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eetpotato whitefly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4초

Molecular Variation of Endosymbiotic Bacteria Wolbachia in Bemisia tabaci and Related Whiteflies

  • Jahan, S.M. Hemayet;Lee, Kyeong-Yeoll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0권2호
    • /
    • pp.115-123
    • /
    • 2012
  • Whiteflies harbor several secondary endosymbionts, which are maternally inherited from mother to offspring, that have major effects on host preferences, biology, and evolution. Here, we identified Wolbachia bacteria in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as well as whitefly popluations from other countries by comparison of 16S rDNA sequences. Wolbachia were detected in all tested indigenous B. tabaci populations (Bangladesh, Myanmar, Nepal, and the Philippines) as well as Q1 biotype of Korea, whereas they were absent from B biotype of Korea and Q biotype of China. Wolbachia were also detected in all five tested Aleurodicus dispersus populations as well as Tetraleurodes acaciae, whereas they were not detected in all seven Trialeurodes vaporariorum populatuions. In addiiton, Wolbachia were detected in parasitic wasp (Encarsia formosa) of B. tabaci as well as honeybee (Apis mellifera). Among the 19 whitefly populations from different countries, our analysis identified four phylogenetic groups of Wolbachia, thereby demonstrating the high diversity of this genus. Wolbachia phylogeny suggests a correlation of geographical range with ecological variation at the species level.

  • PDF

몇 가지 살충제의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의 생육 단계별 살충효과 및 방제효과 (Toxicities and Control Effect of Three Insecticides to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orum and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Homoptera: Aleyrodidae))

  • 하태기;황인천;김종관;송유한;김길하;유용만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07-21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3종 (acetamiprid, acetamiprid+etofenprox, etofenprox)의 살충제에 대한 온실가루이(Trialeurades vaparariarum)와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 B biotype)의 발육단계별 감수성을 조사하고,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시험은 살충제의 추천농도를 비롯한 2 가지 농도 (ppm)로 수행하였다. 알에 대해서는 acetamiprid 단제 40ppm 처리시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서 각각 45%, 42%의 부화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3령 약충에 대해서는 acetamiprid 20 ppm 농도에서도 각각 97%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성충의 경우 acetamiprid 20 ppm 과 acetamiprid + etofenprox(12.5+40) ppm 농도에서도 92% 이상의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acetamiprid 와 acetamiprid + etofenprox는 성충에 대해서 잔효성뿐만 아니라 침투이행 효과도 나타내었다. 방제효과시험에서 acetamiprid와 acetamiprid+etofenprox를 추천농도로 처리시에 처리후 3일째부터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acetamiprid 와 acetamiprid + etofenprox는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 성충과 약충의 방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ransmission of Tomato leaf curl begomovirus by Two Different Species of Whitefly (Hemiptera: Aleyrodidae)

  • Hidayat, Sri Hendrastuti;Rahmayani, Enun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57-61
    • /
    • 2007
  • Whitefly-transmitted geminiviruses (WTGs) are economically important pathogens causing serious damage on tomato and chilli pepper in Indonesia. Geminiviruses are readily transmitted by its insect vector,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However,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orum), another species of whitefly, is commonly found together with B. tabaci in the field. Incidence of yellow leaf curl disease in tomato and chilli pepper is probably correlated with the population of whitefly complex. It is becoming important to find the role of T. vaporariorum in the spread of the disease. Therefore, research is conducted to study the characteristic relationship between tomato leaf curl begomovirus (ToLCV) and two species of whitefly. The two species of whitefly, B. tabaci and T. vaporariorum, was capable to transmit ToLCV although it was evidenced that B. tabaci is more effective as insect vector of ToLCV in tomato and chilli pepper. A single B. tabaci was able to transmit ToLCV to tomato with a minimum acquisition and inoculation access period of 10 h. Transmission of ToLCV by T. vaporariorum required at least 10 insects per plant with a minimum acquisition and inoculation access period of 24 h. The transmission efficiency will increase with longer acquisition and inoculation access period of the insect and the higher number of insect per plant.

Emamectin benzoate와 Pyridaben의 잔효성에 따른 담배가루이의 섭식행동 변화 (Changes of Feeding Behavior of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Correlated with the Residual Effect of Emamectin benzoate and Pyridaben)

  • 권윤희;양정오;오정훈;노두진;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97-402
    • /
    • 2008
  • Emamectin benzoate와 pyridaben에 대한 담배가루이의 잔효성과 섭식행동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EPG의 파형은 non-probe time과 phloem phase time과 같은 파형을 신호개시 후 3시간 동안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EPG 파형 중 non-probe time과 phloem phase time의 두 파형과 emamectin benzoate와 Pyridaben의 두 약제 간 잔효성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효성은 두 약제 모두 2일까지는 50%로 비슷하였으나, 그 이후로는 pyridaben보다 emamectin benzoate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EPG를 이용한 두 약제의 잔효성에 따른 구침을 찌른 시간과 체관부 섭식행동은 9일 이후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emamectin benzoate가 pyridaben보다 증가하는 속도가 빨랐다.

Upregulation of Endosymbiont Densities in Bemisia tabaci by Acquisition of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 Jahan, S.M. Hemayet;Lee, Kyeong-Yeoll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0권2호
    • /
    • pp.124-130
    • /
    • 2012
  •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is a vector of more than 100 plant-diseased viruses, as well as a serious pest of various horticultural plants. This species harbors a primary endosymbiont Portiera along with several secondary endosymbionts such as Cardinium and Hamiltonella. We investigated whether or not TYLCV acquisition alters the densities of endosymbionts in the body of B. tabaci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CR. Our results showed that the densities of both Cardinium and Hamiltonella, but not Portiera, increased upon acquisition of TYLCV. In addition, expression of GroEL, a molecular chaperone produced by Hamiltonella,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TYLCV-infected whiteflies. Our results suggest that endosymbiont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YLCV transmission mechanism within the body of B. tabaci.

  • PDF

담배가루이에 대한 Wild Mint 오일의 기피효과 (Repellent Effect of Wild Mint Oil Against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 정진원;문상래;조선란;신윤호;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33-439
    • /
    • 2010
  •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식물정유의 기피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20종의 식물정유를 대상으로 담배가루이 성충의 기피반응을 검정한 결과, mint 오일만이 $5{\mu}{\ell}$의 약량처리에서 90% 이상의 높은 기피효과를 나타내었다. 2, 1, 0.5, $0.1{\mu}{\ell}$ 약량처리에서는 77.8~65.7%로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성이 나타났다. Wild mint 오일을 분석하고 생물검정을 수행한 결과, GC/MS 분석으로 wild mint oil의 주요 구성성분이 menthol(56.5%), menthone(29.0%), menthyl acetate(14.5%)로 밝혀졌으며, 기피활성을 보인 주요구성성분은 원래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비율로 $10{\mu}{\ell}$ 오일을 처리하였을 때 menthol과 menthone이 각각 77.8과 75.8%의 기피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enthyl acctate는 유의성이 없었다. 주요 구성성분을 혼합하여 잠정한 결과, 단독검정시와 비교하여 기피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외래해충인 담배가루이의 약제감수성 (Susceptibility of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Homoptera : Aleyrodidae) to commercially registered insecticides in Korea)

  • 김길하;이영수;이인환;안기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1-58
    • /
    • 2000
  • 본 연구는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B. biotype)의 방제약제를 선발하는 목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43종의 살충제에 대한 발육단계별 감수성을 조사하고,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모든 시험은 살충제의 추천농도(ppm)로 수행하였다. 알에 대해서는 IGR계인 pyriproxyfen과 kiflubenzuron이 95%이상의 부화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3령약충에 대해서는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이 95%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성충에 대해서는 유기인계의 diazinon, fenitrothion, methidathion, pirimiphos-methyl, neonicotinoid계의 acetamiprid, imidacloprid, 혼합제의 acetamiprid+ethofenprox, cartap hydrochloride+buprofezin, fenpropathrin+fenitrothion 기타 abamectin, endosulfan, pymetrozine, spinosad 등이 높은 살충율을 나타내었다.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은 성충에 대해서 잔효 성뿐만아니라 침투이행성효과도 나타내었다. 방제효과시험에서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acetamiprid+ethofenprox 은 처리후 1일째, pyriproxyfen은 처리후 7일째부터 90%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은 담배가루이의 방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국내등록사용중인 살충제에 대한 온실가루이의 감수성 (Susceptibility of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orum (Homoptera: Aleyrodidae) against commercially registered insecticides in Korea)

  • 김창우;김정화;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75-8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38종의 살충제에 대한 온실가루이 (Trialeurodes vaporariorum)의 발육단계별 감수성을 조사하고,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모든 시험은 살충제의 추천농도로 수행하였다. 알에 대해서는 IGR계인 pyriproxyfen만이 90%이상의 부화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3령약충에 대해서는 abamectin, acetamiprid, chlorpyrifos-methyl, imidacloprid, pyripoxyfan, acetamiprid+ethofenprox가 90%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성충에 대해서는 유기인계의 acephate, fenitrothion, phenthoate, 카바메이트계의 berfurcarb, furathiocarb, 피레스로이드계의 bifenthrin, 네오니코티노이드계의 acetamiprid, imidacloprid, 혼합제의 acetamiprid+ ethofenpox, ethofenprox+ diazinon, furathiocarb+ diflubenzuron, triazamate+${\alpha}$-cypermethrin 기타 abamectin, endosulfan, pymetrozine 등이 100%의 살충율을 나타내었다.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는 성충에 대해서 잔효성뿐만아니라 침투이행효과도 나타내었다. 방제효과시험에서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은 처리후 11일째부터 90%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Aleyrodidae, Hemiptera)에서 Virus-induced Gene Silencing (VIGS) Vector를 이용하기 위한 cDNA Library 제작 (Construction of cDNA Library for Using Virus-induced Gene Silencing (VIGS) Vector with the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Hemiptera: Aleyrodidae))

  • 고나연;임현섭;유용만;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91-97
    • /
    • 2015
  •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는 외래해충으로 바이러스벡터로 작용하여, 토마토의 토마토황하잎말림병바이러스(TYLCV)를 비롯한 약 100여종의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중요한 해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VIGS vector를 이용하여 담배가루이 방제를 위한 target 유전자들을 선발하기 위해 gateway system을 이용한 담배가루이 cDNA library 제작을 시도하였다. 첫 번째 방법으로 oligo d(T) primer를 사용하였을 때, 평균 약 1 kb의 insert와 $1.4{\times}10^4cfu$의 titer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insert size가 너무 커서 적절하지 않았다. 두 번째 방법으로 attB-N25 random primer를 이용하고, sonication을 6초 실시하여 다시 진행하였다. 그러나 확인되는 insert size는 다소 컸고, 몇몇은 insert가 너무 작아서 밴드가 확인 되지않았으며, $1.04{\times}10^54cfu$의 titer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세 번째 방법으로는 oligo d(T) primer를 이용하였고, sonication을 2초 실시하였다. 그 결과 300 bp~600 bp size의 insert가 확인되었으나, electro transformation을 사용한 첫번째, 두번째 방법에 비해 heat shock transformation을 사용하여 titer가 $5.2{\times}10^24cfu$로 매우 낮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cDNA library를 만들 때 먼저 random primer를 사용하여 First strand를 합성하여 poly A를 제거하고, 다음으로 sonication을 1초 실시하여 300~700 bp정도의 적절한 size의 insert를 생성하고, 마지막으로 electro-transformation을 실시하여 transformation 효율을 높인다면 VIGS vector에 적합한 cDNA library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