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vel demand

검색결과 406건 처리시간 0.025초

ARIMA-Intervention 시계열모형을 활용한 제주 국내선 항공여객수요 추정 (A Study on the Air Travel Demand Forecasting using time series ARIMA-Intervention Model)

  • 김민수;김기웅;박성식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6-7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tervention variables which may affect the air travel demand for Jeju domestic flights and to anticipate the air travel demand for Jeju domestic flights. The air travel demand forecasts for Jeju domestic flights are conducted through ARIMA-Intervention Model selecting five intervention variables such as 2002 World Cup games, SARS, novel swine-origin influenza A, Yeonpyeongdo bombardment and Japan big earthquake.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risk factor such as the threat of war that is a negative intervention incident and occurred in Korea has the negative impact on the air travel demand due to the response of risk aversion by users. However, when local natural disasters (earthquakes, etc) occurring in neighboring courtiers and global outbreak of an epidemic gave the negligible impact to Korea, negative intervention incident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air travel demand as a response to find alternative due to rational expectation of air travel customers. Also we realize that a mega-event such as the 2002 Korea-Japan World Cup games reduced the air travel demand in a short-term period unlike the perception in which it will increase the air travel demand and travel demands in the corresponding area.

수송실적자료를 이용한 철도교통 수요변화 추정 연구 (Quantifying Rail Travel Demand Changes using Observed Transport Data)

  • 엄진기;허태영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420-42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철도 투자에 따른 투자이후 수요변화를 계량화하기 위한 조사방법론을 검토하도록 한다. 특히, 유발수요는 전환수요에 비해 조사 및 계량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므로 유발수요를 중심으로 조사 및 계량화방법들을 검토하여 제시하도록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에 철도에 대한 투자이후 단계에서 수요변화를 추정하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므로 향후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로교통의 유발통행수요 추정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Induced Highway Travel Demand)

  • 이규진;최기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91-100
    • /
    • 2006
  • 도로개선사업의 타당성 분석을 위해 장래 수요추정은 필수적이며, 이는 사업 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핵심적 사안이 되지만 현재 장래 수요추정에 적용되는 4단계 수요예측모형은 장래 고정된 기종점통행량을 이용하여 경로 전환된 통행량에 대해서만 분석할 뿐, 교통시스템의 향상으로 인해 추가로 발생되는 수요(유발통행수요-Induced Highway Travel Demand 또는 잠재수요-Latent Demand)는 충분히 고려되지 않고 있어 정확성에 대한 의심의 여지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통수요가 결정되는 원리와 유사한 경제학 이론을 적용한 유발통행수요 추정모형과 광범위한 분석에 적용할 수 있는 유발통행수요 추정프로그램(I.D.A)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모형을 통해 서울시 강변북로 일부구간의 도로개선에 따른 유발통행수요를 추정한 결과. 추정된 유발통행수요는 경로전환수요의 15% 정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발통행수요가 존재할 것으로 확신되는 사업에 대한 유발통행수요를 계량적으로 추정하여 도로개선의 타당성분석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ho Uses Travel Websites? A Comparison of Demand Across Websites

  • Yang, Yang;Jiang, Lan
    • Journal of Smart Tourism
    • /
    • 제2권3호
    • /
    • pp.31-38
    • /
    • 2022
  • Understanding demand for travel websites can help hoteliers better evaluate their own multi-channel distribution and reputation management strategies. In this study, we estimated demand for eight major travel websites based on the user percentage in 3,120 U.S. counties. Result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four types of factors: sociodemographic, economic, Internet use-related, and travel-related. Differences between websites were also compared based on estimated coefficients. For example, the demand for Expedia.com appeared to be driven by age, education background, income, and foreign travel history, whereas the demand for Hotels.com was driven by the proportion of the African American population and domestic travel history. Lastly, implications are provided.

목표지향 기종점 교통수요 관리모형연구 (Methods for a target-oriented travel demand management)

  • 임용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67-176
    • /
    • 2009
  • 교통수요관리(travel demand management)는 통행수요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서 교통혼잡을 최소화시키려는 목적으로 시행되는 제반 교통정책이라 할 수 있다. 교통수요를 적절히 관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책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할 수 있는 최적의 정책변수들을 찾아야 하는데, 현재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설정된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통수요관리모형과 이를 풀기 위한 알고리듬을 제시한다. 교통수요관리모형은 2가지로 개발되는데, 첫 번째 모형은, 기점과 종점간 평균 통행시간을 대상으로 목표치를 설정한 후 이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한 적정 통행수요를 구하는 문제이며, 두 번째 모형은 혼잡이 심한 특정한 지역을 대상으로 해당지역에 포함된 링크의 교통량/용량비가 일정한 목표수준을 유지되도록 하는 최적 통행수요를 구하는 문제이다. 간단한 예제 교통망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들을 평가한다.

철도수송수요 예측시스템 제안 (Railroad Travel Demand Estimation System Suggestion)

  • 민재홍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II)
    • /
    • pp.3-7
    • /
    • 2003
  •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optimal train operation plan when analyzing the economic investment using traditional railroad travel demand estimation method. Train operation plan depends on travel demand and vice versa.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suggests a demand estimation method to address an optimal train operation scheme with the modal spilt using initial train operation plan and trip assignment.

  • PDF

항공사 패키지 여행 단체수요의 좌석할당 문제 (A Seat Allocation Problem for Package Tour Groups in Airlines)

  • 송윤숙;이휘영;윤문길
    • 경영과학
    • /
    • 제25권1호
    • /
    • pp.93-106
    • /
    • 2008
  •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roblem of seat allocation for group travel demand in airlines. We first explain the characteristic of group demand and its seat allocation process. The group demand in air travel market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 incentive and package groups. Allocating seats for group demand depends on the types of group deman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irlines and travel agents. In this paper we concentrate on the package group demand and develop an optimization model for seat allocation on the demand to maximize the total revenue. With some assumptions on the demand distribution and the linear approximation technique, we develop a mixed IP model for solving our problem optimally. From the computational experiments, we can find our optimization model can be applied well for real-world application.

가변수요 통행배정의 민감도 분석을 통한 최적가로망 설계 (Optimal Network Design Using Sensitivity Analysis for Variable Demand Network Equilibrium)

  • 권용석;박병정;이성모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9-99
    • /
    • 2001
  • 기존의 고정수요(Fixed Demand)를 전제로 한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는 가로망의 구조나 용량이 개선되더라도 장래 기·종점 통행수요는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이는 단기적인 가로망 설계에서는 성립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기·종점 통행수요는 네트워크 서비스수준에 따라 변화하므로 고정수요를 전제한 장기적인 가로망 설계문제에서는 그 타당성을 잃어버린다 그러므로 장래 최적 가로망 설계는 현실적 여건과 교통특성상 기·종점 통행 수요가 모형 내부에서 결정되는 내생변수로 처리하는 가변수요(Variable Demand)를 반영한 가로망 설계 문제로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가변수요를 갖는 가로망 설계문제에 대한 이중계층 모형을 구축한 다음, 가로망내의 특성치가 변화하였을 때 그 파급영향을 먼저 파악하고 현 가로망 개선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링크를 찾아내기 위해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고, 민감도 분석과 연관되어 전체 시스템 효과척도를 최적화할 수 있는 대안적인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적용하여 구축된 모형으로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고, 기존 고정수요 가로망 설계기법에 내재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 PDF

철도 투자에 따른 수요변화 추정방안 연구 (Estimation of Travel Demand Changes Resulted From Railway Investment)

  • 엄진기;문대섭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6-637
    • /
    • 2008
  • 철도시설 투자를 위한 경제성 평가에서 수요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철도투자 평가에 반영되는 수요는 철도 투자이후에 발생되는 유발수요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수요를 반영할 수 있는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철도 투자에 따른 투자이후 전환수요(diverted) 및 유발수요(induced demand)를 계량화하기 위한 조사방법론을 검토하도록 한다. 특히, 유발수요는 전환수요에 비해 조사 및 계량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므로 유발수요를 중심으로 조사 및 계량화 방법들을 외국의 사례와 국내사례를 비교 검토하여 제시하도록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에 철도에 대한 전환수요 및 유발수요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므로 향후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시.공간 활동인구 추정에 의한 통행수요 예측 (Estimating Travel Demand by Using a Spatial-Temporal Activity Presence-Based Approach)

  • 엄진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163-174
    • /
    • 2008
  • 기존의 4단계 교통수요추정 모형은 거시적인 장래 교통수요 예측을 위해 사용되어 왔으나 정확성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장래 수요추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자료의 확보, 장래 사회 경제 지표의 예측의 합리성 등 근본적 해결방법이 있으며 모형의 추정방법을 달리하는 것도 상당히 중요한 해결방법이라 하겠다. 과거와 달리 교통수요추정 모형은 단순히 교통인프라 구축에 따른 교통수요추정과 같은 거시적인 분석뿐만 아니라 교통수요관리정책의 효과분석, 교통운영분석의 적용 등 미시적인 분석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활동에 기반을 둔 활동기반 교통수요추정에 대하여 소개하며 통행자의 일일 활동에 대한 조사를 기반으로 한 시 공간 활동인구 추정을 통한 통행수요를 예측하였다. 연구결과 개별 건물단위의 시간대별 활동인구의 추정은 비교적 정확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예측된 통행수요 또한 정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간의 활동에 기반을 둔 시 공간 활동기반모형은 거시적인 교통수요추정뿐만 아니라 미시적 추정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미시적 교통체계분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위해 활동기반 자료와 토지이용에 대한 공간자료(GIS)의 확보가 필수적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