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 age

검색결과 532건 처리시간 0.028초

주요조경수목의 크기 예측 " 모델 "에 관한 연구 : 느티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백목련을 대상으로 (Study on the Treesize Prediction Model : A case study of Zelkova serrata, Pinus strobus and Magnolia denudata)

  • 김남춘;최준수;문석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7-35
    • /
    • 1988
  • 최근 급격히 증가하는 조경공사의 추세에 비추어 볼 때 특성수목과 규격을 편중되게 사용하며, 시간 경과에 따른 수목의 크기 변화로 인해 외부공간의 공간배분이 달라짐을 고려하지 않고 단기적의 효과만을 목적으로 지나치게 밀식하는 경향이 있어 시공후 5년, 10년, 20년 후에는 선택적으로 수목을 제거하여야 하는 추가적인 관리부담을 끼치므로 배식 설계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주요조경수목의 수형예측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1단계의 연구로써 시간경과에 따른 수목의 크기변화를 미리 에측하여 식재간격을 결정하거나 식재군의 수관연락선(Skyline)의 형태를 인식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도록 하는 것에 연구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수행결과 다음과 같이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느티나무와 스트로브잣나무, 백목련에 대해 수령과 근원 혹은 충고직경, 수고, 관수폭, 기하고와 근원 혹은 흉고직경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회귀분석한 결과 높은 회귀계수를 보임으로써 높은 정도의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2) 시간경과에 따른 수종별 크기의 변화는 수고의 경우 스트로브잣나무, 느티나무, 백목련의 순서로 생육 속도가 빨랐고, 수관폭의 경우에는 식재후 10년이 되기까지는 수종간 큰 차이가 없으며, 20년후에는 느티나무의 등가율이 제일 크게 나타났다. 기하고에 있어서는 느티나무의 경우 수령이 증가함에 따라 가지가 아래로 처짐으로 인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조경수목의 식재간격은 성목시 수관폭의 70∼100%로 하는 것이 일반적인 이론인데, 각 수종별로 많이 사용하는 규격을 식재한 후 10년, 20년 후에 30%가 겹치는 식재간격일 때 10년후에 30%가 겹치게 되며, 4.8m 일 때 20년후에 30%가 겹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로브잣나무는 3.2m일 때 10년후에는 30%가, 4.2m일 때 20년 후에 30%가 겹치게 되며, 백목련의 경우는 3.3m일 때 10년 후에 30%가 겹치며, 4.2m 일 때 30%가 겹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0년 후까지는 수종간에 차이가 없으나 20년 후를 고려하면 느티나무의 식재간격은 다소 넓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 PDF

Estimation of the Effects of Air Pollutants on Tree Ring Growth in Black Pines (Pinus thunbergii)

  • Song, Young-Joo;Kim, Yoon-Dong;Choi, Kee-Ry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2호
    • /
    • pp.109-113
    • /
    • 2009
  • Tree-ring width analysis has been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air pollution on tree growth around industrial complexes. Our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air pollutants on annual ring growth in black pines (Pinus thunbergii) of age 41$\sim$48 years around Ulsan Metropolitan City. The growth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nnual ring increment of black pines increased with tree age until age 40 years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after age 40 years. 2. The increment of annual ring width of black pines was affected more by precipitation and evapotranspiration than air temperature. An annual ring decline appeared in the years 1968$\sim$1983, when annual ring indices below zero were observed. Decreased annual ring growth during this period may have been due to air pollution. 3. The heavy metal with the strongest effect on annual ring growth of black pines in the experimental stand was lead (Pb). The concentration of lead in the stand was estimated as over 6 ppm. 4. The technique of tree-ring width analysis may be useful for estimation of the extent of pollution in forest areas near industrial complexes.

Determinate the Number of Growth Rings Using Resistograph with Tree-Ring Chronology to Investigate Ages of Big Old Trees

  • OH, Jung-Ae;SEO, Jeong-Wook;KIM, Byung-R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700-708
    • /
    • 2019
  •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using resistograph to estimate the age of big old living trees, we selected three Zelkova serrata and seven Pinus densiflora in Goesan. The mean diameters at breast height of Z. serrata and P. densiflora were 102 (92-116) cm and 80 (65-110) cm, respectively. The heights measured from the ground using a resistograph ranged at 1.2-4.3 m and 0.6-1.1 m for Z. serrata and P. Densiflora, respectively. The most appropriate needle speed to determine tree-ring boundaries for measuring ring width was 1500 r/min for both tree species. Alternatively, the suitable feed speeds for Z. serrata and P. densiflora were 50 cm/min and 150 cm/min, respectively. From the measured data, the mean numbers of tree rings of Z. serrata and P. densiflora were 57 (43-68) and 104 (93-124), respectively, and the mean tree-ring widths were 4.27 mm (3.18-5.09 mm) and 2.93 mm (2.32-3.34 mm), respectively. A comparison between the time series of tree-ring widths by resistograph and that from the local master chronologies tallied for the heartwood part. Finally, this study showed that resistograph can be used to estimate tree ages when a local master chronology is available.

소규모 개발 사업지의 정밀 임상도(영급) 작성 방안 연구 (Mapping Method for a Detailed Stock Map Plan(Age-Class) for a Small-Scale Site for Development Work)

  • 이수동;김정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96-408
    • /
    • 2008
  • 국립산림과학원에서 발간된 임상도에 따르면 파주시 광탄면에 위치한 본 연구대상지는 활엽수 Ⅳ영급으로 분류되었으나 식생조사 결과 영급판정이 어려운 활엽수 천연림으로 구성되어 정밀 임상도 작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정밀 현존식생 조사와 식생구조 및 연륜 분석 자료를 기초로 한 정밀 임상도 작성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정밀 현존식생유형 분석결과 22개 유형이었으며 자연림은 신갈나무림, 굴참나무림 등 11개 유형, 인공림은 밤나무림 등 6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영급 판정을 위해 정밀 현존식생도를 바탕으로 방형구 42개와 89개 표본목의 목편을 채취하여 수령을 측정한 결과, 저지대에 입지한 인공림, 참나무류 소경목 지역은 II영급(29.8%), 나머지 지역은 III영급(57.6%)으로 토지이용이 가능하였고 Ⅳ영급 이상(8.8%)은 경계부의 급경사 능선부에 분포하여 토지이용은 불가능하였다. 이상과 같이 소규모 개발 예정지가 활엽수 자연림으로 판정된 경우 보전과 이용 판정에 있어 정밀 현존식생 조사, 식물군집구조 및 표본목 분석을 통한 정밀 임상도를 작성하여야 할 것이다. 정밀 임상도에는 식생의 자연성, 희소성, 다양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자료가 포함되어 소규모 부지의 개발적정성 판단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Age and life history of an old black pine (Pinus thunbergii Parl.) tree at Cave Temple on Mt. Sanbangsan, Jeju Island, Korea, died due to pine wilt disease in 2013

  • Kim, Eun-Shik;Lee, So-Hee;Kim, Joon-Bum;Kim, Chan-Soo;Yoon, Bong-Taek;Lee, Sung-Hoon;Lim, Wontaek;Kim, Hyojung;Choi, Junghwan;Han, Hyerim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1호
    • /
    • pp.85-93
    • /
    • 2015
  • In 2013, the epidemics of pine wilt disease caused by the pine wood nematodes (Bursaphelenchus xylophilus) resulted in damages to the forests of black pine (Pinus thunbergii Parl.) trees in Jeju Island, Korea. Among the affected trees, an old black pine tree at Cave Temple on Mt. Sanbangsan was included and died due to the prevalence of pine wilt disease. The tree was on Mt. Sanbangsan, which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Scenic Place with the Number 77 and was believed to be more than 400 years old in age. By examining the disc of the tree stem obtained from the height of 2 m, we counted the tree rings from 4 different directions and cross-dated the readings by comparing the records of drought simulated from the BROOK Model. Our analysis indicates that the tree seems to have grown since late 1860s. Contrary to the belief of the general public, we can conclude that the age of the tree was estimated to be at maximum 150 years, which means that it was not the same old tree as was shown in the painting of the Tam-Ra-Sun-Ryeok-Do (an old painting book for the Inspection Tour of Jeju Island) published in 1702. Discussion was extended to the life history of the tree in growth and leaning and the measures to protect the tree species from the damages of the pine wilt disease caused by pine wood nematodes.

대추나무 '천황'의 수령에 따른 과실품질과 수확량 (Fruit Characteristics and Yield according to the Age of "Cheonhwang" Jujube Trees (Zizyphus jujuba var. inermis))

  • 박성인;김철우;유희원;이욱;안영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4호
    • /
    • pp.548-556
    • /
    • 2022
  • 본 연구는 대추나무 '천황' 품종의 안정적인 결실과 수확량 증진 등 재배관리기술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령(3~7년생)에 따른 생육특성, 과실특성, 결실특성, 수확량 등을 분석하였다. '천황' 품종의 평균 수고와, 수관면적, 근원경, 지하고, 주지수, 주지간거리는 각각 235.9 cm(217.4~253.8 cm), 3.5 m2(3.1~4.1 m2), 5.5 cm(4.0~7.1 cm), 70.6 cm(66.2~72.7 cm), 9.7개(8.6~10.5개), 10.4 cm(7.9~14.2 cm)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수령과 수관면적, 근원경, 지하고는 정의 상관을 보인 반면, 주지수는 음의 상관을 나타냈다. 결과모지 및 본당 평균 과실수는 각각 17.5개(16.7~18.3개) 와 170.7개(157.9~178.3개)로 나타났다. 수령 간에 결실특성(주지당 결과모지수, 결과모지당 결과지수, 결과지당 과실수, 본당 과실수)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생육면적과 하우스 형태에 맞춰 수형을 일정한 크기로 관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평균 과중, 경도, 당도는 각각 28.6 g(27.7~30.3 g), 29.4 N(28.5~30.4 N)과 20.4 °brix(19.3~21.0 °brix)이었으며, 수령 간에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천황' 품종 재배시 기대할 수 있는 본당 평균 수확량은 4.9 kg(4.8~5.0 kg)으로, 수령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Single Image-Based 3D Tree and Growth Models Reconstruction

  • Kim, Jaehwan;Jeong, Il-Kwon
    • ETRI Journal
    • /
    • 제36권3호
    • /
    • pp.450-459
    • /
    • 2014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easy-to-generate system that is capable of creating virtual 3D tree models and simulating a variety of growth processes of a tree from a single, real tree image. We not only construct various tree models with the same trunk through our proposed digital image matting method and skeleton-based abstraction of branches, but we also animate the visual growth of the constructed 3D tree model through usage of the branch age information combined with a scaling factor. To control the simulation of a tree growth process, we consider tree-growing attributes, such as branching orders, branch width, tree size, and branch self-bending effect, at the same time. Other invisible branches and leaves are automatically attached to the tree by employing parametric branch libraries under the conventional procedural assumption of structure having a local self-similarity. Simulations with a real image confirm that our system makes it possible to achieve realistic tree models and growth processes with ease.

Diagnostic Classification Scheme in Iranian Breast Cancer Patients using a Decision Tree

  • Malehi, Amal Sak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4호
    • /
    • pp.5593-5596
    • /
    • 2014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 diagnostic classification scheme using a decision tree based model.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in Imam Khomeini hospital in Tehran during 2001 to 2009. Data, including demographic and clinical-pat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uniformly collected from 624 females, 312 of them were referred with positive diagnosis of breast cancer (cases) and 312 healthy women (controls). The decision tree was implemented to develop a diagnostic classification scheme using CART 6.0 Software. The AUC (area under curve), was measured as the overall performance of diagnostic classification of the decision tree. Results: Five variables as main risk factors of breast cancer and six subgroups as high risk were identifi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creasing age, low age at menarche, single and divorced statues, irregular menarche pattern and family history of breast cancer are the important diagnostic factors in Iranian breast cancer patient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analysis were 66% and 86.9% respectively. The high AUC (0.82) also showed an excellent classification and diagnostic performance of the model. Conclusions: Decision tree based model appears to be suitable for identifying risk factors and high or low risk subgroups. It can also assists clinicians in making a decision, since it can identify underlying prognostic relationships and understanding the model is very explicit.

옻나무 추출액의 음수투여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inking Rhus Tree-Extract on Performance of Broiler)

  • 손장호;김상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5-31
    • /
    • 2004
  • 본 연구는 육계 생산과정에서의 천연항생제 개발을 위해서 옻나무 추출액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총320수의 1일령 육계에 옻나무 추출액 0 ppm (대조구), 500 ppm (T1), 1,000 ppm (T2) 및 2,000 ppm (T3)을 음용수와 함께 7주간 급여하였다. 증체중과 사료요구율은 35일령 까지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지만, 그 이후는 옻나무추출액의 급여구가 개선되어지는 경향이 인정되었고 그 개선정도는 T3구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맹장 내용물 및 분중의 대장균과 살모넬라균은 옻나무 추출액의 급이에 의해서 감소되었다. 사료중 건물, 조지방 및 조회분 소화율은 옻나무 추출액 급이에 의해서 개선되어지는 경향이 인정되었으며, 사료중 조단백질 소화율은 3개의 처리구 공히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증체량, 사료요구율, 맹장내용물과 분중의 대장균과 살모넬라균총의 감소 및 영양소 소화율은 옻나무 추출액의 음수투여가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중부지방 낙엽송 조림지의 간벌 시기 추정 (Estimation of thinning period of Larix kaemferi Carr. plantation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 이종희;김홍은;권기철;정택상
    • 임산에너지
    • /
    • 제20권2호
    • /
    • pp.69-80
    • /
    • 2001
  • 중부지방 낙엽송 조림지에 대하여 식재후 적정한 1차 간벌 시기를 추정하기 위하여 충북대학교 부속 연습림(월악산)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충북대학교 부속 연습림내에 조림된 낙엽송의 수고곡선식은 H=4.25783+0.80024D(H=수고, D=흉고직경)이었다. (2) 본 연구대상지의 재적식을 구하기 위해 최소제곱법으로 회귀분석을 한 결과, 수고와 흉고 직경을 모두 독립변수로 하는 경우 재적식은 V=0.001474-0.002095D-0.000211H+0.000150D·H+0.000744D²+0.000008H²(V=재적(㎥), H=수고(m), D=흉고직경(cm)) 이었다. 한편, 재적에 대하여 흉고직경만을 독립변수로 한 경우는 V=0.000079-0.000512D+0.000826D²이었다. (3) 간벌시기 추정을 위한 기준으로는 수고 MAI의 극대점을 이루는 연령과 고사목에서 총 흉고직경 생장량의 평균치 이하로 떨어지는 시점의 연령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4) 수고 MAI의 극대점에 도달하는 연령은 임분밀도와 유의성 있는 상관을 보이지 않아 정확한 간벌시기의 판단기준으로 삼을 수 없었다 (5) 간벌시기를 결정하는 추정식은 고사목의 흉고직경생장량의 경년변화를 토대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식은 Y=0.2825+0.01752X 이었다. (6) 관행적인 1.8m×l.8m의 식재밀도가 적용된 낙엽송 조림지에서 간벌 개시 임령은 12∼14년이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