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ply crisis stag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Supply models for stability of supply-demand in the Korean pork market

  • Chunghyeon, Kim;Hyungwoo, Lee ;Tongjoo, Suh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3호
    • /
    • pp.679-690
    • /
    • 2022
  • As the supply and demand of pork has become a significant concern in Korea, controlling it has become a critical challenge for the industry. However, compared to the demand for pork, which has relatively stable consumption, it is not easy to maintain a stable supply. As the preparation of measures for a supply-demand crisis response and supply control in the pig industr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task, it has become necessary to establish a stable supply model and create an appropriate manual. In this study, a pork supply prediction model is constructed using reported data from the pig traceability system.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supply-demand crisis stage using a statistical approach was propose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orking days, African swine fever, heat wave, and Covid-19 were shown to affect the number of pigs graded in the market. A test of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showed that both in-sample error rate and out-sample error rate were between 0.3 - 7.6%, indicating a high level of predictive power. Applying the forecast, the distribution of the confidence interval of the predicted value was established, and the supply crisis stage was identified, evaluating supply-demand conditions.

Efficiency of Sterilization Policies by the State Bank of Vietnam

  • HOANG, Hang Thi Thanh;NGUYEN, Phung Thi Kim;NGUYEN, Phuc Tr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0호
    • /
    • pp.87-94
    • /
    • 2020
  •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terilization in Vietnam. We estimate a simultaneous equation by using Two-Stage least squares (2SLS) regression analysis. The time-series data was collected for the first quarter of 2004 to the fourth quarter of 2018. In particular, the effectiveness of sterilization is considered in terms of dollarized economy, since making the transition from a centrally planned to a market economy system, the Vietnamese economy has remained in a state of dollarization. In addition, we also assess wheth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had an impact on the sterilization effectiveness of the State Bank of Vietnam (SBV). On the basis of the estimated sterilization and offset coefficient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State Bank of Vietnam (SBV) has not been able to fully neutralize the impact on the domestic money supply when intervening in the foreign exchange market, and the capital inflows respond strongly to changes in domestic monetary conditions.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global financial crisis has changed the effectiveness of these sterilization policies. An analysis of this study's empirical findings provides the opportunity to derive some recommendations that may assist in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tate Bank of Vietnam's sterilization policies in the process of accumulating international reserves.

포스트코로나 시대 메타버스 기독교교육 플랫폼 (The metaverse christian educational platform in post-Corona era)

  • 이선영;김난예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1권
    • /
    • pp.341-370
    • /
    • 2022
  • 코로나19가 엔데믹으로 전환되고 거리두기가 해제되고, 사람들은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문화와 생활 패턴에 익숙해지고 있다. 세상은 이제 급변하는 트렌드에 적응하고 있지만, 기독교교육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며 위기를 겪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새로운 기독교교육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위기를 겪고 있는 기독교교육의 대안으로 기독교인들이 새로운 시대를 잘 이끌어나갈 수 있는 새로운 기독교교육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각광을 받고 있는 메타버스와 플랫폼을 기독교교육에 접목시켜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기독교교육의 방법인 메타버스 기독교교육 플랫폼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기독교교육 플랫폼은 기독교교육이 효율적이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과 공간 및 제반 자료를 의미한다. 메타버스 기독교교육 플랫폼은 플랫폼 내의 수요와 공급 활성화를 위해 플랫폼의 규모에 따라 4단계로 구성하였고 1단계는 가정교육 플랫폼, 2단계는 공동체교육 플랫폼, 3단계는 지역연합교육 플랫폼, 4단계는 교육선교 플랫폼이다. 마지막 4단계 교육선교 플랫폼은 현시대에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는 메타버스를 교육선교의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메타버스 내의 가상공간을 활용하여 소형 교회와 저개발 국가의 다음세대들에게 교육 플랫폼 내의 교육 콘텐츠와 교육 자료, 비대면 교사, 가상 커뮤니티, 실시간 교육 방송 등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교육선교를 구체화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전문교과 교육과정에 대응하기 위한 공업계고등학교 공간규모 산정에 관한 연구 (An Estimating Space Program of Technical High School for Future Educational Curriculum)

  • 이상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7권2호
    • /
    • pp.12-29
    • /
    • 2008
  • The problem should be approached in terms of recovering essential functions of technical high school and identification to supply stable and quality human resources in technical sector. An adequate space programming for technical high school is needed to educate effective skills and techniques. Considering the education directions of vocational high school, the article covers principals of technical school's construction plan and directions and, based on this, suggest the way of estimating the scale in construction plan of technical school. Through this research, systematic and reasonable space planning can be possible. The range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development directions of society and education and an objective standard in a newly reformed the 7th Stage of Education. In addition, the research is limited to technical high school among kinds of vocational high school. The purpose is to redefine the role of technical school that face identification crisis currently, comparing to the past, and to suggest a more effective space planning. The research limits the space to classes for specialized subjects, a core space for education in technical school among diverse spaces.

  • PDF

국내 구리 함유 폐자원의 재활용 상용화 기술 및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Commercial Recycling Technology and Research Trend for Waste Cu Scrap in Korea)

  • 강이승;안혜란;강홍윤;이찬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8권1호
    • /
    • pp.3-14
    • /
    • 2019
  • 구리는 뛰어난 전기전도성 및 열전달 특성으로 인해 많은 전자기기 및 건축 부품에 활용되고 있고 니켈 등 다른 도금의 밑 도금으로 사용되는 등 현대 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소재이다. 뿐만 아니라 차세대 산업군에서 배선, 센서, 데이터 장비의 사용량과 중요도가 더욱 커지면서 그 활용도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유럽발 경제위기, 중국 경제 저성장 기조, 트럼프 대통령의 공공 산업설비 투자 공약 등에 따라 가격이 급동하는 추세를 보여 안정적인 수급 확보 및 자원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실정이다. 국내 구리 사용량의 거의 대부분을 전기동을 이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상용화 되고 있는 구리 재활용 기술과 연구 단계에 머물고 있는 구리 재활용 기술을 구분하여 각각의 기술적 수준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각 공정별 특징과 향후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분야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쪽방거주 중고령 남성의 빈곤 사례연구 (Study on Poverty of the Middle Aged Men Living in Chokbang Area)

  • 김동선;모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22-235
    • /
    • 2020
  • 본 연구는 사례연구를 통해 현재 도시빈민으로 살아가는 중고령 남성들의 빈곤화 과정과 빈곤 요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정규직이나 종업원을 둔 자영업자 출신이지만 현재 수급자 신분으로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였다. 이들의 빈곤화 과정은 1) 부도, 빚보증, 사기 등 경제적 위기가 되는 촉발과정, 2) 이를 극복하기 위한 주식투자, 고리의 사금융 이용 등으로 악화과정, 3) 이혼, 가족 및 사회적 지지망이 사라지는 해체과정으로 이루어지며, 4) 이후 알코올중독, 건강악화 등의 절망과정, 수급자로 선정됨으로써 빈곤계층에 편입되는 안정화단계가 뒤따르게 된다. 한편 사례들의 빈곤화 과정에서 나타난 빈곤요인들을 살펴보면 IMF, 사기, 빚보증 등 외적 요인과 개인의 행동 및 성격 특성 등 내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빈곤화 과정에서 외적 요인은 촉발요인이 되지만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의 잘못된 대처, 자발적 관계단절, 낙담, 무계획적 생활 등 내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가족 유대 강화, 알코올중독 개입 등 예방적 관점에서의 위기관리와 함께 사회구조적으로 고금리 사금융에 대한 적절한 제재, 사회관계망 회복, 빈곤탈출 기회 제공 등 적극적 대응을 제언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