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er 3 method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6초

3-TIER 구조 소프트웨어의 다국어 지원 방식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lingual support method for 3-tiered softwares)

  • 고정국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66-272
    • /
    • 2012
  • 해외 시장을 겨냥한 소프트웨어의 상품화를 위해서는 여러 나라의 언어를 지원하는 다국어 지원 기능이 필요하다. 3-tier 구조는 2-tier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분리하여 응용 계층을 두고 프리젠테이션 로직과 데이터베이스를 미들웨어로 연결하는 형태이다. 3-tier 구조의 장점은 애플리케이션의 부하 분산으로 성능이 향상되며 확장이 쉽고, 유지보수와 재사용이 용이하다는 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3-tier 구조의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개발과 유지보수, 지원 언어의 추가가 용이한 공통 리소스 활용 방식을 제안하고 빌링 솔루션의 다국어 버전 개발에 적용하여 유용성을 확인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기능 모듈마다 언어별 리소스 파일을 별도로 유지하는 닷넷의 기존 방식을 개선하여 언어별로 하나만 유지하고 다국어 지원 클래스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공하여 메모리와 디스크의 공간 낭비를 줄인다. 또한 다국어 지원 클래스 라이브러리를 응용 계층에 배치하여 소프트웨어 개발과 유지보수, 지원 언어 추가가 용이하다. 한편 리소스 파일에 대한 부적절한 변경을 막기 위해 다국어 지원 클래스 라이브러리는 dll 파일로 제공한다.

배출량 산정방법에 따른 지자체 도로수송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비교 (Comparis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Road Transportation of Local Government by Calculation Methods)

  • 김기동;고현기;이태정;김동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05-415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road transportation by calculation methods (Tier 1, Teir 2, and Tier 3). Tier 1 based on 2006 IPCC guidelines default emission factor and amount of fuel consumption. The Tier 2 approach is the same as Tier 1 except that country-specific carbon contents of the fuel sold in road transport are used. Tier 2 based on emission factor of guidelines for local government greenhouse gas inventories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the fuel consumption per one vehicle, and the registered motor vehicles. The Tier 3 approach requires detailed, country-specific data to generate activity-based emission factors for vehicle subcategori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may involve national models. Tier 3 calculates emissions by multiplying emission factors by vehicle activity levels (e.g., VKT) for each vehicle subcategory and possible road type. VKT was estimated by using GIS road map and traffic volume of the section. The GHG average emission rate by the Tier 1 was 728,857 $tonCO_2eq$/yr, while Tier 2 and Tier 3 were 864,757 $tonCO_2eq$/yr and 661,710 $tonCO_2eq$/yr, respectively. Tier 3 was underestimated by 10.1 and 20.7 percent for the GHG emission observed by Tier 1 and Tier 2, respectively. Based on this study, we conclude that Tier 2 is reasonable GHG emissions than Tier 1 or Tier 3. But, further study is still needed to accurate GHG emission from Tier 3 method by expanding the traffic survey area and developing the model of local road traffic.

일반선박의 Tier3 수준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GHG Emissions from General Ships by Tier3 Method)

  • 봉춘근;박성진;김용구;이임학;이희관;황의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701-70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일반선박으로부터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연료소비를 근거로 한 배출(Tier1)과 선종을 고려한 출력, SFOC, 운항특성(시간과 부하율 등) 등을 근거로 한 활동도에 의한 배출(Tier3)로 구분하여 산정하고 비교분석하였다. 2009년도 기준으로 배출량을 산정한 결과, Tier1 방법에 의한 배출량은 총 28,273천톤 $CO_{2eq}$, Tier3 방법에 의한 산정량은 총 30,810 천톤 $CO_{2eq}$으로 나타났다. Tier3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Tier1에 의한 산출결과보다 약 9% 정도 많게 나타났다. 이는 설문조사에 의한 선박의 부하율, 운항시간 등의 활동도 조사결과가 약간 과대평가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Tier3 방법을 적용하여 온실가스의 발생량을 정확하게 산정하기 위해서는 선박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SFOC, 운항특성별 시간과 부하율, 운항속도 등에 대한 상세한 활동도 자료의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운항특성 등을 고려한 보다 상세하고 다양한 활동도 자료가 확보될 경우, 적절한 저감대책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건설기계의 Tier 2와 Tier 3 방법론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 비교 (Comparis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Construction Equipment by Tier 2 and Tier 3 Methodologies)

  • 신용일;김정;김필수;정찬교;장영기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3-20
    • /
    • 2010
  • 현재 건설기계는 산업발전과 건설공사의 증가에 따라 사용이 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건설기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활동도 자료가 미비하고 국내 배출계수가 없어 불확실성이 큰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최근 배출량 산정 방법(Tier 2, Tier 3), 배출계수, 연료 소비량, 평균 정격 출력, 가동 시간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2008년도 건설기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Tier 2, Tier 3 산출 방법에 의하여 각각 21,784천 $ton-CO_2eq/yr$, 22,811천 $ton-CO_2eq/yr$으로 산출되어 Tier 3에 의한 배출량이 Tier 2에 의한 배출량보다 약 4.7% 크게 산정되었다.

Tier 3 방법론을 활용한 BIS 사업의 CO2 저감효과 분석 - 대전-청주 간 광역BIS 사업을 중심으로 - (Reduction Effect of CO2 Emission on BIS Using Tier 3 Methodology - A Case Study on Daejun-Chungjoo Project -)

  • 정연식;송태진;김정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3D호
    • /
    • pp.375-381
    • /
    • 2011
  • 본 연구는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기술 중 버스대중교통의 신속성 및 정시성 등 서비스 향상을 위해 구축된 버스정보시스템(BIS: Bus Information System) 운영에 대한 $CO_2$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IPCC에서는 $CO_2$ 저감효과 분석을 위해 3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 중 가장 구체적인 Tier 3 방법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대전-청주 간 BIS 구축 노선 중 8.3km 구간에 대하여 진행되었으며, Tier 3 방법에 필요한 교통 관련 자료는 ITS 기반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BIS사업 시행에 따른 $CO_2$ 저감효과는 연간 $39.45tCO_2/km$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CO_2$ 저감효과는 향후 BIS 사업의 효과척도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향식 자료를 이용한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품질 개선 방향 - 화학, 금속 분야를 중심으로 - (Quality Improvement of Greenhouse Gas Inventories by the Use of Bottom-Up Data)

  • 최은화;신은섭;이승묵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1-174
    • /
    • 2014
  • The methodology report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shows higher tier method can be a good practice, which uses country-specific or plant-specific data when calcula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by country. We review the methodology report to present principles of using plant-level data and also examine examples of using plant-level data in chemical and metal industry in 20 countries for the purpose of quality improvement of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We propose that Korea consider utilizing plant-level data, as reported according to 'Greenhouse gas and Energy Target Management Scheme', in the following order as a preference. First, the data can be utilized for quality control of Korea's own parameters, when Tier 2 method is adopted and bottom-up approach is not applicable. Second, both plant-level data and IPCC default data can be used together, combining Tier 1 method with Tier 3 method. Third, we can also use acquired plant-level data and country specific parameters, combining Tier 2 method with Tier 3 method. Fourth, if the plant-level data involves all categories of emissions and the data is proven to be representative, we can apply Tier 3 method. In this case, we still need to examine the data to check its reliability by a consistent framework, including appropriate quality control.

디젤기관차 Tier 3 온실가스 배출계수 산정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Calculation Model for Tier 3 Greenhouse Gas(GHG) Emission Factors of Diesel Locomotives)

  • 이영호;김용기;이재영;정우성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15-1319
    • /
    • 2011
  • As government's policy is enacted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 in transportation sector, railroad sector has to estimate amount of emission and propose feasible methods to reduce emission. To calculate accurate emission of railroad sector, we performed a study on the calculation model development for Tier 3 GHG emission factors. According to IPCC guide line, Tier 3 emission factor reflects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diesel locomotive. For this reason, we estimated GHG emission factor by stratified diesel locomotive and the result show difference of emission factor by notch changing. Therefore, the analysis of notch frequency during operation is required to develop Tier 3 emission factor, and we analysed a running pattern of diesel locomotive. As a result, idle and 8 notch consist about 70% of total running distance. In conclusion, the calculation model suppose that Tier 3 GHG emission factor is the sum of multiplied emission factor by weights in each notch. This result can contribute to Tier 3 emission factor calculation and reduction method development of emission in railroad sector by managing driving efficiency and technology development.

  • PDF

지속가능교통 평가를 위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론의 지자체 적용 및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for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for Local Government`s Sustainable Transport)

  • 유병용;배상훈;한상용;김건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5-65
    • /
    • 2011
  • 본 연구는 교통부문의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론 별 비교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배출량 산정 방법론은 UN IPCC에서 제시하였으며 유류판매량을 기본으로 한 하향식 방식(Tier1,2)과 이동원의 속도 및 교통량 자료를 활용한 상향식 방식(Tier 3)이 있다. 방법론에 따른 결과 분석을 위하여 분석 대상지역을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은 한국교통연구원에서 수행한 지자체별 지속가능교통 평가결과에 근거하여 지속가능성 1등급 지역 중 하나인 과천시와 7등급 지역인 안성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Tier 1 방법론을 통해 도출된 온실가스 배출량($CO_2$ 기준)은과천시의 경우 74,813ton/yr, 안성시는 584,125ton/yr로 나타났다. Tier 3 방법론 적용 결과 과천시 91,462ton/yr, 안성시 163,801ton/yr로 나타나 과천시의 경우 Tier 1 방법론보다 22.3% 과대추정 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반면, 안성시의 경우 Tier 3 방법론을 적용하였을 때 온실가스 배출량이 3.5배가량 줄어드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론에 따라 지속가능교통 지수에 의한 지자체별 등급이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로수송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에 따른 경기도 시·군별 배출량 비교 (Comparis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Road Transportation in Local Cities/Counties of Gyeonggi Province by Calculation Methodologies)

  • 이태정;김기동;정원식;김동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54-465
    • /
    • 2012
  • The Korean government decided to reduce 30% of GHG (greenhouse gas) emissions BAU in 2020. Since many efforts to reduce emissions are urgently needed in Korea, the centr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urges local governments to establish their own reduction schemes. Among many GHG emission categories, the emission from mobile source in Gyeonggi Province accounted for 25.3% of total emissions in 2007 and further the emission from road transport sector occupied the most dominant portion in this transportation catego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3 types of GHG emissions from road transport sector in 31 local cities/counties of Gyeonggi Province, which have been estimated by Tier 1, Tier 2, and Tier 3 methodologies. As results, the GHG emission rates by the Tier 1 and Tier 2 were $19,991kt-CO_2\;Eq/yr$ and $18,511kt-CO_2\;Eq/yr$,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emission rate by Tier 3 excluding a branch road emission portion was $18,051kt-CO_2\;Eq/yr$. In addition, the total emission rate including all the main and branch road portions in Gyeonggi Province was $24,152kt-CO_2\;Eq/yr$, which was estimated by a new Tier 3 methodology. Based on this study, we could conclude that Tier 3 is a reasonable methodology than Tier 1 or Tier 2. However, more accurate and less uncertain methodology must be developed by expanding traffic survey areas and adopting a suitable model for traffic volumes.

이륜차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2008)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Motorcycles in 2008)

  • 신용일;김정;김필수;장영기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1-57
    • /
    • 2010
  • 현재 이륜차는 도시에서 주요 이동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륜차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있어 활동도 자료가 부족하고, 국내 배출계수가 부족하여 그 배출량 산정의 불확도가 큰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조사된 50cc 미만의 이륜차(모페드)까지 고려하여 이륜차의 배기량별 연료 소비량을 추정하였다. 또한 최근 조사된 일 주행거리를 활용하여 IPCC 산출 방법론에 따라 Tier 2와 Tier 3의 배출량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2008년도 전국 이륜차 운행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Tier 2와 Tier 3 산출 방법에 의해 각각 2,758천 $ton-CO_2eq/yr$, 2,739천 $ton-CO_2eq/yr$으로 산출되었으며, 이는 국내 수송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7%에 해당하는 양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