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tic pullout load test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6초

대구경 소켓경사반력말뚝의 인발거동에 관한 연구

  • 최용규;김상옥;정창규;정성기;김상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77-284
    • /
    • 2000
  • Using the large diameter (D = 2,500mm, L = 40m) batter steel pipe piles, designed as compression piles but used as reaction piles during the static compression load test of socketed test piles (D = 1,000mm, L = 40m), static pile load tests for large diameter instrumented rock-socketed piles were performed. The reaction steel pipe piles were driven 20m into the marine deposit and weathered rock layer and then l0m socketed with reinforced concrete through the weathered rock layer and into hard rock layer. Steel pipe and concrete in the steel pile part, and concrete and rebars in the socketed parts were instrumented to measure strains in each part. The pullout amounts of reaction pile heads were also measured with LVDT. During the static pile load test, total compressional load of about 20MN was loaded on the head of test piles, but load above 20MN was not loaded due to lack of loading capacity of loading system. Over the course of the study, maximum pullout amount up to 7mm was measured in the heads of reaction piles when loaded op to 10MN and 1mm of pullout amount was measured. More than 85% of pullout load was transfered in the residual weathered rock layer and about 10% in the soft rock layer, which was somewhat different transfer mechanism in the static compressional load tests.

  • PDF

아스팔트용 고강도 앵커시스템의 인발강도식 검토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Pullout Strength Equation of High Strength Anchor for Asphalt Pavement)

  • Choi, Jaemin;Lee, Seungyong;Sung, Kitae;Han, Youngdoo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313-321
    • /
    • 2017
  • 인장하중을 받는 아스팔트 도로용 고강도 앵커의 강도특성에 관한 기초 성능을 규명하기 위해 앵커 매립깊이, 포장두께, 앵커 직경, 앵커 종류, 실험 온도, 에폭시 종류, 그룹인발 수량 등을 실험변수로 하여 정적 인발실험을 실시하고, 아스팔트 앵커의 인발강도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스팔트 앵커의 강재강도는 기존 콘크리트 앵커의 강재강도식을 적용하면 1.08배 이상의 안전율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앵커 강재강도식을 사용하여도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스팔트 앵커의 실험을 통해 얻은 인발하중을 제안식과 비교하면 약 ${\pm}10%$ 이내의 오차로 근사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부터 아스팔트 앵커의 경우에도 콘크리트 앵커와 동일한 투영면적의 비가 성립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구경 말뚝의 정재하시험시 대구경 경사반력말뚝의 인발거동 (The Pullout Behavior of a Large-diameter Batter ]Reaction Piles During Static Pile Load Test for a Large Diameter Socketed Pipe Pile)

  • 김상옥;성인출;박성철;정창규;최용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5-1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직경 1,000mm의 시험말뚝에 대한 압축정재하시험 수행시 반력말뚝으로 사용된 직경 2,500mm의 대구경 경사반력소켓말뚝의 인발거동을 분석하였다. 경사반력말뚝은 풍화암층과 연암층 10m에 걸쳐서 현장타설말뚝으로 소켓되어졌으며, 강관부는 강관과 속채움콘크리트로, 그리고 소켓부는 콘크리트와 철근으로 구성되었다. 각 구성부재에 작용하는 변형율을 측정하기 위해 센서를 설치하였으며, 반력말뚝두부의 인발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LVDT를 설치하였다. 정재하시험중 재하된 최대인발하중은 10MN이었으며 최대인발변위는 7m, 잔류인발변위는 최대 1mm 정도 발생하였다. 인발하중의 83%를 풍화암층에서 그리고 12%를 연암층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풍화암에 소켓된 철근콘크리트부와 연암에 소켓된 털근콘크리트부에서 각각 125.3kPa와 61.8kPa의 인발응력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풍화암층에서도 인발하중을 충분하게 지지하고 있으므로 풍화암층은 마찰력을 크게 발휘하는 지지층으로 사용되었다.

사질토지반의 선단확장형말뚝의 인발거동 특성 (Characteristics on Pullout Behavior of Belled Tension Pile in Sandy Soils)

  • 조석호;김학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599-3609
    • /
    • 2010
  • 연안개발과 해안매립을 사용하여 개발된 새로운 도시 건설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해안구조물과 고층구조물의 시공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구조물에서 수평력과 인발력을 받는 구조물의 기초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구조물에서 인발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하기 위한 기초형식으로 선단확장형말뚝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압축력을 받는 기초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선단확장형말뚝의 인발저항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외 4개 현장을 대상으로 선단확장형말뚝을 시공하고 정재하시험을 실시하여 말뚝의 지지력 및 하중-변위특성과 주면마찰력을 고려한 하중분담을 고찰하였다. 또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 및 이론에 의해 산정된 극한인발력과 현장시험의 극한인발력을 비교 평가하였다.

Head 플레이트 상세에 따른 Headed Bars의 인발거동에 관한 연구 (Pull-out Behaviors of Headed Bars with Different Details of Head Plates)

  • 박현규;윤영수;류영섭;이만섭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95-104
    • /
    • 2002
  • 이 논문은 콘크리트 콘 파괴에 의해 지배될 때의 인장력의 예측과 Headed bar의 인발 파괴 양상을 보여준다. 1개의 다른 플레이트 형상과 세가지의 서로 다른 용접 방법에 따라 시험이 이루어졌다. 시험의 변수는 Headed plate에 연결된 철근의 직경(16mm, 19mm, 22mm), 형상(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과 head plate의 차원(면적, 두께), 철근과 head plate와의 연결을 위한 용접 방법(일반용접, 마찰용접)이다. Headed bar는 ASTM 970-98에 기초한 모양과 두께를 가진 다른 단면적으로 제조되었으며 콘크리트의 부착 길이는 CSA 23.3-94에 의거하여 산정되었다. 정적 인장하중이 적용되었으며 시험 인발 성능은 ACI-349와 CCD 방법과 같은 현재의 설계방법에 의해 산출된 값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와 기존식을 비교하면 Headed bar가 앵커와 달리 넓은 플레이트 면적과 이형철근으로 인해 기준식에 비해 높은 강도와 큰 파괴 반경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