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ber drying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9초

웨스턴 레드시더 큰 정각재(正角材)의 고주파 진공 건조 특성 (Drying Characteristics of Large Western Redcedar Timber During Radio Frequency/Vacuum Drying)

  • 정희석;스티브로스 아브라미디스;리핑 카이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3호
    • /
    • pp.1-8
    • /
    • 1998
  • Western redcedar timber, 26 by 26cm in cross section and by 200cm long, was dried in a laboratory radio-frequency/vacuum kiln under 65torr of ambient pressure and a fixed frequency of 6.78MHz for the potential rapidly dry large timber. All process data were collected and saved in a computer through a data acquisition system. The temperature in the middle of timber was higher than temperature at the quarter point of timber length and thickness. Temperature gradients developed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 of timber. The pressure in the middle of timber was higher than pressure at the quarter point of timber length. The pressure in the middle of timber was lower in the early stage of drying, and higher in the latter stage of drying than pressure at the quarter point of timber thickness. Power density was very highest during heating period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The drying curve was approximately linear and the total drying time was 27 hours from an initial moisture content(MC) of 48.6 percent to a final Me of 19.2 percent with only a few mild internal checks in the middle location of timber.

  • PDF

소나무 수심 정각재의 건조 중 3차원 함수율 분포와 변이 (Three-dimensional Distribution and Variation of Moisture Content of Boxed-heart Square Timber of Pinus densiflora During Drying)

  • 강욱;이형우;정우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7-14
    • /
    • 2006
  • 국산 소나무 간벌재를 이용한 수심 정각새(단면치수 $150{\times}150mm$)의 안전하고 신속한 건조를 위하여 열풍건조와 마이크로파건조중 수심 정각새의 함수율 분포와 그 변이를 3차원적으로 탐색하였다. 실험결과 마이크로파건조를 통하여 72시간 이내에 함수율 10% 미만까지 건조가 가능하였고 표면할열 발생도 최소화할 수 있었다. 건조 중 함수율 분포는 마이크로파건조의 경우 초기함수율 분포에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러나 열기건조의 경우 초기함수율 분포가 건조초기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큰 정각재의 가열판과 고주파 진공건조간 건조특성의 비교 (Comparison of Drying Characteristics of Square Timber by Heated Platen and Radio-frequency/Vacuum Drying)

  • 정희석;강욱;이철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108-114
    • /
    • 2002
  • 변장 14.0 cm와 16.5 cm인 소나무 정각재의 가열판진공건조와 고주파진공건조간의 건조속도, 함수율분포와 비(比)에너지를 비교하였다. 고주파진공건조는 가열판진공건조보다 건조속도 및 변장이 건조속도에 미치는 영향이 컸었다. 가열판진공건조 목재의 재장방향, 두께방향과 폭방향의 함수율분포는 볼록 형태를 나타내었고, 고주파진공건조 목재는 오목 형태를 나타내었다. 가열판진공건조 목재의 폭방향과 두께방향간의 수분경사는 유사하였으나 고주파진공건조 목재의 경우는 폭방향의 수분경사가 두께방향보다 완만하였다. 가열판진공건조와 고주파 진공건조의 비(比)에너지곡선은 함수율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가열판진공건조의 비(比)는 고주파진공건조보다 컸었다.

Effects of Pretreatment for Controlling Internal Water Transport Direction on Moisture Content Profile and Drying Defects in Large-Cross-Section Red Pine Round Timber during Kiln Drying

  • Bat-Uchral BATJARGAL;Taekyeong LEE;Myungsik CHO;Chang-Jin LEE;Hwanmyeong YE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6호
    • /
    • pp.493-508
    • /
    • 2023
  • Round timber materials of 600 mm length, cut from large-cross-section round timber of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of 450 mm width and 4.2 m length, were prepared as the target of kiln drying in this study. After treating the target materials through end sealing (ES), end sealing - kerfing (ES-K), lateral sealing - end sealing - boring (LS-ES-B), or lateral sealing - partial end sealing (LS-PES),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on the incidence of drying defects were determined. The target materials with exposed lateral surface and sealed cross surface were steamed at the initial temperature of 65℃ above the official pest control temperature of 56℃, followed by kiln drying toward the final temperature of 75℃. The target materials with sealed lateral surfaces, on the other hand, were dried at the initial temperature of 90℃ at almost the maximum temperature of conventional kiln drying, as there is no risk of early check formation caused by surface moisture evaporation. The final temperature was set at approximately 100℃. The drying time, taken for the target materials with initial moisture content of 70%-80% to reach the target moisture content of 19%, varied across treatment conditions. The measured drying time was 1,146 hours (approximately 48 days) for the timber with sealed cross surface and 745 hours (approximately 31 days) for the timber with sealed lateral surface, until the moisture content reached the target level. The formation of surface checks could not be prevented in the control and ES groups, but a definite preventive effect was obtained for the LS-ES-B and LS-PES groups.

Douglas-fir, Hemlock, Radiata pine 정각재의 고온건조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igh-Temperature Drying Characteristics of Douglas-fir, Hemlock and Radiata Pine Square Timber)

  • 이창진;이남호;오승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726-735
    • /
    • 2016
  • 본 연구는 두께 15 cm와 18 cm 크기 Douglas-fir, Hemlock, Radiata pine 정각재의 고온건조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수종에 따른 최종함수율은 시험재의 두께에 관계없이 Radiata pine, Douglas-fir, Hemlock 순으로 Radiata pine에서 가장 낮았으며, 배할처리를 하였을 때 무처리재보다 낮은 함수율을 나타내었다. Radiata pine과 Hemlock의 경우 배할처리를 하였을 때 함수율과 뒤틀림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ouglas-fir는 수를 포함하지 않는 정목형태로 가공될 때 건조결함의 감소가 가능하였다.

대단면 수심정각재 건조를 위한 포화-과열증기 연속 건조 공정의 이용가능성 평가 (Applicability of Continuous Process Using Saturated and Superheated Steam for Boxed Heart Square Timber Drying)

  • PARK, Yonggun;CHUNG, Hyunwoo;KIM, Hyunbin;YEO, Hwanmye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121-13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대단면 목재의 건조를 위해 포화증기와 과열증기를 연속 적용하는 공정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낙엽송 수심 정각재를 건조하는 동안 표면층, 내부층 및 중심층의 슬라이스 시험편을 통해 함수율 변화를 확인한 결과 포화증기 건조 중에는 표면층과 내부층 사이에서, 과열증기 건조 중에는 내부층과 중심층 사이에서 함수율 경사가 크게 발생하였다. 하지만 각 슬라이스 층간의 함수율 경사에도 불구하고, 표면 할렬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내부 할렬은 수나 미성숙재 부근에서만 발생하였다. 슬라이스의 탄성 변형률과 낙엽송의 접선 방향 탄성계수를 통해 건조 중인 낙엽송 정각재의 건조 응력의 최댓값은 1.30 MPa이었고, 건조 응력이 최대인 시점 온도와 함수율 조건에서 낙엽송의 접선 방향 인장강도는 5.21 MPa로 추산된다. 즉, 포화증기 및 과열증기를 연속 건조 공정에서 목재의 건조 응력이 접선 방향 인장강도를 초과하지 않았기 때문에 표면에서 할렬이 발생하지 않았다. 내부 할렬 발생 억제를 위한 과열증기 건조 조건 완화와 같은 추가 연구를 통해 포화-과열증기 연속 건조 공정이 대단면 목재 건조에 이용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배할 및 자상-인사이징 처리가 소나무 정각재의 고온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Knife-Incising and Longitudinal Kerfing Treatment on High-Temperature Drying Characteristics of Red Pine Square Timber)

  • 이창진;이남호;오승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677-68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배할과 자상-인사이징 처리가 두께 15 cm 크기 소나무 정각재의 고온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건조 후 최종함수율은 5.6% ~ 7.5% 범위였으며, 전처리조건에 따른 함수율분포에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배할의 경우 재면할렬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뒤틀림은 약간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배할과 자상-인사이징 처리는 내부할렬과 건조 수축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Finite Difference Evaluation of Moisture Profile in Boxed-heart Large-cross-section Square Timber of Pinus densiflora during High Temperature Drying

  • Kim, Hyunbin;Han, Yeonjung;Park, Yonggun;Yang, Sang-Yun;Chung, Hyunwoo;Eom, Chang-Deuk;Lee, Hyun-Mi;Yeo, Hwanmye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6호
    • /
    • pp.762-771
    • /
    • 2017
  • Predicting the amount and distribution of moisture content within wood allows calculating the various mechanical dynamics of the wood as well as determining the drying time. For boxed-heart wood with a large cross-sec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interior,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moisture content distribution. This study predicted the moisture movement in boxed-heart red pine timber, during high temperature drying, by using the three-dimensional finite difference method for the efficient drying process. During drying for 72 h, the predicted and actual moisture content of the tested wood tended to decrease at a similar rate. In contrast, the actual moisture content at 196 and 240 h was lower than predicted because surface checking of the wood occurred from 72 h and excessive water emission was unexpectedly occurred from the checked and splitted surface.

미송 대단면재의 가열법에 따른 진공건조 특성 (Vacuum Drying Characteristics Using Different Heating Methods for Douglas-fir Timber)

  • 정희석;엄창득;소범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18-26
    • /
    • 2004
  • 변장 14 cm 재장 2.4 m인 대단면재의 전도가열, 고주파가열 및 복합가열에 의한 진공건조특성을 조사하였다. 건조속도는 복합가열에서 가장 컸고, 고주파가열에서 가장 적었다. 비에너지는 고주파가열에서 가장 컸고, 전도가열에서 가장 적었다. 진공건조목재의 횡단방향 함수율분포는 전도가열과 복합가열의 경우 불록한 형태를 나타냈으나, 고주파가열의 경우는 한쪽 표층에서 반대쪽 표층으로 향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건조목재의 재장방향 함수율은 전도가열과 복합가열의 경우 횡단면이 중심부위보다 낮았고 고주파가열의 경우 횡단면이 중심보다 높았다. 표면할렬과 횡단면할렬은 전도가열진공건조에서 가장 심하였다. 내부할렬은 어떠한 가열방법에 의한 건조에서도 발생하지 않았다. 복합가열 진공건조 특성은 전도가열과 고주파가열간의 절충된 중간적 경향을 나타냈다.

침엽수 구조용 정각재의 천연건조곡선과 함수율분포 (Air-Drying Curve and Moisture Content Distribution of Softwood Square Timber)

  • 정희석;이철현;강욱;엄창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27-31
    • /
    • 2003
  • 이 논문은 소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변장 14.0 cm와 16.5 cm인 큰 정각재의 천연건조과정과 함수율분포에 관한 내용으로서 건조속도는 건조개시 첫 8주 동안 비교적 컸었으나, 그 이후부터 점차 감소하였다. 생재에서 규격함수율 18% 수준까지 건조시간은 소나무 14.0 cm와 16.5 cm가 각각 26주와 32주이고, 일본잎갈나무의 경우는 각각 32주와 48주이었다. 이들 정각재의 재장방향과 두께방향의 수분경사는 비교적 완만하였다. 일본잎갈나무의 수분경사는 소나무의 것보다 컸었고, 일본잎갈나무의 변장의 크기가 수분경사에 미치는 영향은 소나무의 것보다 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