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stainable dietary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4초

고등학생의 지속가능한 식생활 역량 향상을 위한 가정과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me Economics Dietary Education Programs for Improving the Sustainable Dietary Competencies of High School Students)

  • 전재윤;이경원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349-360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home economics dietary education program that could be used to improve high school students' sustainable dietary competencies. To achieve this goal, learning objectives and elements were selected for the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students' sustainable dietary competency. The content validity of this program was verified with numerous experts. After implementing the new educational program, its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sustainable dietary competencies was assessed through pre- and post-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textbook analysi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cultivate the three areas that constitute a sustainable diet (environment, health, and consideration) was confirmed. Second, a total of nin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for sustainable dietary educ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From there,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was conducted by experts, indicating that the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 was highly applicable in the field. Third, after the implementation, a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20 items related to three areas of sustainable diet, while the pre- and post-test assessment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ree areas: environment (pre: 3.40, post: 4.46, p<.001), health (pre: 3.15, post: 4.32, p<.001), and consideration (pre: 3.46, post: 4.48, p<.001). It is expected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dietary education that fosters food citizenship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courses.

초등학교 식생활교육에서 지속가능 식생활 역량 함양을 위한 포용적 식생활교육의 방향 (Developing Inclusive Nutrition Education Direction for Sustainable Dietary Competency in Elementary Schools)

  • 김현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3-88
    • /
    • 2023
  • 우리나라 식생활교육은 2009년 식생활교육지원법이 제정되면서 건강, 환경, 배려를 핵심 가치로 삼아 변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제3차 식생활교육 기본 계획(2020년-2024년)에서는 지속가능한 식생활로 함께 하는 농업, 건강한 국민, 포용하는 사회 실현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 문명은 학교 식생활교육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교 식생활교육에서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내용을 살펴보고,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교육의 디지털 전환에 직면한 식생활교육 현상을 진단하고, 지속가능한 식생활 역량 함양을 위하여 포용적 식생활교육 구조와 내용 체계의 구체성을 통해 포용적 식생활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포용적 식생활교육을 위해서는 인지적 학습, 정의적 학습, 실천적 학습이 포용적 방식으로 융합될 수 있는 구조와 체계가 필요하며,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핵심 역량 함양에 중점을 두는 포용적 식생활교육의 방향에서 그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중년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가정내 지속가능한 식생활 실천 (Sustainable Meal Practices of Middle Aged Women at Home According to Their Lifestyles)

  • 장혜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0
    • /
    • 2018
  • Sustainable meal management at home will be affected by the lifestyle of the housewife. This study examined the lifestyle of middle aged women and identified their practice levels of sustainable meal management at home. A total of 438 women, aged 35 to 59, managing the family's dietary life at home and living in Seoul, Gyeonggi Province, Daejeon, and Chonnan a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middle aged women showed a higher performance level of hygiene-oriented (4.15) and health-oriented dietary life (3.59), but a less convenience-oriented dietary life (2.57). Based on their lifestyle, 3 clusters were extracted: Low-interest dietary life meal manager, health and quality pursuit meal manager, and convenience and eating-out pursuit active meal manager. Among them, the cluster of health and quality pursuit meal manager showed the highest sustainable practices in 7 dimensions of sustainable practices in the home except for the saving practices (p<0.001). The criteria suggested from the study can be applicable to the guidelines of sustainable meal management at home. The study can also be helpful for educators to identify the education themes for improving housewife's sustainable meal practices, having different lifestyle and sustainable meal practices.

Dietary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for the sustainable health management of adolescents

  • Kim, Yunhwa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3호
    • /
    • pp.406-417
    • /
    • 2022
  • Purpose: The incidence of chronic diseases is increasing and the age of onset is decreasing in South Korea. Healthy eating habits to prevent chronic diseases are established in adolescence. This study verified the identified factors and dynamics that affect diet self-assessment for sustainable adolescent health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49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from June to July 2018, and the participants answered a questionnaire on dietary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for sustainable health. Results: The healthy dietary self-assessment scores of overweight/obese adolescents and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ir health as normal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Factor analysis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items that comprised each study area befor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healthy dietary self-assessment. Sweet and salty diets, anxiety, food and nutrition knowledge, weight management knowledge, stress management, exercise, basic eating habits, and healthy eating habits significantly affected healthy dietary assessment among adolescents. A higher perception of one's health indicated a higher healthy dietary self-assessment, dietary safety knowledge, and health management practice scores (p < 0.01). Factors like healthy dietary self-assessment, food and nutrition knowledge, and weight management knowledge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other identified factors, except overeating. The adolescents' awareness, knowledge, and dietary safety practices influenced healthy dietary self-assessment, which can prevent chronic diseases and achieve sustainable health. Conclusion: This study illustrated how the adolescents' awareness, knowledge, and practices of dietary safety influenced their healthy diet self-assess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diet-based health management competency education relative to the adolescents' self-perception and weight levels should be implemented.

지속가능한 식이의 개념과 측정방법 및 한국형 식이 지수 개발을 위한 방안 모색: 주제범위 문헌고찰과 기술 연구 (Sustainable diets: a scoping review and descriptive study of concept, measurement, and suggested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 정수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4-50
    • /
    • 2024
  • Objectives: Transformation through a sustainable food system to provide healthy diets is essential for enhancing both human and planetary health. This study aimed to explain about sustainable diets and illustrate appropriate measurement of adherence to sustainable diets using a pre-existing index. Methods: For literature review, we used PubMed and Google Scholar databases by combining the search terms "development," "validation," "sustainable diet," "sustainable diet index," "planetary healthy diet," "EAT-Lancet diet," and "EAT-Lancet reference diet." For data presentation, we used data from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7-2018, among adults aged 20 years and older (n = 3,920). Sustainable Diet Index-US (SDI-US), comprising four sub-indices corresponding to four dimensions of sustainable diets (nutritional quality, environmental impacts, affordability, and sociocultural practices), was calculated using data from 24-hour dietary recall interview, food expenditures, and food choices. A higher SDI-US score indicated greater adherence to sustainable diets (range: 4-20). This study also presented SDI-US scores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status. All analyses accounted for a complex survey design. Results: Of 148 papers, 16 were reviewed. Adherence to sustainable diets fell into 3 categories: EAT-Lancet reference diet-based (n = 8),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definition-based (n = 4), and no specific guidelines but including the sustainability concept (n = 4). Importantly, FAO definition emphasizes on equal importance of four dimensions of diet (nutrition and health,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nd environmental). The mean SDI-US score was 13 out of 20 points, and was higher in older, female, and highly educated adults than in their counterparts.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ed that sustainable diets should be assessed using a multidimensional approach because of their complex nature. Currently, SDI can be a good option for operationalizing multidimensional sustainable die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SDI through additional data collection, including environmental impact of food, food price, food budget, and use of ready-made products.

Dietary manipulation: a sustainable way to mitigate methane emissions from ruminants

  • Haque, Md Najmul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0권6호
    • /
    • pp.15.1-15.10
    • /
    • 2018
  • Methane emission from the enteric fermentation of ruminant livestock is a main source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 and a major concern for global warming. Methane emission is also associated with dietary energy lose; hence, reduce feed efficiency. Due to the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s, methane mitigation has come forward in last few decades. To date numerous efforts were made in order to reduce methane emission from ruminants. No table mitigation approaches are rumen manipulation, alteration of rumen fermentation, modification of rumen microbial biodiversity by different means and rarely by animal manipulations. However, a comprehensive exploration for a sustainable methane mitigation approach is still lacking. Dietary modification is directly linked to changes in the rumen fermentation pattern and types of end products. Studies showed that changing fermentation pattern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of methane abatement. Desirable dietary changes provide two fold benefits i.e. improve production and reduce GHG emissions. Therefore,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discuss biology of methane emission from ruminants and its mitigation through dietary manipulation.

중학생 대상 지구환경을 위한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Sustainable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Global Environment)

  • 이영은;유세종;이정우;고지원;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59-7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중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10권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과 관련된 내용의 교과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교과서 분석 결과와 학생들의 요구도 조사를 바탕으로 6차시의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영양교육 DESIGN 6단계의 절차를 이용했으며 ADDIE 모형 중 실행단계를 제외한 분석-설계-개발-평가 및 수정 단계를 거쳤다. 교과서 분석은 중학교「기술·가정1」3권, 중학교「기술·가정2」3권, 고등학교 「기술·가정」3권, 고등학교 「가정과학」교과서1권 총 10권을 이용하였으며 2015 개정 기술·가정 교육과정의 각론을 참고해 내용요소 중 지속가능한 식생활에 해당하는 범위로 한정하였다. 지속가능한 식생활 6차시 프로그램은 DESIGN 6단계 절차에 따라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과 교수전략, 매체 및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1차시는 학생들이 자신의 현재 식습관 문제를 탐색하고 건강한 식습관으로 개선하기 위한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2차시는 영양성분표시에 대해 학습하고 3차시는 식품교환표를 활용해 자신의 1일 식단 구성하기, 4차시는 계절별 대표 작물의 이해와 푸드마일리지, 텃밭 체험, 5차시는 조리 시 지켜야 하는 안전수칙과 레시피 작성, 6차시는 조리 시 지켜야하는 안전수칙과 조리 실습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전문가 검증을 받아 지속가능한 식생활을 통한 개인의 건강, 지역사회 및 지구환경의 부합성을 갖추도록 수정 및 보완되었다. 본 연구인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생활 속에서 지속가능한 식생활을 실천하며 개인 건강과 지역사회, 지구환경에 도움이 되도록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을 위한 지속가능한 식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the Sustainable Dietary Life Teaching-Learning Plans to Implemen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 이정은;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49-16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식생활 단원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연계한 학습 요소와 수업 주제를 선정하고, 교수·학습 과정안 및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타당성 및 현장 적합성을 검증받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분석, 설계, 개발, 평가 단계를 거쳐 실행되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단계에서는 17개 지속가능목표, 169개 세부목표 중 식생활과 관련한 세부목표를 추출하고,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5종의 식생활 단원 내용을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할 교수·학습 과정안에서 다룰 수 있는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다. 둘째, 설계 단계에서는 교과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바람직한 식생활', '식품의 생산', '식품의 유통', '식품의 소비 및 폐기'로 수업 주제를 선정하였다. 효과적인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체 수업의 총괄목표를 설정하고 개발될 식생활 영역 차시별 수업의 학습 목표, 학습 내용, 학습 방법과 함께 관련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연계하여 수업을 설계하였다. 셋째, 개발 단계에서는 총 9개 주제, 11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과 전문가에게 검증받을 타당도 평가지를 개발하였다. 넷째, 평가 단계에서는 가정과 교사 5인의 전문가를 통해 교수·학습 과정안의 현장 적합성과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검토의견을 토대로 총 9개 주제, 13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으로 수정·보완하여 완성하였다.

청소년 식생활교육 표준 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교육 효과 분석 (Development of Standard Program on Dietary Life Education for Adolescents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 through Pilot Operation )

  • 김선효;조성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9-103
    • /
    • 2023
  • 본 연구는 프로그램 개선과 보급에 활용하고자 청소년 식생활교육 표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범교육을 통해 교육효과 및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프로그램은 청소년용으로 '나탐(미각교육)', '우탐(전통 식생활교육)', '지탐(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의 3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총 10개 소단원으로 구성하였다. 소단원별로 1차시(차시당 90분)를 배정해 총 10차시로 편성하였으며 전체 소단원을 조리실습 위주로 구성하였다. 일부 지역의 14~17세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식생활교육지원센터에서 활동하는 해당 지역 강사가 1주에 1차시씩 총 10주간 대면으로 시범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시범교육 기간에 교육효과(n=72) 및 만족도(n=82) 평가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효과 평가를 위해 동일한 설문지로 사전조사, 사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만족도 평가를 위해 영역별로 마지막 수업시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효과 평가에서 지식 정도는 '우탐'과 '지탐' 영역의 문항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태도·행동 정도는 전체 영역의 대부분 문항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만족도에서는 영역별 모든 문항에서 5점 만점에 4.10 이상으로 높았다. 이상에서 본 프로그램을 적용한 시범교육에서 대상자는 교육에 재미있게 참여하면서 식생활관리 역량을 향상시킨 것으로 확인되어 의의가 있었다. 연구 결과로 볼 때 바른 식습관 형성 관련 내용보다는 전통 식생활, 지속가능한 식생활 관련 내용에 비중을 두도록 프로그램을 조정하고 조리실습 위주의 교육방법을 유지해 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가정교과 지속가능한 식생활 자유학년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Sustainable Dietary Free-year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Youth Empowerment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 최성연;한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9-15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수업 전략을 활용하여 중학교 가정교과의 자유학년제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DDIE 교수설계 모형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과교육과정과 SDGs에서 식생활 영역과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여 이들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식생활교육의 내용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은 '더불어 함께하는 식생활'이며, 5가지 학습주제 '지구촌에서 함께 살기', '건강한 식생활 유지하기', '함께하는 식생활 문화 창조하기', '자연, 사람과 더불어 살기', '안전한 식생활 유지하기'로 구성되었다.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전략으로 가치 판단, 결과에 대한 예측, 책임있는 행동 선택, 의사결정의 4가지 상황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 경기도 소재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주당 1시간씩 17주에 걸쳐 17차시의 수업에 적용하였다. 수업 후 개인 내적 임파워먼트와 정치·사회 임파워먼트는 사전과 사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본 프로그램이 임파워먼트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인 관계 임파워먼트는 사전과 사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토의·토론과 협동학습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한 전략을 활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프로그램에 대해 전체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식생활문제 해결을 통해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하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