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cotrienols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1초

화곡류 종실의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에놀 연구현황과 전망 (Tocopherols and Tocotrienols in Cereal Grains)

  • 이동진;이지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
    • /
    • pp.1-12
    • /
    • 2003
  • Vitamin E is a fat-soluble vitamin that exists in eight different forms, which are $\alpha$, $\beta$, $\gamma$, and $\delta$ tocopherol, and $\alpha$, $\beta$, $\gamma$, and $\delta$ tocotrienol. Tocopherols and tocotrienols are important antioxidant in foods, feeds and their raw materials, where they scavenge lipid radicals. Each form has its own biological activity, the measure of potency or functional use in the body. Antioxidants such as vitamin E act to protect cells against the effects of free radicals, which are potentially damaging by-products of the body's metabolism. Free radicals can cause cell dam-age that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The content of tocopherols and tocotrienols var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 such as growing regions, temperature, crops and varieties. This report deals with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and extends to their nutritional and health effect on the tocopherols and tocotrienols in cereal grains.

GC 및 HPLC 비교분석에 기초한 차조기 종실내 tocotrienol 부재의 평가 (Absence of Tocotrienol Form of Vitamin E in Purple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Seeds Confirmed by Comparative Analysis Using HPLC and GC)

  • 이영상;김민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spc호
    • /
    • pp.115-120
    • /
    • 2008
  • 비타민 vitamin E 구성 성분으로 항산화, 항암, 고지혈증 개선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tocotrienol이 국내산 차조기에서 보고된 바, 존재 여부 확인을 위하여 국내수집 6종, 일본수집 8종 등 총 14종의 차조기 유전자원과 들깨 종실을 대상으로 HPLC 및 GC, GC/MS 비교 분석을 수행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순상의 HPLC 이용시 차조기에서 4종의 tocopherol 및 ${\beta}-tocotrienol$, ${\gamma}-tocotrienol$과 매우 유사한 머무름 시간의 발견되었다. 2. 그러나 동일 시료를 GC로 재분석한 결과 13개 차조기 유전자원에서 모두 4종의 tocotrienol과 일치하는 물질은 발견되지 않았다. 3. GC 이용시 ${\delta}-tocotrienol$${\gamma}-tocotrienol$과 유사한 머무름 시간의 peak가 검출되었으나 GC/MS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tocotrienol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4. 이상의 HPLC 및 GC 비교분석결과에 기초할 때, 차조기에는 tocotrienol류의 vitamin E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GC를 이용한 vitamin E isomer 분석이 HPLC 이용시 발생가능한 유사 머무름시간대 물질을 tocotrienol로 판단하는 오류 방지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미강 추출 Tocotrienol의 항암 및 독성 평가 (Evaluation of Anticancer Activity and Toxicity of Tocotrienol Extracted from Rice Bran)

  • 이영상;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1-6
    • /
    • 2006
  • Tocotrienol의 건강식품 및 의료용 가공품으로의 고부가가치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미강에서 추출한 tocotrienol의 항암 효과 및 독성평가를 실시하였다. HepG2 간암 세포를 대상으로 한 항암효과 분석 결과 tocotrienol이 간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함을 입증할 수 있었다. 또한 랫드를 이용한 경구독성 검사를 수행한 결과 tocotrienol 최종 생산물은 경구투여 한계량인 $2,000mg\;kg^{-1}$ 수준에서도 사망률, 일반 증상, 체중 변화 등에 이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부검 후 흉강 및 복강의 모든 장기에 대한 육안적 부검 소견 등에서도 아무런 독성학적 변화가 유발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천연 latex로부터 ${\alpha}-,\;{\gamma}-,\;{\delta}-tocotrienol$의 분리 (Separation of ${\alpha}-,\;{\gamma}-,\;{\delta}-tocotrienol$ from latex)

  • 이형옥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1호
    • /
    • pp.29-32
    • /
    • 1993
  • Latex(Hevea Brasiliensis)로부터 3종의 ${\alpha}-,\;{\gamma}-,\;{\delta}-tocotrienol$을 각각 분리하고, oil 상태의 각 성분을 얻었다. Tocotrienol을 분리하기 위하여, latex에서 추출한 조지방 성분의 비비누화분획으로 부터 semipreparative HPLC에 의한 분리방법을 사용하여 tocotrienol을 분리하였다. 이와 같은 분리방법을 이용하였을 때 latex에 함유된 tocotrienol의 함량은 약 400ppm이었으며, 순도는 ${\alpha}-,\;{\gamma}-,\;{\delta}-tocotrienol$ 각각 98.3, 99.3, 96.2%로 나타났다.

  • PDF

Comparative Stability of vit E isomers Extracted from Unsaponifiable Fractions of Rice Bran Oil under Various Temperature and Oxygen Conditions

  • Lee, Young-Sang;Park, Soon-Rya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35-439
    • /
    • 2008
  • Due to the fact that tocopherols and tocotrienols have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the commercial utilization of unsaponifiable fractions in rice bran is increasing. These nutraceutical compounds, however, are fairly unstable and readily break down when exposed to oxygen or lighting conditions. To compare the relative sensitivity of vit E isomers to heat and oxygen, concentrated unsaponifiable fractions extracted from crude rice bran oil were exposed to various temperature, oxygen (nitrogen-balanced), and bathing solvent conditions and resultant concentration changes in ${\alpha}$- and ${\gamma}$-tocopherols (T) and tocotrienols (T3) were evaluated. Each isomer exhibited different heat stability. Among them, ${\alpha}$-T3 degraded more rapidly compared to other vit E isomers while ${\alpha}$-T was the most stable isomer. Oxygen level also showed significant impact on each isomer's stability where severe reductions of ${\gamma}$-T (by 20%) and ${\gamma}$-T3 (by 29%) were observed under 2% oxygen conditions, while under 0% oxygen conditions no degradation could be observed even after exposure to $95^{\circ}C$ for 4 hours. When various blending solvents were mixed with concentrated unsaponifiable fractions, organic solvents such as isooctane and hexane were more effective in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gamma}$- T3 compared to edible oils, among which com oil was more efficient than soybean and rice bran oils.

몇 가지 작물 종실의 Tocotrienol과 Tocopherol 함량 (Tocotrienol and Tocopherol Content in Various Plant Seeds)

  • 박경열;강창성;이용선;이영현;이영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07-210
    • /
    • 2004
  •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콩 강낭콩 보리 옥수수 율무 들깨 차조기 홍화 해바라기를 비롯하여 달맞이꽃 타래붓꽃의 종실에 함유되어 있는 tocotrienol($\textrm{T}$), tocopherol(T)과 vitamin E 함량을 탐색 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실 100g에 함유되어 있는 tocotrienol 함량은 차조기 25.06mg, 보리 4.50mg, 옥수수 3.54mg, 타래븟꽃 3.04mg, 율무 2.58mg, 홍화 0.12mg이었다. 2. tocotrienol이 전혀 검출되지 않은 작물은 콩 강낭콩 달맞이꽃 해바라기 들깨이었고, tocotrienol의 4가지 동족체 중 율무와 옥수수는 $\beta$-$\textrm{T}_3$, 타래못꽃과 차조기는 $\delta$-$\textrm{T}_3$, 홍화는 $\alpha\textrm{-}$, $\beta\textrm{-}$, $\delta$-$\textrm{T}_3$가 검출되지 않았다. 3. 종실 100g에 함유되어 있는 tocopherol 함량은 타래붓꽃 51.82mg, 들깨 40,90mg, 콩 34.11mg, 해바라기 20.88mg 순으로 높았으며, 탐색한 작물 모두 4가지 동족체를 함유하였다. 4. vitamin E 함량은 타래붓꽃 54.86, 차조기 41.80, 들깨 40.90, 콩 34.11, 해바라기 20.88, 홍화 14.73, 옥수수 11.49, 달맞이꽃 10.07, 보리 7.48, 율무 6.24, 강낭콩 5.27mg/100g 이었다.

볶음조건에 따른 포도씨유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Grape Seed Oils Under Different Roasting Conditions)

  • 장성호;이선미;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715-171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볶음조건에 따른 포도씨유의 산화안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포도씨를 100, 150, $200^{\circ}C$에서 1시간 볶은 후, hexane으로 추출 후 용매를 제거하여 얻은 포도씨유를 $50^{\circ}C$에서 40일 동안 저장하였다.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 동안에 볶음처리를 하지 않은 포도씨유에서 볶음처리한 포도씨유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산가 또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포도씨유의 갈색도는 볶음온도가 높을수록 짙은 갈색을 띄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타민 E의 함량은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볶음온도가 높을수록 비타민 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타민 E 이성체의 감소량도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볶음온도에 따른 포도씨유의 산화안정성 평가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도정 유무에 따른 제주산 보리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pearled and wholegrain barley harvested in Jeju)

  • 강유리;김현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52-25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제주산 쌀보리인 일반보리, 청보리, 흑보리를 이용하여 도정 유무에 따른 항산화 성분과 활성을 비교하였다. 제주산 쌀보리의 항산화 성분인 총 폴리페놀 함량은 도정하지 않은 쌀보리에서 139.99-149.90 ㎍ GAE/g, 도정한 쌀보리는 91.14-125.45 ㎍ GAE/g 범위로 나타나 도정하지 않은 쌀보리에서 보다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도정하지 않은 쌀보리(0.89-1.01 ㎍ QE/g)가 도정한 쌀보리(0.50-0.54 ㎍ QE/g)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HPLC로 분석한 제주산 쌀보리의 페놀성 화합물로 gallic, protocatechuic, vanillic, p-coumaric 및 ferulic acid가 주로 검출되었으며, 도정하지 않은 흑보리와 도정한 일반보리에서는 p-coumaric acid는 검출되지 않았다. Tocopherols 및 tocotrienols 분석 결과에서는 8가지 이성체 중 α-T3 함량이 높았고, 도정하지 않은 쌀보리의 α-T3는 20.68-33.09 ㎍/g으로 도정한 쌀보리 8.93-14.98 ㎍/g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제주산 쌀보리의 in vitro 항산화 활성 결과에서 금속 이온 제거능을 제외하고 도정하지 않은 쌀보리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항산화 활성 중 SOD 소거 활성이 높게 나타내었다. In vitro 항산화 활성은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비해 총 tocopherols 및 tocotrienols 함량에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도정하지 않은 제주산 쌀보리에서 높은 항산화 성분 및 활성이 나타나 이를 천연 항산화제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