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ccessful marital adjustment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6초

결혼이민여성의 초기 적응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Facilitating Factors in Early Successful Adjustment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 유가효;홍성희;김성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2권2호
    • /
    • pp.95-12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actors that facilitate married female immigrants' early adjustment in Korea. For this purpose, 14 immigrated female participants living in Daegu were interviewed in-depth by using an open-ended questionnair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rough content analysis of participants' responses, three major factors were found to influence successful adjustment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personal factors, familial support and the social support system. Among the personal factors, having a conservative marital attitude, optimism and liking the partner rather than economic concern for the reason of marital decision making are contributing factors to the successful marital adjustment. Above all, familial support, a husband's good personality, care, and active support are the important factors in a foreign wife's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Parent-in-law's help and tolerance playa role in a foreign daughter-in-law's successful adjustment. In the social support system, joined activities and the support of mends from the homeland make a contribution to decreasing the sense of isolation and to giving mental well-being for married female immigrants. The center for support of multicultural family gives them the opportunity to meet people from their homelands and to expand the social network.

  • PDF

포괄적 부부상호작용 코딩시스템(MICS-G) 국내 타당화 연구 (The Marital Interaction Coding System-Global(MICS-G): A Validation Study)

  • 박우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1호
    • /
    • pp.109-125
    • /
    • 2019
  • Few studies have utilized observational methods in the field of couple research even though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is prone to the subjective biases of the reporter. This study validates the Marital Interaction Coding System-Global (MICS-G), a global version of the well-established microanalytic observational coding system, Marital Interaction Coding System (MICS). Participants in the study consisted of 30 married couples with varied levels of marital adjustment who visited one of the Healthy Family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Seoul, either for couple therapy or the "Marriage Checkup"program. Ten-minute problem-solving discussions were rated by two undergraduate student raters who were trained for 10 hours. Interobserver agreement based on percentage agreement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showed a high level of agreement between raters in establishing interrater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was established by: correlations among marital adjustment, psychological aggression, mental health, and MICS-G categories of conflicts, validation, invalidation, facilitation, and withdrawal. MICS-G categories also were successful in discriminating between distressed and nondistressed couples, which provides evidence of discriminant validity for MICS-G. This study showed that MICS-G is a promising method for researchers to observe couple interactions in a more cost-effective way. Methodological issu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기혼 여성의 부부 적응도와 성격 차원간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Dyadic Adjustment and Personality Dimensions in Married Women)

  • 이효근;조숙행;김정웅
    • 정신신체의학
    • /
    • 제11권2호
    • /
    • pp.182-195
    • /
    • 2003
  • 연구배경 및 목적: 결혼은 인생의 주요 사건 중의 하나로, 개인의 행복과 인생의 의미의 근원이며 결혼 생활의 적응은 개인의 대인 관계 및 정신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성공적인 결혼 생활을 예측할 수 있는 몇 가지 요인이 있는데, 그 중에서 개인의 성격은 결혼의 안정, 만족, 행복을 달성하고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 지역의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성격 차원은 부부간의 적응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 법: 기혼 여성 170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자료, DAS, EPQ, BDI 및 STAI의 기술 통계치를 구하고 Pearson의 적률 상관을 통해 각 자료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위계적 중다 회귀 분석을 통해 불안과 우울을 통제한 상태에서 부부 적응도와 성격 차원과의 관련을 보았다. 결 과: 연령과 결혼 기간이 증가할수록 애정 표현과 응집도는 감소하였다. 학력의 증가에 따라 전체 부부 적응도와 만족도가 증가하였고, 가족 소득의 증가에 따라 전체 부부 적응도 및 만족도, 일치도, 응집도가 증가하였다. 부부만 사는 가족은 전체 결혼 적응도, 만족도, 응집도에서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핵가족, 그리고 기타가족이 포함된 확대 가족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정신병적 경향성이 증가할수록 전체 부부 적응도, 일치도, 만족도, 애정 표현, 응집도가 감소했으며 신경증적 경향성이 증가할수록 전체 부부 적응도, 만족도, 일치도, 애정 표현이 감소하였다. 외향성과 허위성은 전체 부부 적응도 및 하부 요인과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우울과 불안을 통제한 상태에서는 정신병적 경향성이 전체 부부 적응도, 만족도, 일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연령, 결혼 기간, 학력, 소득, 가족형태 등의 인구통계학적 변인들 및 정신병적 경향성, 신경증적 경향성의 성격 차원이 부부 적응도와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신경증적 경향성은 우울과 불안 등의 정서 상태를 매개로 하여 부부 적응도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개인의 성격은 부부간의 적응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결혼 문제를 다룰 때 치료자는 개인의 성격 측면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정상 대조군과 정신과 질환군 간, 그리고 부부간에서는 성격 차원에 따른 부부 적응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후속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요인 (The Marital Factors on Social Adaptation among North Korean Refugees)

  • 정윤경;김희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2호
    • /
    • pp.157-168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positive and negative marital factors on social adaptation to South Korea among North Korean refugees. In terms of previous studies, family variabl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daptation to new society among refugees. We analyzed three major marital factors of marriage background, dyadic adjustment, and marital violence. Marital factors consisted of place of birth, place of marriage, dyadic consensus, dyadic satisfaction, dyadic cohesion, emotional violence,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We analyzed the data of 295 North Korean refugees who resid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using snowballing sampling.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refugees married to non-Korean partners (including Korean-Chinese, Chinese, or Russian) are more likely to suffer in social adaptation. Place of marriage (whether the couple got married before escaping, during the escape or after living in South Korea)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Dyadic satisfaction was helpful in social adaptation, while sexual violence had a negative effe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alternatives for more successful social adaptation by North Korean refugees to South Korea, a need for more services that target married couples and families rather than individuals, and suggestions for the use of counselors who are also North Korean refugees.

다문화가족의 결혼생활 관련요인 분석 - 용산구 다문화가족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Marital Life Factors for the Multi-Culture Families - Focused on the Case Study of Multi-Culture Family in Yongsan-Gu -)

  • 정미선;계선자;강혜경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3권3호
    • /
    • pp.31-5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at factors affect the marital life of multicultural famili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immigrated females and their husbands living in Yongsan-Gu, Seoul, Korea, by open-ended questionnaire. The interviews took place on September 11, 2008, and October 11, 2008.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the informants' responses, three major factors were found to influence the successful adjustment of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personal factors, familial support, and social support systems. Among the personal factors, the self-esteem of the married couples is relatively high. However, the factor of the economic living condition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dicates some difficulty. Finally, considering the level of self-development of the female immigrants' husbands, an older husband was viewed more negatively than a younger one. In terms of familial support,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adjustment of a foreign wife is the trust of her husband and her relationship with the husband's family. Accordingly, educational programs are necessary to promot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the couples' relations. In social support systems, the female immigrants experienced neglect, as far as multicultural prejudice in society. Therefore, in order to revitalize the self-esteem of immigrants, we need to reach out to multicultural families. The center for support of multicultural families provides opportunities to find training, upgrade education for employment, and expand their social network.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the national public relations industry to recognize improvements regarding the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 PDF

첫 자녀 출산 전후 부부의 관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적응 과정에 대한 탐색 ("Our first baby was born" Experience in the newly-wed couples: A Qualitative Study)

  • 최승미;권정혜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
    • 제17권4호
    • /
    • pp.679-704
    • /
    • 2012
  • 본 연구는 첫 자녀 출산 후 부부관계 경험 및 적응 과정에 대한 이해를 위해 근거이론적 접근에 기초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결혼 기간 5년 미만, 첫 자녀 출산 후 3년 이내의 부부 13쌍에 대해 심층 면담이 진행되었다. 면담 자료를 대상으로 범주화 작업을 거쳐, 출산 후 부부관계 경험 및 적응에 대한 패러다임을 추출할 수 있었다. 첫 자녀를 출산한 부부들에게 관계 변화를 야기하는 원인적 조건은 삼자적 가족구조로의 전환 및 결혼 적응 수준이었으며, 중심 현상으로는 양육 및 가사 부담, 출산 후 부부관계의 변화가 특징적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중심현상은 남편의 지원과 관심, 원가족 지원의 중재 변인을 통해 그 강도가 완화 또는 악화되었다. 작용/상호작용적 전략에서 추출된 주요 범주는 새로운 역할 인식과 적극적인 수용, 가족에 대한 의미부여였으며 이러한 전략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을 때, 완성체로서의 가족 구성과 공유된 가치 경험이 얻어질 수 있었다. 선택 코딩을 통해 이론화를 시도한 결과 '부부의 새로운 역할 인식과 수용 및 우리성(We-ness)의 추구'라는 핵심범주가 추출되었다. 임신과 출산, 양육 전 과정에 걸쳐 부부가 하나의 단위로 움직이며,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보이는 것으로 정의되는 '우리성'의 획득은 출산과 양육이라는 생애 전환기적 사건을 맞닥뜨린 부부가 이에 적응적으로 대응하고 안정된 부부관계를 유지하게 하는 근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갈등이 청소년의 불안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arents conflict on youth's anxiety and school adaptation)

  • 민대기;최미경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6호
    • /
    • pp.1407-1418
    • /
    • 2014
  •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하루 중 대부분 시간을 학교에서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지낸다.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기 때문에 학교생활의 적응 여부는 청소년의 학업성취도 및 생활만족도와 관계가 있고 길게는 사회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학교적응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의 하나로 청소년기의 심리적 불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청소년의 가정환경은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졌으며, 그중 부부갈등이 가정환경에 미치는 영향력은 아주 크다고 할 수 있다. 가정에서 부부가 심하게 싸울수록 자녀는 분노, 슬픔, 걱정 등 부정적인 감정을 더 많이 느꼈으며, 부부갈등의 문제가 자녀 자신에 관한 내용일수록 그 정도는 더욱 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부부갈등이 청소년의 불안과 학교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부갈등 강도와 부부갈등 내용은 청소년의 불안감에 영향을 주었으며, 불안감은 학교 교우들과의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부부갈등 해결은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진 않았지만, 학교 교우적응과 수업적응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