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sk context

검색결과 424건 처리시간 0.029초

실시간 시스템에서 빠른 문맥 전환을 위한 다중 레지스터 파일 (Multiple Register Files for Fast Context Switching in Real-Time Systems)

  • 김종웅;조정훈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128-135
    • /
    • 2010
  • Recently complexity of embedded software cause to be used real-time operating system (RTOS)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in the embedded system. And also, according to requirement of complex functions in embedded systems, the number as well as complexity of tasks get increased continuously. In case that many tasks collaborated in a microprocessor, context switching time between tasks is a overhead waisting a CPU resource. Therefore the time of task context switching is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performance of RTOS. In this paper, we concentrate on the improvement of task context switch for reducing overhead and achieving fast response time in RTOS. To achieve these goal, we suggest multiple register files and task context switching algorithm. By reducing the context switch overhead, we try to ease scheduling and assure fast response times in multitasking environment. As a result, the context switch overhead decreased by 8~16% depend on the number of register files, and some task set which are not schedulable with single register file are schedulable due to that decrease with multiple register files.

모바일폰 사용 영역과 상황 기반의 컨텍스트 정의 및 사용 행위의 구조 분석을 통한 테스크 모델 제안 (Understanding the Pattern of Mobile-phone Tasks on the 'Situational Context' : Focused on the ESR(Extend, Synchronize, Replace) Model)

  • 조윤진;이은종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158-164
    • /
    • 2008
  • 본 논문은 모바일폰의 사용성 연구에 있어서 모바일폰의 사용 특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추후 연구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모바일폰의 사용 특성은 무엇보다 컨텍스의 영향에 매우 민감하다는 것과, 1인 1디바이스로서 개인적인 라이프 패턴을 많은 부분 수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제로부터 모바일폰이 사용되는 컨텍스트를 정의하였다. 특별히 컨텍스트의 정의에 있어서 상황적 컨텍스트(situational context)라는 정의를 도입하였으며, 모바일폰으로 할 수 있는 다양한 task 중 특별히 situational context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task를 contextual task로 이름하였다. 연구 결과물로써 contextual task의 모델을 제작하였다. 이는 디자인 종사자들과 타 업계의 종사자들이 모두 사용자의 실제적 행태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동일한 컨셉을 가지고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 사용 행태에 대한 통일한 컨셉은 디자인을 위한 서로의 의사전당에도 효과적일 젓이다. 수집된 사용자 task 들은 3가지 모델로 그 패턴을 정의할 수 있다. 사용자의 공간 확장과 관련되어 다양한 패턴을 구조화한 Extend Model, 기능의 컨버전스로 인해서 각 기능의 충돌을 최소화하여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이와 관련된 task 들의 패턴을 구조화한 Synchronize Model,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라이프 패턴을 반영하여 기존의 object를 대체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task들의 패턴을 구조화한 Replace Model 로 Contextual Task를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모델의 구체적 용도를 보이기 위해 Context 를 반영한 Interview 를 시행할 수 있는 질문지 제작을 진행하였다.

  • PDF

Real-Time 시스템에서 abnormal task 자동 검출 방안 (Automatic detection methods of abnormal task in real-time systems)

  • 정창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1)
    • /
    • pp.286-28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real-time환경에서 abnormal task를 자동 검출하여 시스템 overload 및 오 동작을 사전에 검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안은 context switching이 발생하는 시점에서 각task들의 cpu 점유율 및 context switching 횟수를 분석하여 비정상적으로 높은 cpu 점유율을 가지는 task와 과도한 context switching을 일으켜 시스템에 overload를 주는 task들을 자동으로 검출한다. 이들 이용하여 신뢰성 있는 real-time시스템 설계 및 구현을 지원할 수 있다.

  • PDF

문맥적 상황중심의 그림 그리기 과업이 중증의 베르니케 실어증과 브로카 실어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Context-based Drawing Task on the Language Expression of Severe Wernicke's and Broca's Aphasic Patients)

  • 이옥분;심홍임;정옥란
    • 음성과학
    • /
    • 제10권3호
    • /
    • pp.37-45
    • /
    • 2003
  •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context-based drawing task on the language expression of a severe Wernicke's and Broca's aphasic. The subjects in this study showed a poor auditory comprehension and naming performance. They also showed paraphasia and perseveration. This study focused on improving language expression by a drawing task based on conversation at hand. Ten target words were chosen which were easily drawnable and familiar to the subj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xt-based drawing task was effective on improving the subjects' confrontation naming ability and expressive language ability in terms of explanation of sentences. In addition, the Broca's aphasic showed improved naming ability when the contextual cues were given and he was supposed to spontaneously name words.

  • PDF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위한 보안통제가 강화된 접근제어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rchitecture of Access Control System with Enforced Security Control for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 엄정호;박선호;정태명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71-8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 하에 각종 정보시스템에 대한 접근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불법적인 접근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황인식 기술 및 직무-역할 기반의 접근제어 시스템(CAT-RACS)을 설계하였다. CAT-RACS은 상황정보에 따른 정책 구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황-역할 개념과 정보의 기밀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보안등급 속성을 추가한 접근제어 모델(CA-TRBAC)을 적용하였다. CA-TRBAC는 사용자의 직무와 역할이 접근제어 조건에 합당할지라도 상황이 접근제어 조건에 부합하지 않거나, 역할과 직무가 접하려는 객체의 보안등급과 일치하지 않거나 하위 등급일 경우에는 접근을 허가하지 않는다. CAT-RACS는 상황인식 보안 매니저를 통해 사용자 인증과 접근제어 등의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황정보 융합 매니저를 통해 상황인식 보안 서비스 제공과 보안정책 구성에 필요한 상황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보안정책 매니저를 통해 CA-TRBAC 정책, 사용자 인증 정책, 보안 도메인 관리 정책을 관리한다.

상황 인지 기반의 자동 태스크 설정을 위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구현 (Implementation of Context-Aware Android Application for Automatic Task Setting)

  • 박나연;정다해;창병모;최광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434-443
    • /
    • 2016
  •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는 수동적으로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나 이러한 수동적 태스크의 설정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지 않은 불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를 곤란하게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 상황-인지 기반의 자동 태스크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설계, 구현하였다. 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상황에 원하는 태스크만을 수행하도록 설정하여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상황에 따라 원하는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기술하기 위해 정형화된 구문을 설계 하였으며 안전한 태스크 설정을 위해 구문의 유효성을 자동으로 검사하는 유효성 검사기를 구현하였다.

열과 관련된 문제 상황에서 초등학생들이 느끼는 친숙도, 인지에 대한 지각, 상태호기심, 상태불안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iarity, Feeling of Knowing, State Curiosity, and State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Thermal Task Contexts)

  • 강지훈;김지나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3호
    • /
    • pp.433-448
    • /
    • 2020
  • In this study, the tasks of thermal equilibrium and heat insulation concept were divided into scientific and everyday contexts to analyzed the level of familiarity, feeling of knowing, state curiosity, and state anxiety that students feel in task contexts and their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One hundred nine students in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metropolitan c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feeling of knowing, state curiosity, and state anxiety in the task of scientific and everyday contexts. In the case of familiarity, there was no consistent tendency in the concept of thermal equilibrium and heat insulation. And the group who recognized the task context familiarly had higher feeling of knowing and lower state anxiety than the group who recognized the task context unfamiliarly. Second, familiarity and feeling of knowing showed high positive correlation, state anxiety and familiarity showed negative correlation, and state anxiety and feeling of knowing had also negative correlation. In addition, familiarity had a negative effect on state anxiety, and FOK had a positive effect on state curiosity and a negative effect on state anxiety.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the task context. Third, in case of state curiosity, the group perceived the knowledge gap was very small had the highest state curiosity, and the group perceived the knowledge gap was very large had the lowest state curiosity. In case of state anxiety, the less the knowledge gap was perceived, the lower the anxiety was triggered. This study broadens our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process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effective instruction strategies for students' cognitive and emotional states.

Multi-channel Long Short-Term Memory with Domain Knowledge for Context Awareness and User Intention

  • Cho, Dan-Bi;Lee, Hyun-Young;Kang, Seung-Shik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7권5호
    • /
    • pp.867-878
    • /
    • 2021
  • In context awareness and user intention tasks, dataset construction is expensive because specific domain data are required. Although pretraining with a large corpus can effectively resolve the issue of lack of data, it ignores domain knowledge. Herein, we concentrate on data domain knowledge while addressing data scarcity and accordingly propose a multi-channel long short-term memory (LSTM). Because multi-channel LSTM integrates pretrained vectors such as task and general knowledge, it effectively prevents catastrophic forgetting between vectors of task and general knowledge to represent the context as a set of features. To evaluate the proposed model with reference to the baseline model, which is a single-channel LSTM, we performed two tasks: voice phishing with context awareness and movie review sentiment classification. The results verified that multi-channel LSTM outperforms single-channel LSTM in both tasks. We further experimented on different multi-channel LSTMs depending on the domain and data size of general knowledge in the model and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multi-channel LSTM integrating the two types of knowledge from downstream task data and raw data to overcome the lack of data.

고등학교 확률 수업의 '몬티홀 문제' 과제 맥락에서 나타난 논증과정 분석 (An Analysis on Argumentation in the Task Context of 'Monty Hall Problem' at a High School Probability Class)

  • 이윤경;조정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3호
    • /
    • pp.423-44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확률 수업의 '몬티홀 문제' 과제 맥락에서 나타난 논증과 정의 특징을 알아보는 것이다. 고등학교 2학년 상 수준 한 학급의 학생을 대상으로 교사와 학생 사이의 논증과정에 관한 수업담화를 Toulmin의 논증패턴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논증 중심의 담화 공동체로 만들기 위한 과제 맥락과 학생들이 질문하고 반박할 수 있는 안전한 교실 문화의 중요성이 밝혀졌다. 또한 복잡한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가는 논증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수업에 더 몰입하게 되었으며, 실제적인 경험적 맥락은 개념의 이해를 풍부하게 해 주었다. 그러나 논증과정에서 나타난 추론은 통계적 추론이 아니라 대부분 확률 문제 풀이 위주의 수학적 추론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맥락에 따라 결과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통계적 추론이 일어남을 교사가 이해할 필요가 있고, 과제 맥락과 질문을 통해 학생들이 논증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는 확률 통계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의미적 맥락에 대한 처리가 암묵기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ceptual Context on Implicit Memory)

  • 연은경;김민식
    • 인지과학
    • /
    • 제13권4호
    • /
    • pp.9-21
    • /
    • 2002
  • 맥락에 대한 의미적인 처리가 암묵기억의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관해서는 상반된 의견이 존재한다. 전이적합성처리 이론에 의하면 암묵기억은 지각적 처리에 주로 의존하기 때문에 맥락에 대한 의미처리가 기억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예, Blaxton, 1989). 반면 의미-특정적 이론에 의하면 암묵기억에서도 부호화 시 제시된 의미적 맥락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맥락에 대한 지각적 처리와 의미적 처리 모두 암묵기억 과제의 수행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Lewandowsky 등, 1989). 본 연구는 부호화 시 혹은 부호화 시와 인출 시 제시되었던 맥락에 대한 의미적인 처리가 암묵기억의 과제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실험 1과 2에서는 우세 혹은 비우세 의미맥락을 지닌 동음이의어를 이용하여 학습 시와 검사 시의 맥락의 의미적 처리가 암묵기억 및 외현기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학습과 검사 시의 의미맥락의 변화는 외현기억의 수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암묵기억 검사에서는 수행상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 3과 4에서는 Jacoby(1991)의. 처리-해리 절차를 사용하여 실험 1과 2 각각의 과제에서 통제처리와 자동처리의 효과를 분리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암묵기억 검사 시 맥락 단서로 문장이 사용되면 통제처리의 영향이 증가됨을 보였으며, 이는 암묵기억의 요소 중에 의식적으로 통제되어 처리되는 부분은 의미적 맥락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