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mflow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4초

춘천지방 소나무림에서 임내우 및 토양수내 이온동태 (Ions Dynamics in the Rainfall, Throughfall, Stemflow and Soil Solution of Red Pine (Pinus densiflora) Stands at Chunchon)

  • 유정환;김영걸;이충화;변재경;최경;오정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5호
    • /
    • pp.347-351
    • /
    • 2000
  • 본 연구는 강원도 춘천지방의 소나무임분을 대상으로 임내우와 토양수의 이온동태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8년 4월부터 10월까지 수행되었다. 임외우, 수관통과우, 수간류의 평균 pH는 수간류가 4.8로 가장 낮았으며 토양수 pH는 심토층으로 내려갈수록 높았다. 전기전도도는 수간류가 55.9 μS/cm로 가장 높았고, 토양수에서는 심토층으로 내려갈수록 낮아졌다. 양이온은 임외우·임내우에서 K/sup +/, Ca/sup 2+/, 토양수는 Ca/sup 2+/, 음이온은 임외우·임내우는 SO₄/sup 2-/, 토양수 NO₃/sup -/가 가장 높았다.

  • PDF

강원도 중왕산 지역에서 5개 수종의 임외강우와 수간류의 수량 및 수질특성(I) - pH값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Quantiy and Quality for Bulk Precipitation and Stemflow of 5 Tree Species in Mt. Joongwang, Gangwon-do - A Centering Around the pH Value -)

  • 정문호;이광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3호
    • /
    • pp.229-236
    • /
    • 2008
  • 본 연구는 산림생태계내 물질순환의 한 경로인 수간류를 대상으로 수종에 따른 수간류량과 pH값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중왕산 지역에서 2004년과 2005년에 매년 6월부터 10월까지 임외강우와 활엽수종인 신갈나무, 거제수나무, 음나무, 물푸레나무와 대표적 조림수종인 낙엽송 등 5개 수종의 수간류의 유입량과 pH값을 분석하였다. 수종별 수간류량은 신갈나무에서 조사기간 동안 9.9 mm가장 많았고, 거제수나무, 음나무, 낙엽송, 물푸레나무가 각각 7.5 mm, 5.9 mm, 3.8 mm, 3.2 mm였다. 임외강우량이 증가할수록 수간류량도 증가하였으며, 단기간 집중호우가 많이 발생한 2004년에 임외강우의 증가에 따른 수간류의 증가량이 적게 나타났다. 각 수종별 수간류의 pH값은 물푸레나무에서 평균 5.56으로 가장 높았으며, 음나무 5.64, 거제수나무 5.80, 신갈나무 5.91, 낙엽송 5.25 순이었다. 대체로 임외강우의 pH값이 증가함에 따라 수간류의 pH값도 증가하였으며, 임외강우의 평균 pH값은 6.39로 모든 수종의 pH값이 임외강우의 pH값보다 낮았다.

산림내 강우에 의한 산성 강하물의 영향 평가 (Evaluation on Effects of Acid Deposition by analysis Rainfall in the Forest)

  • 이총규;김종갑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5_1호
    • /
    • pp.449-456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cid deposition by stemflow, throughfall, rainfall and $SO_{2}$ in the industrial, urban and rural areas where were affected by the acid rain areas air pollution in Pinus thunbergii than Quercus spp. forest. As the stemflow pH in industrial and urban area were lowed that of rural area, the result industrial and urban, and correlation of negative ($r=-0.9415^{**}$) between pH and EC. The concentration of acid ion by stemflow, throughfall, rainfall were high $SO_{4}^{2-}$ ion at industrial areas, especially of $NO_{3}^{-}$ ion at urban areas. The concentration of basic ion all rain fall were high $Ca^{2+},\;Na^{+}$ ion at industrial areas, but there were high $Ca^{2+}$, $Na^{+}$ ion at urban areas. The concentration of $SO_{2}$ at survey areas were high $SO_{2}$ concentration at industrial and urban areas, but there was low at rural areas. There was correlation of negative ($r=-0.8007^{**}$ between pH and $SO_{2}$ concentration at survey areas. Soil acidity was also affected by stemflow and showed sigificantly low pH in industerial and urban areas.

  • PDF

우리나라 참나무 천연림에 있어서 임내우의 수량변화 및 양분동태 (Nutrient Dynamics and Water Quantity of Throughfall and Stemflow in Natural Oak Stands in Korea)

  • 진현오;손요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1-70
    • /
    • 2007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참나무 천연림을 대상으로 강우의 이동에 따른 임내우(수관통과우 및 수간류)의 수량변화 및 양분동태를 분석하였다. 임외우량에 대한 임내우량의 비율은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수종특성 치에 입지조건이나 기상조건 등의 복합적인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앞으로 참나무 천연림의 보육사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지역별 수자원 관리 체계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지역에 따른 수관통과우의 양분 유입량을 비교한 결과, $Ca^{2+},\;Mg^{2+}$$K^+$'는 수체로부터의 용탈과 황사발생에 의한 집적, $Na^+$$Cl^-$은 해염성 기원물질, $NO_3^-$$SO_4^{2-}$는 대기오염물질의 건성침착 등의 영향에 의한 지역적 특성을 크게 반영하고 있었다. 수간류의 양분물질량은 임내우(수관통과우+수간류) 물질량의 10% 전후의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도시지역 참나무 천연림에 있어서는 수간류의 pH가 $3{\sim}5$의 범위에 분포하고 있어 이러한 수간류의 토양유입은 장기적으로는 근계 주변 토양 및 토양수의 pH와 양분동태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된다.

전나무림(林), 잣나무림(林) 유역(流域)에서 산림(山林)의 수질정화기능(水質淨化機能)에 미치는 산림시업(山林施業) 영향(影響)(III) -임외우(林外雨), 수관통과우(樹冠通過雨), 수간류(樹幹流)의 pH와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를 중심(中心)으로- (Influence of Forest Management on the Facility of Cleansing Water Quality in Abies holophylla and Pinus koraiensis Watershed(III) -With a Special Reference to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Rainfall, Throughfall and Stemflow-)

  • 정용호;박재현;윤호중;김경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2호
    • /
    • pp.223-231
    • /
    • 2000
  • 이 연구는 전나무림과 잣나무림에서 산림시업(山林施業)(간벌 및 가지치기)에 따른 산림(山林)의 수질정화기능(水質淨化機能)을 평가(評價)하기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996년 3월부터 5월까지 산림시업을 실시한 광릉시험림 31, 33임반내 전나무림과 잣나무림 유역에서 1999년 5월 4일부터 1999년 11월 1일까지 강우(降雨), 임내우(林內雨)(수관통과우(樹冠通過雨), 수간류(樹幹流))의 수질동태(水質動態)를 분석(分析)하였다. 산림시업 후 약 3년 8개윌이 경과된 1999년 11월 현재, 전나무림과 잣나무림에서 임목의 평균수고(平均樹高)는 시업구(施業區)가 비시업구(非施業區)보다 모두 약 0.5m 더 높았으며, 평균흉고직경(平均胸高直徑)도 시업구가 비시업구보다 각각 약 3.5, 2.6cm 더 성장하여 전나무림과 잣나무림 모두 시업구가 비시업구보다 좋은 성장상태를 보였다. 전나무림과 잣나무림의 시업구, 비시업구에서 평균pH는 초기수관통과우와 초기수간류가 모두 총수관통과우와 총수간류보다 낮았으며, 평균전기전도도는 초기수관통과우와 초기수간류가 총수관통과우와 총수간류보다 높았다. 이와 같이 시업구와 비시업구의 pH와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에 대한 산림시업의 영향은 유의성검정결과(有意性檢定結果) 1% 수준(水準)에서 유의(有意)한 결과를 나타내어 전나무림과 잣나무림에서 산림시업(山林施業)으로 임내우(林內雨)의 완충효과(緩衝效果)가 증대(增大)되는 것으로 분석(分析)되었다.

  • PDF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수간류, 임내우의 pH, 전기전도도 및 음이온 변화 (Variations of pH, EC and anion of stemflow and throughfall in Quercus mongolica and Q. variabilis)

  • 김민식;서문원;츠지오 에자키;전근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82-92
    • /
    • 2000
  •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에서는 부속연습림의 주요 활엽수종인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의 pH, 전기전도도 및 음이온 농도를 1996년부터 측정하고 있으며, 1998년까지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외우의 pH범위는 4.47~6.55, 평균값은 5.39였으며,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임내우의 pH범위는 각각 4.07~6.25, 4.34~6.57, 평균값은 5.45와 5.62로 수종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신갈나무 수간류의 pH 범위는 4.08~6.13. 평균 5.17 였으며, 굴참나무 수간류의 pH 범위는 3.62~6.11, 평균 4.68로 임외우의 pH에 반듯이 비례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봄철이 낮고 상대적으로 여름과 가을철에는 높은 계절적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2. 임외우의 EC범위는 $3.0{\sim}62.6{\mu}s/cm$로 평균값은 $18.8{\mu}s/cm$였으며,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임내우의 EC범위는 각각 $5.4{\sim}85.0{\mu}s/cm$, $5.0{\sim}253.0{\mu}s/cm$. 평균값은 $25.1{\mu}s/cm$$31.2{\mu}s/cm$였다. 또한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수간류의 EC범위는 각각 $9.5{\sim}500{\mu}s/cm$, $11.5{\sim}534.5{\mu}s/cm$로 평균값은 $81.8{\mu}s/cm$, $80.2{\mu}s/cm$였다. 즉 임외우의 EC는 계절에 상관없이 $20{\sim}30{\mu}s/cm$범위에서 일정한 값을 나타냈으나, 수간류의 EC는 3월~4월에 두 수종 모두 $100{\mu}s/cm$이상을, 그리고 여름철에는 $30{\mu}s/cm$ 내외의 값을 나타내었나, 10월과 11월에 다시 높아지는 계절에 따른 차이가 명확히 나타났다. 3. 임외우와 임내우의 $Cl^-$, $NO_3{^-}$$SO_4{^{2-}}$ 농도는 0~15ppm였으나, $PO_4{^{2-}}$농도는 임외우가 0.57ppm과 0.23ppm 2차례, 신갈나무에서 0.08ppm 1차례, 굴참나무에서 0.14ppm, 0.12ppm 및 1.19ppm으로 3차례가 각각 검출되었을 뿐이다. 또한 수간류의 $Cl^-$, $NO_3{^-}$, $SO_4{^{2-}}$$PO_4{^{2-}}$ 농도는 전체적으로 임외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계절적인 차이가 뚜렷하였다. 그러나 $PO_4{^{2-}}$농도의 경우, 임외우와 임내우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나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에서 각각 0.08~31.99ppm, 0.06~12.28ppm, 평균값은 각각 3.22ppm, 1.93ppm으로 나타났다.

  • PDF

Chemical Characteristics of Rainfall and Throughfall in Pinus koraiensis and Larix leptolepis Forests in Korea

  • Kim, Min-Sik;Takenaka, Chisato;Park, Ho-Taek;Chun, Kun-Woo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2호통권159호
    • /
    • pp.96-102
    • /
    • 2005
  • This study evaluated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rainfall and throughfall in Pinus koraiensis and Larix leptolepis forests. We analyzed pH, EC, and concentrations of cations and anions in rainfall, throughfall and stemflow collected from both forest types in the experimental forests of the central Korea. The concentrations of chemical elements were much higher in throughfall and stemflow than in rainfall for both forest types, an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easons. Comparing the chemical elements between the P. koraiensis and L. leptolepis plantations,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roughfall, but the concentrations of almost elements of stemflow in P. koraiensis were almost lower than those in L. leptolepis. For seasonal inputs to the forest floor, more than half of the total input of $Ca^{2+}$, ${NO_3}^-$and ${SO_4}^{2-}$ was observed in spring. This suggests that air pollutants such as NOx and SOx accompanying calcium-rich aeolian Yellow Sand (Asian dust) from China could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nutrient cycles in Korean forests.

대기오염지역과 비오염지역 강우의 이온특성 (characteristic of Ions in Rainwater at Air Polluted and Non-POLLUTED aREA)

  • 김종갑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3호
    • /
    • pp.195-201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 of ions in rainwater by throughfall, stemflow and rainfall at air polluted area(Kure city industrial city) and non-air polluted area (Higashihiroshima city non industrial city). pH of rainwater in air polluted area were all low as compared with those in non-air polluted area. EC of rainwater in ir polluted area were high in throughfall and stemflow,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both areas in rainfall. The concentration of major ions in rainwater were generally high at air polluted area, especially of $Mg^{2+}$, $Ca^{2+}$, $Cl^{-}$ and $SO_4^{2-}$ in stemflow.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NH_4^{+}$, and there was also cases had a high concentration in non-air polluted area. By comparison with forest type, in stemflow concentration of ions in coniferous forest were higher than those in broad-leaved, but in throughfall they were higher in mixed forest rather than coniferous fores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rainwater and pH, and also EC. $NO_4^{-}$ and $SO_{4}^{2-}$ had high correlations between major ions besides $Na^{+}$ and $NH_{4}^{+}$ in air poluted area.

  • PDF

수관통과우, 수간류 및 임외우에서 Al, Mn 및 Ni의 농도 변화 (Changes of Concentration of Al, Mn and Ni in Throughfall, Stemflow and Rainfall)

  • 이총규;김우룡;김종갑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5호
    • /
    • pp.295-298
    • /
    • 1999
  • 산림지역의 강우분석에 의한 중금속 농도를 분석한 결과, Al의 수종별 농도는 공단지역의 해송림이 상수리나무림보다 1.3배 높았고, 도시지역은 해송림이 2.1배 높았다. 공단지역과 도시지역 수간류의 Al 농도는 수관통과우와 임외우 보다 각각 2.3배와 192.5배, 4.8배와 55배 높은 농도였고, 임외우는 두 지역에서 같은 농도로 낮았다. Mn의 농도는 수종별 농도는 도시지역의 해송림이 1,4배 높았다. Mn의 강우별 농도는 수간류가 수관통과우 보다 6.1배 높았고, 임외우 보다 121배 높은 농도였다. 강우의 계절별 농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Al은 공단지역에서 12월의 강우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3월, 6월, 8월 순으로 분석되었지만, 도시지역은 계절별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지역별 중금속의 농도는 공단지역에서 Al>Mn>Ni의 순이었고, 도시지역은 Mn>Al>Ni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 PDF

소나무와 상수리나무림의 임내우 물수지 특성 (Characteristics of Water Budget on Throughfall and Stemflow in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acutissima)

  • 이헌호;박재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59-270
    • /
    • 1998
  • 본 연구는 산지의 수자원보전량 평가용 수문유출모형의 개발을 위한 중요한 기초연구로서 우리나라 주요 수종인 소나무와 상수리나무에 대한 수간류 및 수관통과우의 물수지식과 수문학적 특성을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부속 용성연습림과 영남대학교 교내 야산에 각각 수관통과우 및 수간류 관측용 야외 실험지를 설치하고, 1995년 9월에서 1998년 6월까지 약 2년 10개월 사이에 이 지역에 내린 다수의 단위강우에 대한 두 수종의 임내우 수량배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임외의 단위강우에 응답하는 두 수종의 수문학적 특성과 임내우 물수지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나무에 있어서 수관통과우와 수간류의 총량은 각각 임외우의 73.8%와 0.8%이였으며 상수리나무는 각각 임외우의 76.9%와 3.8%로 관측되었다. 2. 소나무에 있어서 임외우(Gp)에 대한 수간류(S$_{f}$)와 수관통과우(T$_{f}$)의 회귀식은 각각 S$_{f}$ = 0.01GP -2.05 ($r^2$=0.54) T$_{f}$ = 0.79Gp - 26.04 ($r^2$=0.92)로, 임내우(N$_{r}$)와는 N$_{r}$ = 0.81Gp - 28.09 (r2=0.92)로 추정하였다. 이와 같이 소나무에 있어서 수간류와 수관통과우는 임외우의 양에 정비례하여 증가하였다. 3. 상수리나무에 있어서 임외우(Gp)에 대한 수간류(S$_{f}$)와 수관통과우(T$_{f}$)의 회귀식은 각각 S$_{f}$ = 0.03Gp + 12.25 ($r^2$=0.74) T$_{f}$ = 0.78Gp + 19.75 ($r^2$=0.96)로, 임내우(N$_{r}$)와는 N$_{r}$ = 0.81Gp + 31.99 ($r^2$=0.96)로 구해졌는데 소나무보다 상수리나무에 있어서 수간류와 수관통과우의 증가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수간류 및 수관통과우와 그 영향인자로 평가된 수관투영면적(CA). 흉고직경(DBH), 임외우량(Gp)과의 내부상관분석을 한 결과, 소나무 수간류에는 임외우>수관투영면적>흉고직경의 순으로, 상수리나무 수간류에는 임외우>흉고직경>수관투영면적의 순으로 상관계수 값이 높았다. 그리고 소나무와 상수리나무의 수관통과우는 임외우>수관투영면적>흉고직경의 순으로 상관계수 값이 높았다.상관계수 값이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