    • /
    • 1996
  • The spectrum of the Laplacian matrix of a graph gives an inform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graph. For example, the product of non-zero eigenvalues of the characteristic polynomial of the Laplacian matrix of a graph with n vertices is n times of the number of spanning trees of that graph. The characteristic polynomial of the Laplacian matrix of a graph tells us the number of spanning trees and the connectivity of given graph. in this paper, we compute the characteristic polynomial of the Laplacian matrix of a graph bundle when its voltage lie in an abelian subgroup of the full automorphism group of the fibre; in particular, the automorphism group of the fibre is abelian. Also we study a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 polynomial of the Laplacian matrix of a graph G and that of the Laplacian matrix of a graph bundle over G. Some ap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 PDF

오드 연결망 $O_d$에서 에지 중복 없는 최적 스패닝 트리를 구성하는 알고리즘 (Constructing Algorithm for Optimal Edge-Disjoint Spanning Trees in Odd Interconnection Network $O_d$)

  • 김종석;이형옥;김성원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6권5호
    • /
    • pp.429-436
    • /
    • 2009
  • 오드 연결망은 그래프이론 모델의 하나로 발표되었는데, [1]에서 고장허용 다중컴퓨터에 대한 하나의 모형으로 소개되었고, 여러 가지 유용한 성질들 - 간단한 라우팅 알고리즘, 최대고장허용도, 노드 중복 없는 경로 등 - 이 분석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오드 연결망 $O_d$ 에서 에지 중복 없는 스패닝 트리를 구성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한 알고리즘에 의해 구성된 에지 중복 없는 스패닝 트리가 에지 중복 없는 최적 스패닝 트리임을 증명한다.

SOME PROBLEMS AND RESULTS ON CIRCUIT GRAPHS AND TRIANGULAR GRAPHS

  • Jung, Hwan-Ok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6권3_4호
    • /
    • pp.531-540
    • /
    • 2008
  • We discuss the decomposition problems on circuit graphs and triangular graphs, and show how they can be applied to obtain results on spanning trees or hamiltonian cycles. We also prove that every circuit graph containing no separating 3-cycles can be extended by adding new edges to a triangular graph containing no separating 3-cycles.

  • PDF

하이퍼스타 연결망 HS(2n,n)의 에지 중복 없는 최적 스패닝 트리 (Optimal Edge-Disjoint Spanning Trees in HyperStar Interconnection Network HS(2n,n))

  • 김종석;김성원;이형옥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5A권6호
    • /
    • pp.345-350
    • /
    • 2008
  • 최근에 병렬처리를 위한 새로운 위상으로 하이퍼 스타 연결망 HS(2n,n)가 제안되었다. 하이퍼 스타 연결망은 하이퍼큐브와 스타 그래프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면서, 같은 노드수를 갖는 하이퍼큐브보다 망비용이 우수한 연결망이다. 본 논문에서는 하이퍼스타 연결망 HS(2n,n)에서 에지 중복 없는 스패닝 트리를 구성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한 알고리즘에 의해 구성된 에지 중복 없는 스패닝 트리가 에지 중복없는 최적 스패닝 트리임을 증명한다.

2-간선 연결 그래프를 사용한 최소신장트리 알고리즘 제안 (Proposal of Minimum Spanning Tree Algorithm using 2-Edges Connected Grap)

  • 이상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33-241
    • /
    • 2014
  • 본 논문은 원 그래프를 2-간선 연결 그래프로 단순화하고, 사이클 속성을 적용하여 최소신장트리를 빠르게 얻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Borůvka 알고리즘은 정점 (v) 당 최소 가중치 간선 (v) 을 1개씩 선택하는 1-간선 연결 그래프에 대해 사이클 속성을 적용하여 부분신장트리를 얻는다. 추가적으로 절단속성을 적용하여 부분신장트리를 연결하는 최소 가중치 간선을 선택한다. Kruskal 알고리즘은 그래프의 모든 간선을 대상으로 오름차순으로 절단 속성을 적용한다. 역-삭제 알고리즘은 내림차순으로 사이클 속성을 적용한다. Borůvka, Kruskal과 역-삭제 알고리즘은 모든 간선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항상 |e| 회 수행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첫 번째로, 정점 당 최소 가중치 간선을 2개씩 선택하는 2-간선 연결 그래프를 얻는다. 두 번째로, 2-간선 연결 그래프에 대해 사이클 속성을 적용하여 |e|=|v|-1 일 때 알고리즘을 종료시켰다. 제안된 방법들을 10개의 실제 그래프들에 적용한 결과 모두 최소신장트리를 얻는데 성공하였다. 또한, Borůvka, Kruskal과 역-삭제 알고리즘에 비해 수행 횟수를 60% 단축시켰다.

The Existence of an Alternating Sign on a Spanning Tree of Graphs

  • Kim, Dongseok;Kwon, Young Soo;Lee, Jaeun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52권4호
    • /
    • pp.513-519
    • /
    • 2012
  • For a spanning tree T of a connected graph ${\Gamma}$ and for a labelling ${\phi}$: E(T) ${\rightarrow}$ {+,-},${\phi}$ is called an alternating sign on a spanning tree T of a graph ${\Gamma}$ if for any cotree edge $e{\in}E({\Gamma})-E(T)$, the unique path in T joining both end vertices of e has alternating signs. In the present article, we prove that any graph has a spanning tree T and an alternating sign on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