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nning term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6초

The Three-year Effect of Thinning Intensity on Biomass in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Plantation

  • Chhorn, Vireak;Seo, Yeongwan;Lee, Daesung;Choi, Jungke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1호
    • /
    • pp.17-24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and compare the increment of biomass by thinning intensity focused on the plantation of the two major coniferous species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of South Korea. The inventory interval was three years under the effects of three types of thinning treatments; control (no thinning), light (20% thinning) and heavy (40% thinning). The results showed standing biomass increment of both species decreased as thinning intensity increased (heavylight>control). Meanwhile, the lowest of on-site biomass changes occurred in the control plot, and the greatest was in the heavy thinning plot because thinning was involved with leaving the felling residual biomass (leaves, branches and roots) on the site.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is short-term study, unthinned stands is preferable for maximizing standing biomass as well as carbon sequestration. However long-term investig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see more clear results.

선형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영상 Thinning구현 (Implementation of Image Thinning using Threshold Neural Network)

  • 박병준;이정훈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310-314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선형 이진 신경회로망 (Linear Binary 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이진 영상으로부터 골격(skeleton)을 추출하는 병렬 구조를 제안하였다. 기존의 골격 추출 알고리즘으로부터 이진함수를 추출하고 이를 MSP Term Grouping Algorithm을 이용하여 학습시겼다. 결과에서는 기존의 역전과 (Back-propagation) 학습알고리즘을 사용한 신경회로망보다 더 쉽게 하드웨어로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침엽수인공림에서 임분 성장 및 간벌이 장기 물수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rest Growth and Thinning on the Long-term Water Balance in a Coniferous Forest)

  • 최형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57-164
    • /
    • 2011
  • 침엽수인공림에서 임분 성장 및 간벌이 장기 물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광릉 침엽수인공림유역 및 활엽수천연림유역에서 1982년부터 2009년까지 28년에 걸쳐 관측한 연강수량 및 연유출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광릉 침엽수인공림유역은 1976년에 유역 전반에 걸쳐 잣나무와 전나무, 리기다소나무가 3,000본/ha의 밀도로 식재되었으며, 1996년에 잔존 본수의 약 45%를 간벌하였다. 1982년부터 2009년까지의 기간을 광릉 침엽수인공림유역 내 침엽수림의 영급을 기준으로 4개 기간으로 구분하여 연평균 강수량 및 유출량을 비교한 결과, 활엽수천연림유역의 기간별 연평균 유출량은 강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동일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침엽수인공림유역에서는 임령증가 및 간벌 실시에 따라 증감을 반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벌을 실시하지 않은 침엽수인공림은 임령이 증가할수록 높은 식재밀도로 인해 수관울폐도가 과도하게 높아지고 이로 인해 수관차단 및 증산량 증가 등 물손실이 커진다. 본 연구에서도 간벌 실시전 침엽수인공림유역의 연평균 유출량이 감소하였으나 간벌 실시 후에는 간벌 전에 비해 연평균 유출량이 약 1.7배 증가하는 등 유출량 증가 경향이 뚜렷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연강수량 및 연유출량의 이중 누가곡선 비교분석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간벌 후 약 10년 경과시 연강수량의 뚜렷한 증가 경향에도 불구하고 침엽수인공림유역의 유출량이 다시 감소하였는데, 이는 임분이 성장함에 따라 수관차단 등 물손실량이 다시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침엽수인공림유역에서 지속적인 수자원 확보를 위해서는 10년 이내의 간격으로 적정한 밀도의 간벌을 반복해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원전 6단 급수가열기 추기증기 입구노즐 주변의 동체 국부 감육 원인 분석 (Analysis of Local Wall Thinning around the Extraction Steam Entrance for the 6th Feedwater Heater Shell in the Nuclear Power Plants)

  • 송석윤;김형남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54-62
    • /
    • 2009
  • The feedwater heaters are Critical components in a nuclear power plant. As the operation years of heaters go by, the maintenance costs required for continuous operation increase. When the carbon steel components in nuclear make contact with running fluid, the wall thinning caused by FAC (flow accelerated corrosion) can be generated. Local wall thinning is inevitable at the area around wet steam entrance to be attacked due to the long term operation. Sometimes the shell with thinned wall is eventually ruptur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wall thinning and fluid behavior of the feedwater heater, the practical data of a plant, which were based on ultrasonic thickness measurement tests, were analyzed and CFD(Computed Fluid Dynamics) analyses were performed.

Effect of Silvicultural Treatments on Carbon Storage of Northern Hardwood Forests

  • Park, Byung Bae;Kim, Young Kwan;Lee, Sang Ick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2호
    • /
    • pp.208-213
    • /
    • 2007
  •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vide forest managers and landowners with tools to estimate the effect of forest management on carbon storage, investigating living tree biomass, detritus, and harvested wood products as variables. Thinning, selection cutting, and uncutting were applied to the three different forest types in New York, USA. Carbon storage of the original stands was 90, 56, and $101Mg\;ha^{-1}$ at the Allegheny hardwood forest, Northern hardwood forest, and Oak - black cherry forest, respectively. Among treatments, uncutting generally stored the greatest amount carbon. However, the rate of carbon storage was the smallest at the uncut treatment in all the sites. The 50% thinning, 50% selection, and 50% thinning treatments were the highest rate of carbon storage at the Allegheny hardwood forest, Northern hardwood forest, and Oak - cherry forest, respectively. In this study, only short term was applied to simulate carbon sequestration after silvicultural treatment. So, more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any silvicultural treatment can store significantly more carbon than no treatment over the long term.

THINNED PIPE MANAGEMENT PROGRAM OF KOREAN NUCLEAR POWER PLANTS

  • Lee, S.H.;Lee, Y.S.;Park, S.K.;Lee, J.G.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1-11
    • /
    • 2015
  • Local wall thinning and integrity degradation caused by several mechanisms, such as flow accelerated corrosion (FAC), cavitation, flashing and/or liquid drop impingements, are a main concern in carbon steel piping systems of nuclear power plant in terms of safety and operability. Thinned pipe management program (TPMP) had been developed and optimize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unplanned shutdown and/or power reduction due to pipe failure caused by wall thinning in the secondary side piping system. This program also consists of several technical elements such as prediction of wear rate for each component, prioritization of components for inspection, thickness measurement, calculation of actual wear and wear rate for each component. Decision making is associated with replacement or continuous service for thinned pipe components. Establishment of long-term strategy based on diagnosis of plant condition regarding overall wall thinning is also essential part of the program. Prediction models of wall thinning caused by FAC had been established for 24 operating nuclear plants. Long term strategies to manage the thinned pipe component were prepared and applied to each unit, which was reflecting plant specific design, operation, and inspection history, so that the structural integrity of piping system can be maintained. An alternative integrity assessment criterion and a computer program for thinned piping items were developed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which was directly applicable to the secondary piping system of nuclear power plant. The thinned pipe management program is applied to all domestic nuclear power plants as a standard procedure form so that it contributes to preventing an accident caused by FAC.

Ecological responses of natural and planted forests to thinning in southeastern Korea: a chronosequence study

  • Cho, Yong-Chan;Pee, Jung-Hun;Kim, Gyeong-Soon;Koo, Bon-Yoel;Cho, Hyun-Je;Lee, Chang-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4권4호
    • /
    • pp.347-355
    • /
    • 2011
  • Effects of forest thinning on community level properties have not been understood yet in Korea. We investigated regeneration patterns and trajectories after a disturbance by applying a chronosequence approach. Light availability, litter and woody debris cover, and species composition were determined for twenty 50 m line-transect samples representing a disturbance duration gradient (within 11 year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ght availability and coverage of woody debris and litter changed abruptly after thinning and then returned to the pre-disturbance state. Although species richness was gained at shrub and ground layer in a limited way in both forests, cover of various functional types revealed diversity in their responses. Notably, Alnus firma stands exhibited a larger increment of cover in woody plants. Ordination analysis revealed different regeneration trajectories between natural and planted stands. Based on ordination analysis, rehabilitated stands showed movement to alternative states compared with natural ones, reflecting lower resilience to perturbation (i.e., lower stability). Our results suggest that community resilience to artificial thinning depends on properties of the dominant species. But to get more explanatory ecological information, longer-term static observations are required.

잣나무림에서 간벌 이후 지표 절지동물 군집의 변화 특성 분석 (Changes of Ground-dwelling Arthropod Communities for 10 Years after Thinning in a Pinus koraiensis Plantation)

  • 이대성;권태성;김성수;박영규;양희문;최원일;박영석
    • 생태와환경
    • /
    • 제53권2호
    • /
    • pp.208-21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간벌 이후 지표 절지동물 군집의 장기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잣나무조림지에서 간벌 전후에 조사되었던 과거 지표 절지동물 군집 자료와 간벌처리 10년 후인 2018년에 채집한 군집 자료를 비교하였다. 조사지역에서는 간벌 이후 10년이 지났으나 여전히 간벌처리에 따른 서식 환경(유기물 깊이, 지표면 식생 피도, 울폐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2018년 조사된 절지동물 군집은 곤충강파리목, 벌목, 딱정벌레목, 톡토기강 톡토기목, 거미강 거미목 순으로 우점하였고, 간벌처리 조건 중 강도간벌에서는 거미강 거미목, 곤충강 딱정벌레목과 벌목이, 약도간벌에서 톡토기강 톡토기목과 곤충강 파리목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간벌 직후인 2008년에 비해 2018년 곤충강 딱정벌레목과 파리목, 벌목, 갑각강 등각목의 개체수는 감소하였고, 곤충강 노린재목과 메뚜기목의 개체수는 증가하였다. 2018년의 지표 절지동물 군집은 간벌 이전인 2006년 군집에 비해, 간벌 직후인 2008년 군집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표 절지동물 군집의 변화를 조사지역 및 간벌처리 조건에 따라 나타내어, 차후 산림 내 간벌 계획 작성 또는 간벌을 이용한 산림 자원 관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이후로 다양한 간벌처리지 내 조사 등이 수반된 추가 연구가 수행된다면, 간벌로 인한 산림 절지동물 군집 변화를 더욱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중간(中間) 측정(測定) 주기(週期) (3-5년)를 이용(利用)한 인공림(人工林)의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추정(推定) 함수(函數)의 유도(誘導) (Derivation of Basal Area Projection Function for Forest Plantation Using Medium (3-5years) Measurement Cycles)

  • 이상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4호
    • /
    • pp.463-469
    • /
    • 2000
  • 이 연구는 다른 수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생장을 보여 상업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뉴질랜드 사우스랜드 지역에 조림된 미송(美松) (Pseudotsuga menziesii Mirb. Franco)의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추정 함수 유도에 관한 것이다.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함수를 도출하기 위하여 중간 측정 주기의 영구 표본점 데이터가 사용되었고, 대수차분(代數差分) 방정식을 이용하여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함수식을 유도하였다. 모수(母數) 추정은 SAS의 비선형 루틴에 의하여 수행하였다. 다양한 생장 추정 함수 모델을 적용한 후 잔차를 분석하여 평균제곱오차가 가장 작고 잔차 패턴이 편의가 없는 생장식을 선발하여, 추가 독립변수를 적용하여 모델의 추정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러 추정 생장 함수 중 지위지수(地位指數) 및 간벌주기를 독립변수로 포함한 Schumacher 다형곡선(多形曲線) 생장식이 가장 정밀한 추정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생장과 지위지수(地位指數)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정의된 간벌주기는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식의 정도(精度)를 높이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 산림의 간벌에 따른 직경 생장량 및 탄소 저장량 변화에 관한 메타 분석 (A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Forest Thinning on Diameter Growth and Carbon Stocks in Korea)

  • 이종열;한승현;김성준;이소혜;손영모;손요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527-535
    • /
    • 2015
  • 본 연구는 간벌에 따른 국내 산림의 직경 생장량과 탄소 저장량(임목, 고사목, 낙엽층, 토양)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관련 결과들을 메타 분석한 것이다. 메타 분석 결과 간벌에 의하여 직경 생장량과 토양 탄소 저장량은 각각 39.2% 및 12.8% 증가하였고 임목 탄소 저장량은 30.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사목과 낙엽층 탄소 저장량은 간벌에 따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직경 생장량과 임목 탄소 저장량은 간벌 강도 및 회복 시간(간벌 후 시간의 경과)과 상관 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낙엽층 탄소 저장량은 회복 시간과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 고사목과 토양 탄소 저장량은 간벌 강도 및 회복 시간과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간벌 강도와 회복 시간에 따른 직경 생장량과 임목 탄소 저장량의 회귀식을 개발하였다. 고사목, 낙엽층 그리고 토양 탄소 저장량은 간벌 강도와 회복 시간과의 상관 관계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이들의 변화를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임목 탄소 저장량 회귀식과 산림 탄소 모델의 연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간벌에 의한 산림의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 수종 확대, 장기 모니터링 및 측정 주기 단축, 그리고 하층 식생 조사 등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