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inspirat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Articulating Science Teachers' Values and Convictions for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Based on Essentialist Methodology

  • Lee, Hyun-Ju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3-268
    • /
    • 2008
  • This paper has two major purposes. One is to introduce the essentialist methodology as a way to articulate subjective aspects of human beings (e.g. teachers' personal values and concerns, philosophies, subjective experiences, etc.) at a deeper level. And the other is to present two portraits, as examples, of science teachers who actively address socioscientiifc issues (SSI) out of their own motivations. The primary data source was consecutive in-depth interviews with two science teachers, Jenna and Thomas, and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the "participant as ally" (Witz, 2006). The articulation based on the essentialist methodology shows that teachers' deep-rooted values and convictions often play a significant role as a personal social capital enough to expand their teaching practice (i.e. teaching SSI). Namely, this study confirms that teachers who are motivated out of their own convictions are likely to actively develop their own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and to implement particular topics or teaching strategies.

Relevance of Five Laws of Library Science in the Contemporary Library World

  • Babu, B. Ramesh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53-269
    • /
    • 2011
  • Dr. S. R. Ranganathan's Five Laws of Library Science were published in 1931 which is a classic work. This article describes in detail the Five Laws of Library Science and their implications on library activities. These laws have provided a scientific approach to library science. They constitute the philosophical basis for work and services of all types of libraries. These also provide guidance in the practic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He author emphasises that these will provide source of inspiration and guidance in the years to come. Every student and teacher of library Science and librarian must give a thought to the implications of these laws. In the changing environment of libraries in the emerging society has to fall with in the purview of these laws. The imperatives motivated by these five laws at the time of Ranganathan and in the present days have been identified. The new interpretations of the five laws with the various current nomenclatur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other allied subjects have been enumerated. These new interpretations of these Laws shows that in today's international world of librarianship, Ranganathan's Five laws are much important and relevant what was before and even it is increasing. These Laws became the cornerstones of the philosophy of the techniques of Western society's library experts. The author concludes that the vision and legacy of Ranganathan will continue to be an inspiration and guiding spirit for the emergence of the new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 These will serve as source of inspiration and guidance in the years to come. It is not whether Ranganathan is by himself relevant to-day, but it is we who can make him relevant by studying and applying his principles and practices in different areas of library management.

가상 캐릭터가 제공하는 감정에 따른 학습자의 감정적 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changes of learners according to the emotions provided by virtual characters)

  • 최동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55-164
    • /
    • 2022
  • 실제 교실 환경과 반복 훈련을 제공하는 가상 환경 기반 시뮬레이션을 교사교육에 활용하는 데 상당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시뮬레이션 학습환경이 더욱 정교하게 학습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감정적 상호작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감성은 창의적 사고, 영감, 집중력, 학습동기에 중요한 요소이기 학습자와의 정서적 상호작용을 파악하고 이를 교수 시뮬레이션에 적용하는 것은 필요한 활동이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EEG(Electroencephalogram)와 시선추적을 통해 공감적 반응을 위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확인하고, 감성교수 시뮬레이션 설계를 위한 단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결과는 의도된 공감적 반응이 제공되었고, 상황적 감성이 학습자의 정서 반응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교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아바타의 개발 및 감정적 반응을 일으키는 상황에 적합한 시나리오의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교사교육 시뮬레이션의 설계에 시사점을 갖는다.

교대생의 체육수업에서 재미요인 분석 (Analysis of Enjoyment Factor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University Students of Education)

  • 김재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366-37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대체적으로 학문적 관심에서 소외되었던 예비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는 체육수업에 대한 재미거리, 흥미거리, 또는 체육수업 참여 촉진 요인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G 교육대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30명에게 보고서 형식의 개방형 질문지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서 먼저 연구자는 체육수업에서 재미있었던 부분의 원자료에서 구체적인 주제나 의미 있는 개념이 무엇이지 결정하였다. 다음으로 의미 있는 주제라고 간주되는 요인의 귀납적인 분석을 거쳐 일반적인 개념이나 상위의 개념으로 통합 분류하였다. 또한 연구자료의 신뢰성과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연구 참여자와의 검토, 전문가 협의 과정을 거쳐 자료의 진실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예비 초등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체육수업에 대한 재미 선호요인, 또는 체육수업에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요인으로는 첫째, 적극적 신체활동에 대한 욕구해소, 둘째, 체육교사의 인간적 유대관계, 셋째, 신체활동을 통한 성취의 기쁨, 넷째, 아동의 입장에서 칭찬을 통한 자신감 부여, 다섯째, 흥미유발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제시, 여섯째, 공동체 의식과 상호작용의 즐거움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