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al program

검색결과 1,336건 처리시간 0.043초

3D 특수 분장 마스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제2보) (3D Special Makeup Mask Program Development and Utilization (Ver. 2))

  • 방기정;김진서
    • 패션비즈니스
    • /
    • 제19권5호
    • /
    • pp.63-7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training program for utilization of 3D special makeup mask program.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3D computer graphics software program, for special makeup mask using a variety of creative educational models and case study with comparative analysis. The makeup program applied to the majors and liberal arts classes for program design. Inthis study, the selected major courses included ' stage make up ', make up application', and illustrations and color '. Students were required to take a class targeted to questionnaire completion and analysis. The research method included literature search, and Internet navigation, of experimental research. The research targeted select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4-year university located in Dae-jeon, Korea. ETRI's "3D mask special makeup simulation program" was used in support. A survey of the study conducted from September 1, 2013, to August 30, 2014, showed a total of 94 additional statistical analyses. First, grade 3 44.6% was attained by 91.7% of the first year student majoring in liberal arts classes, Second, students' in the 3D special dress up mask program Interestingly, attained high recognition in its mastering, usability, and creativity. Furthermore, the major student satisfaction was higher for the '3D special makeup mask program. Third, students '3D special dress up was one of the biggest advantages of the program', the mask ' that models 3D ' faces. In addition, the student's delicate dress called for critical technology skills. It is thought to be suitable for practical training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if applied to universities and beauty schools, such as the regular high school curriculum through research.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isiting Physical-Computing Experience in an Education Program

  • Lee, Eun-S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9호
    • /
    • pp.279-286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일선 초·중등학교에서 컴퓨터 사용이 필요한 일회성 특강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사례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라즈베리 파이로 학생용 PC 기능을 수행하는 교구를 제작한 후 이 교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아두이노 기반 특강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특강 프로그램은 K 대학 인근의 3개 초, 중학교에서 적용한 후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강에서 활용할 PC 기능의 교구를 개발하였다. 둘째, 아두이노를 활용한 찾아가는 특강 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셋째, 특강에서 소수 인원을 개별지도 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였다. 넷째, 특강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컴퓨터 사용이 필요한 일회성 특강 프로그램을 기획하거나 피지컬 컴퓨팅 관련 기기를 학교 현장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교수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유익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실태분석을 통한 유형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Discovering Research of Special Agency of National R&D Management by Analyzing the Current Management System of National R&D Program)

  • 이길우;천세봉;고윤미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5
    • /
    • 2009
  • 각국의 과학기술연구개발 투자는 자연의 법칙 규명과 진리탐구에서 벗어나 국가발전의 핵심적인 경쟁력확보 및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국가가 시행하는 여러 정책 중에서 정부의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사회에 미치는 여러 가지 파급효과를 고려해 보았을 때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연구관리 전문기관은 국민의 세금으로 조성된 정부 R&D 정부예산을 정부를 대신하여 연구기획 관리 평가의 공적기능을 민간조직의 형태로 추진하는 점에서 볼 때 준공공부문에 해당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정부 R&D 투자의 중요한 주체로서의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그 역할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부처 중심의 정부연구개발예산 편성으로 인해 그 중요성이 간과되어 왔다.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연구관리 전문기관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현황 파악과 이를 바탕으로 한 이론적 논의가 본격적으로 다루어진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노정되고 있다. 이에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현황파악을 통하여 현상을 분석하고 개념적 특성을 도출하여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 PDF

특수 건강진단기관의 유기용제 분석 외부정도관리 실태 (The Status of Analytical External Quality Assurance Program of Organic Solvents for the Special Health Examination Laboratories)

  • 박관식;이미영;김종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6-21
    • /
    • 2010
  • It has been well known that organic industrial solvents such as toluene, xylene and styrene are environmental health hazards causing occupational diseases to workers. The detection of biological metabolites of toluene, xylene and styrene in blood, urine, breast milk, saliva, and hair of workers exposed to these organic industrial solvents is a useful tool for assessing the amount of organic industrial solvents. Therefor, the external analytical quality assurance program is extremely important work for increasing reliability of the data analyzed in the special health examination laboratory. We evaluated the results of analysis by Korean analytical quality assurance program from the second half 2007 to the first half 2009. The number of participants for analytical quality assurance program for both mandatory item and one of optional items, hippuric acid and methylhippuric acid were 116-122, 116-122 and 105-115 laboratories, respectively. The proficient rate of the special health examination laboratories analyzed both mandatory item and optional item, hippuric acid and methylhippuric acid were 92-98%, 92-98% and 96-98%, respectively. We can conclude from our data that the analytical quality assurance program is a essential tool for improvement of reliability on the data analyzed in the special health examination laboratories.

  • PDF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사업-진단과 제언 (Critical Evaluation of and Suggestions for a Comprehensive Project Based on the Special Act on Seoul Metropolitan Air Quality Improvement)

  • 백성옥;구윤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8-121
    • /
    • 2008
  • On January 1, 2005,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put into operation a comprehensive program, so called 'Blue Sky 21' project, for the improvement of air quality in greater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program was legally based on the 'Special Act on Metropolitan Air Quality Improvement' for Greater Seoul area, which was established in 2003, and should be updated every 10 years.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program is to improve the air quality in Seoul and surrounding area by 2014 to the levels of air quality in Tokyo and Paris, with particular emphases on reducing the concentrations of nitrogen dioxide and $PM_{10}$. Any regulation of the emission of toxic air pollutants in general, and $NO_2$ and $PM_{10}$ in particular, should be based on human exposure levels and consequential health effects. In this article, the contents and feasibility of the special program were critically evaluated with respect to the reduction of health risks. Important issues for improving not only air quality but public health are discussed, and future requirements for the success of the special program are suggested.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논리모형에 대한 탐색: 초등학교 특기적성교육을 중심으로 (The Exploration of Logic Model for After-school Programs focused on the Special Ability Aptitud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 김혜숙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2호
    • /
    • pp.336-349
    • /
    • 2016
  • The evaluation of the after-school program depends on whether it achieves its objectives or not so far which makes that it is not easy to figure out which mechanism is attributed to the consequences of the program.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the logic model of the after-school program and follows the processes such as literature review, opinion survey by specialists and in-depth interview with stakeholders. The target program of the study was focused on the special ability aptitud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The initial developed theory model was validated and finalized through being reviewed by specialists and teachers in charge of target schools. Based on the framework of logic model, the models are composed of context, components, activities, output/short term outcomes, and long term outcomes. As the key factors of the after-school program, amic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stakeholders, quality of the program in itself, follow-up management, counseling and guidance for students, instructors' expertise, and quality management of the program were drawn.

장애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중재프로그램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n Special Teachers' Perception toward Virtual Reality based Interven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이태수;주교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13-120
    • /
    • 2019
  • 이 연구는 장애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중재프로그램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재직하고 있는 364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중 무응답과 부적절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324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상현실 기반 중재에 대한 수용 의도는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하여 높았고, 10년 이하의 특수교사가 16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특수교사보다 높은 수용의도를 나타냈으며,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가 유치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보다 수용의도가 높았다. 적용 가능성, 적용 효과성, 활용의지에 대해서는 10년 이하의 교사가 16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보다 가상현실기반 중재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가 유치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보다 가상현실 기반 중재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PERSONAL COMPUTER를 이용한 식단 관리의 전산화 연구 (Development of Programs for Menu Planning by Using Personal Computer)

  • 문수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9-74
    • /
    • 1986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use of a computerized program for construction of menu. The Computer used for this study was the personal computer type IBM-PC OA-16 XT. The program itself used the computer's“DBASE Ⅲ”. Preparation for computer programming: 1) Assigned special code number of menu and input data 2) Assigned special code number of recipe and input data 3) Menu construction The computerized program for the planning of menu according to user's condition was developed.

  • PDF

초등 수학 영재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학생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Perception of Students on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Program)

  • 이정;강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107-124
    • /
    • 2007
  • 최근에 우리나라 교육계에 가장 두드러지게 등장하는 것이 영재교육이다. 영재교육에 대한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집중되어 지고 있지만 현재 우리나라 영재교육기관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에 대한 추적연구나 중장기적 연구가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05년도 서울시 지역교육청 영재 교육원과 2006년도 서울교육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생들의 영재 수학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영재 프로그램의 목표와 구성요소, 표준을 바탕으로 한 설문을 통해 분석하여 앞으로의 영재교육을 설계하는데 있어 학생들의 인식에 대한 자료도 참고가 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영재교육에 참가하는 학생들은 현재의 영재프로그램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지만 아직 초등학생이라는 발달적 단계로 놓여있는 점을 감안하여 영재프로그램에 참가하는 교사와 좀 더 친밀한 관계형성을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학습에 있어서도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좀 더 가능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앞으로의 초등 영재 수학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바란다.

  • PDF

$\rho$-Version 유한요소 프로그램을 위한 자동절점생성 알고리즘 및 전처리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c Node Generation Algorithm and Preprocessing Technique for $\rho$-Version Finite Element Program)

  • 조준형;홍종현;우광성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9-76
    • /
    • 1998
  • Due to the drastic improvement of computer hardware and operating system, it is easy to break through the main defects of limited computer memory and processing time, etc. To keep up with this situation, this paper is focused on developing the preprocessor program with the input method based on vector graphic editor and the preprocessing technique including automatic node generation algorithm for the $\rho$-version finite element program. To develop this preprocessor program, the special data structure and the OOP(Object Oriented Programming) have been used by the Visual Basic 4.0. The Special data structure is proposed to describe the geometric data of node numberings and coordinates suitable for the $\rho$-version finite element program, which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comvential h-version finite element progra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