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access

검색결과 369건 처리시간 0.029초

소설 주제 접근체계의 확장 연구 - 상징과 모티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nhancing Subject Access to Fiction Focused on Symbol and Motif)

  • 김나름;김태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9-87
    • /
    • 2006
  • 소설을 비롯한 문학작품에 대한 접근은 기술요소 중심이었고, 주제접근 역시 작품 속에 등장하는 소재, 인물명, 지명 등 형식 요소에 국한되어 왔다. 이러한 관행은 소설 주제의 본질을 놓친 것이며 미학적 경험을 추구하는 이용자의 주제요구를 반영하지 못한다 이 연구에서는 소설 주제접근체계의 확장을 위해 상징 및 모티프의 개념과 주제접근 점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해당 용어사전을 정보원으로 활용하여 상징과 모티프 체계를 구성하고, 20세기 한국소설에 적용해 이용성과 한계점을 논하였다.

우리나라 온라인열람목록의 주제접근 방법 (Subject Access to OPACs in Korea)

  • 장혜란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7년도 제4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9-112
    • /
    • 1997
  •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variety of the subject access methods of OPACs, telephone interviews were administered to the computerized libraries in Seoul. Data was collected during 4 days in Feb. 1997, and 155 libraries were responded. It was found that 105 libraries are operating OPACs. Among the 105 libraries, almost of all provide classification number and title keyword access, however, only half of them provide subject name access. 18 libraries allow linking/browsing facility between classification number and subject name/keyword. The language of the subject name to oriental books is mainly Korean and that to the Western books is mainly English. LCSH is the major authority list used. 36 libraries, 2/3 of them are special libraries, subject name is assigned by librarian without control. Based on the results, problems and suggestions to enhance subject access capability are presented.

  • PDF

주제 접근의 다양성과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 표목의 활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rieties of Subject Access and Usabilitie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ubject Headings)

  • 정연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71-185
    • /
    • 2014
  • 본 연구는 급격히 변화하는 도서관 환경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주제 접근 방식의 다양성을 살펴보고 국립중앙도서관의 주제명표목에 관한 분석과 평가를 통해 주제 접근의 미래에 관해 제시하였다. 먼저 주제 접근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대표적인 주제명 표목인 미의회도서관 주제명표목의 장점과 단점을 바탕으로 주제명 표목의 검색 효율성을 증진하는 방법에 관해 다루었다. 소셜북마킹, 폭소노미, 태깅, 패싯 적용, 저자부여 키워드, 시소러스, 분류표, 자동완성기능 부여로 주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하였고 국립중앙도서관의 주제명 표목의 현황과 향후 주제 접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 검색 시스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Access & Retrieval System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ubject Headings)

  • 백지원;정연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1-5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이용자 접근 및 검색 시스템 기능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국내외 주요 주제명표목표의 주제명 접근 및 검색 방식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검색 시스템 분석을 통해 주제명 접근, 이용 방식과 절차 등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이용 현황 및 검색 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셋째, IFLA의 국가 서지 주제 접근 지침과 FAST의 적용 사례에 나타난 주제 접근 도구의 발전 방향 및 국내외 사례의 시사점 등을 바탕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검색 시스템 개선안을 기능, 인터페이스, 질의, 부가 서비스 등 4가지 부문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A MATHEMATICAL MODEL FOR HISTORY-BASED ACCESS CONTROL

  • Kim, He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제8권1호
    • /
    • pp.11-30
    • /
    • 2004
  • Access Control is one of essential branches to provide system's security. Depending on what standards we apply, in general, there are Role-based access control, History-based access control. The first is based on subject's role, The later is based on subject's history. In fact, RBAC has been implemented, we are using it by purchasing some orders through the internet. But, HBAC is so complex that there will occur some errors on the system. This is more and more when HBAC is used with other access controls. So HBAC's formalization and model which are general enough to encompass a range of policies in using more than one access control model within a given system are important. To simplify these, we design the mathematical model called non-access structure. This Non-access structure contains to historical access list. If it is given subjects and objects, we look into subject grouping and object relation, and then we design Non-access structure. Then we can determine the permission based on history without conflict.

  • PDF

OPAC의 발전과정과 주제접근방법론 (Development of OPAC and theories on online subject access)

  • 최달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0권
    • /
    • pp.155-186
    • /
    • 1993
  • This study aims at defining the concept of OPAC, tracing of research trends and development of it, and clarifying various methods of subject access and patterns of bibliographic searching in OPAC as well as strategies for improving to implement online catalogs. Although OPAC is so far the most user-friendly bibliographic searching method, there are still a lot of issues including online subject access in particular. Therefore a more effective and useful method for computer end-users have to be developed, for instance, improvement of an indexing system, a n.0, pplication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as a searching tool, a new design and construction of standardized thesaurus, betterment of user interface, introducing of expert system into bibliographic searching, establishment of subject authority file. Those would raise the success-rate of users seeking bibliographic information in the library catalogs. Korean libraries are in very early stage of OPAC implementation so that every efforts and concerns to improve strategies and techniques for subject access to OPAC have been strongly asked.

  • PDF

뉴베리 수상작 주제 분석을 통한 어린이 독서자료 선정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ion Efficiency Scheme in Children's Books through Subject Analysis of The Newbery Medal Winner's Books)

  • 장지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3-79
    • /
    • 200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어린이 독서 자료의 선정과정에서 효율성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도서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제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주제 접근의 필요성을 보여주기 위해 뉴베리상 수상작 국내 번역본 중에서 소설을 대상으로 내용에 접근할 수 있는 주제를 분석하여 이용 효율성의 예를 제시하였다. 기존의 주제명표목표에서 제시하는 주제 외에 소설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로서 소설의 장르와 주인공의 성별, 연령을 제안하였다.

온라인 열람목록의 주제탐색 강화를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 to enhance subject access in korean online public access catalog)

  • 장혜란;홍지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83-107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eriment online public access catalog enhancements to improve its subject access capability. Three catalog databases, enhanced with title keywords, controlled vocabulary, and content words with controlled vocabulary respectively, were implemented. 18 searchers performed 2 subject searshes against 3 different catalog databases. And the transaction logs a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Controlled vocabulary catalog database achieved 41.8% recall ratio in average ; the addition of table of contents words to the controlled vocabulary is an effective technique with increasing recall ration upto 55% without decreasing precision ; and the database enhanced with title keywords shows 31.7% recall ratio in average. Of the three kinds of catalog databases, only the catalog with contents words produced 2 unique relevant docum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both user training and system development is required to have better search performance in online public access catalog.

  • PDF

Security Improvement of File System Filter Driver in Windows Embedded OS

  • Seong, Yeon Sang;Cho, Chaeho;Jun, Young Pyo;Won, Yoojae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7권4호
    • /
    • pp.834-850
    • /
    • 2021
  • IT security companies have been releasing file system filter driver security solutions based on the whitelist, which are being used by several enterprises in the relevant industries. However, in February 2019, a whitelist vulnerability was discovered in Microsoft Edge browser, which allows malicious code to be executed unknown to users. If a hacker had inserted a program that executed malicious code into the whitelist, it would have resulted in considerable damage. File system filter driver security solutions based on the whitelist are discretionary access control (DAC) models. Hence, the whitelist is vulnerable because it only considers the target subject to be accessed,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access rights of the file target object. In this study, we propose an industrial device security system for Windows to address this vulnerability, which improves the security of the security policy by determining not only the access rights of the subject but also those of the object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mandatory access control (MAC) policy in the Windows industrial operating system. The access control method does not base the security policy on the whitelist; instead, by investigating the setting of the security policy not only for the subject but also the object, we propose a method that provides improved stabil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whitelist method.

구술 기록의 활용을 위한 패싯 기반 주제명표목 개발에 관한 연구: 해방촌 니트 사업 구술 기록을 대상으로 (A Study on Developing Facet-based Subject Headings of Oral History Records Use: Using Oral History Records of Knit Business in Haebangchon)

  • 김해인;정연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7-85
    • /
    • 2022
  • 본 연구는 해방촌 니트 사업을 주제로 수집된 구술 기록의 주제 접근을 위해 패싯을 기반으로 한 주제명표목의 개발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문헌 연구에서 구술 기록과 그 내용의 개념과 특징을 고찰하고 구술 내용에 대한 패싯과 주제명표목의 적용 의미를 살펴보았다. 둘째, 구술의 서사적 측면을 반영한 육하원칙을 토대로 구술 기록에 대한 기본 패싯을 설정하였다. 셋째, 해방촌 니트 사업의 종사자와 관계자 7인과 면담자 1인의 구술 면담을 통해 수집된 녹취록을 대상으로 용어 분석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540개의 주제어를 선정하고 패싯에 따라 범주화하였다. 마지막으로 패싯으로 구분한 주제어를 주제 명표목의 표목으로 활용하여 관계어와 함께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구술 기록의 내용에 대한 주제적 접근과 활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