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wo-spotted cricket Gryllus bimaculatu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8초

고압가열방식을 이용한 쌍별귀뚜라미 갈색 육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wo-spotted Cricket (Gryllus bimaculatus) Brown Stock by High Pressure Cooking)

  • 이동규;김기쁨;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63-174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make stock for purpose of reducing visual image, and the stock was used with two-spotted cricket as general food material of edible insects. According to the results, color value was darkest and brownest with increased boiling time, salinity and $^{\circ}Brix$ increased significantly (p<0.001). With increased boiling time, pH and moisture content was the lowest. In the total content of free amino acids was highest in 45 min with boiling time. The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of two-spotted cricket stock was evaluated, which was the strongest with increased boiling time, and acceptance test was best results in TCS45.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produce stock with excellent sensuality which was used by high-pressure method for 45 in making a two-spotted cricket stock. It was judged that making insects food can reduce visual aversion as stock. So, the possibility of food ingredient was identified so that two-spotted cricket led to the increase of domestic interest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genetic diversity of the two-spotted cricket Gryllus bimaculatus De Geer, 1773 (Orthoptera: Gryllidae) in South Korea

  • Gyu-Dong, Chang;Su Hyun, Yum;Jeong-Hun, S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5권2호
    • /
    • pp.115-125
    • /
    • 202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genetic diversity of seven populations of two-spotted crickets (Gryllus bimaculatus De Geer, 1773 (Orthoptera: Gryllidae)) raised in South Korea. Regard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we observ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eight of the nymphs in the six populations we tested. After molting, although weigh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populations in each stage of the developmental period, the average weight for each developmental stage was constant. We also analyzed mitochondrial COI gene sequences (DNA barcoding region) of the reared crickets collected from five insect farms and two national insect rearing facilities and the resultant sequences were analyzed together with the 12 sequences from foreign countries specimens obtained from public data. We detected six haplotypes from 111 specimens, indicating a low intraspecific genetic distance (~1.8%). The most dominant haplotype was overwhelmingly haplotype 1, which was found in all South Korean specimens and four specimens from China, Indonesia, and German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low genetic diversity of South Korean specimen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G. bimaculatus population imported for feed from Japan in the early 2000s became a maternal group that spread throughout cricket farms in South Korea. In order to breed healthy cricket strain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genetic diversity by importing them from other countries through appropriate quarantine procedures.

Effect of different diets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two-spotted cricket, Gryllus bimaculatus (Orthoptera: Gryllidae)

  • Song, Myung-Ha;Han, Moon-Hee;Kwak, Kyu-Won;Lee, Seokhyun;Kim, Eun-Sun;Park, Kwan-Ho;Kim, Won-Tae;Choi, Ji-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3권2호
    • /
    • pp.59-62
    • /
    • 2016
  • Many insects have gained increas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protein for humans. Among those, the two-spotted cricket, Gryllus bimaculatus (Orthoptera: Gryllidae), was recently approved as a general food ingredient by the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or industrial utilization of G. bimaculatus, mass rearing techniques and production system should be standardized firs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ive different feeds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G. bimaculatus. Feed is the one of the key factors that has considerable effects on rearing insects. With five different kinds of feed on $1^{st}$, $3^{rd}$, and $5^{th}$ instar nymphs, the change of survival rate, body weight were monitored up to eight wk after hatching. We concluded that 50% of soybean flour, 20% of corn powder, 10% of rice bran, 9% of milk serum, 10% of rice flour, 0.5% of microorganisms, and 0.5% of multivitamins and minerals (diet C) was the best mix for promoting growth and development of $3^{rd}$ instar nymphs compared to the control diet.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의 l(2)efl cDNA 클로닝과 발현분석 (Lethal (2) Essential for Life [l(2)efl] Gene in the Two-spotted Cricket, Gryllus bimaculatus (Orthoptera: Gryllidae))

  • 권기상;이누리;권오유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671-676
    • /
    • 2021
  • 쌍별 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에서 lethal (2) essential for life [l(2)efl]을 코드한 cDNA를 분리하여 GBl(2)efl이라 하였다. GBl(2)efl는 N-glycosylation 한곳과 phosphorylation site를 15곳 가진 189 aa로 구성되며6.2등전점과 21.19 kDa 분자량을 가진다. GBl(2)efl 단백질의 이차구조는 random coils (56.08%), alpha-helix (22.22%), extended strands (17.99%), beta turns (3.7%)로 이루어진다. GBl(2)efl 는 지금까지 보고된 l(2)efl들과는48-69%의 상동성을 보인다. GBl(2)efl은1일, 3일 starvation일때에 각각 dorsal longitudinal flight muscle과 Malpighian tubules에서 mRNA발현이 증가하였다. 한편, ER stress 조건에서는GBl(2)efl 발현은 fat body에서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곤충의 생존에 기여하는 생리학적 메커니즘을 이해와 효과적인 해충 관리 통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에 많은 힌트를 줄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 산란방법 및 알 저장조건 (Storage Conditions and Oviposition Methods for Gryllus bimaculatus (Gryllidae) Eggs)

  • 김성연;김도익;구희연;김정은;김현진;이유범;김지수;김호혁;한연수;김영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133-138
    • /
    • 2020
  • 2016년에 쌍별귀뚜라미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공전에 등록된 식품원료로 가장 큰 장점은 월동 없이 연중 대량 사육이 가능하다는 것과 60% 이상의 단백질 함량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육공간, 인건비 등의 문제로 인하여 귀뚜라미 사육이 불가능할 때를 대비하여 저장조건을 설정하였으며, 산란율이 높은 산란처 선발과 알의 동종포식률을 조사하였다. 산란은 상토 산란처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았으며(p < 0.05), 알의 동종포식률을 보았을 때 10 L 당 종령 약충 62마리 이하, 1일 동안 산란을 받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p < 0.05). 알의 저온 저장을 하였을 때는 28℃에서 10일간 보관 후 16℃에서 10일간 저온 저장했을 때 부화율이 가장 높았고, 저장을 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였을 때 12~14일 부화를 연장할 수 있었다(p < 0.05). 쌍별귀뚜라미의 산란처, 산란 방법 및 알 저장조건을 설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생산방법을 제시하였다.

쌍별귀뚜라미 에탄올 추출물의 혈소판응집반응과 당단백질 IIb/IIIa 활성화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Gryllus bimaculatus on platelet aggregation and glycoprotein IIb/IIIa activation)

  • 권혁우;이만휘;신정해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236-243
    • /
    • 2023
  • 혈소판은 1차 및 2차 지혈에서 근본적인 역할을 하는 세포지만 혈소판의 과도한 활성화는 혈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혈소판 응집의 적절한 조절은 혈전증 매개 질환을 예방하는 데 중요하다. 최근 곤충소재의 개발이 주목을 받고 있다. 다양한 곤충 자원 중 고영양 기능성 식품원으로는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와 같은 곤충류가 있다. 쌍별귀뚜라미 는 고단백 및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2015년 9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식품원료로 등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쌍별귀뚜라미 에탄올 추출물(G. bimaculatus extract)이 혈소판 응집, 세포 내 Ca2+ 조절, thromboxane A2 생산 및 glycoprotein IIb/IIIa (integrin αIIb/β3) 활성화를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1, 4, 5-triphosphate receptor type I,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cytosolic phospholipase A2,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p38, vasodilator-stimulated phosphoprotein, phosphatidylinositol-3 kinase, Akt, glycogen synthase kinase-3α/β 및 SYK 같은 신호 분자를 조절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우리는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이 혈소판 관련 혈전증 및 심혈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잠재적인 치료 약물로 가치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의 GbTmem258 cDNA 클로닝과 발현분석 (Characterization of a cDNA Encoding Transmembrane Protein 258 from a Two-spotted Cricket Gryllus bimaculatus)

  • 권기상;김홍근;박혜원;권오유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828-834
    • /
    • 2023
  •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에서 분리한 막전단백질 258(transmembrane protein 258, Tmem258)을 코딩하는 cDNA를 GbTmem258로 이름 붙였다. 이 단백질은 8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N-glycosylation site가 없고, 각각 2개의 serine과 threonine, 1개의 tyrosine 잔기로 구성된 5개의 잠재적 인산화 부위를 가지고있다. GbTmem258 단백질은 분자량은 9.06 kDa이며 이론적 등전점은 5.5으로 계산되었으며, alpha-helix (52.5%), random coils (22.5%), extended strands (16.25%), beta turns (8.75%)의 2차 구조 정보를 기반으로 GbTmem258의 3차 구조가 작성되었다. 그리고, GbTmem258은 다른 종의 Tmem258와 아미노산 수준에서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아와 먹이 공급에 의해 GbTmem258 발현 조절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조사하였다. 기아가 지속되는 동안 hindgut에서 GbTmem258 발현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기아 6일 후 대조군보다 1.5배 높은 수준이 되었다. 그러나 6일간의 기아상태가 끝난 후 하루 또는 이틀 동안 다시 먹이를 주면 GbTmem258 발현이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지방에서는 기아 동안 대조군에 비해서 GbTmem258 발현이 최대 3배까지 증가했지만, 6일 기아 후 하루 또는 이틀 동안 다시 먹인 후에는 발현이 약 2.5배 증가로 감소되었다. 굶기고 다시 먹이는 실험 내내 각각의 조직에서 주목할만한 GbTmem258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다.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added with fresh ginseng and different amounts of Gryllus bimaculatus powder

  • Ji Hye Kim;Jiyoon Kim;Jung Soo Kim;Insun Kim;Inju Nam;Jeong-Ho Lim;Deokyeong Choe;Kwang-Deog Moon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0-98
    • /
    • 2024
  • Edible insects, such as the two-spotted cricket (Gryllus bimaculatus, GB), have high nutritional value but are not widely consumed because of their appearance and smell. Consequently, the development of foods containing these insects in less recognizable forms, e.g., flour-like powders, has drawn considerable attention. Herein,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prepared from wheat flower supplemented with fresh ginseng (5%) and GB (0, 10, 20, and 40%) powders. GB load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uffin volume, height, moisture content, and textural properties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chewiness)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crude protein content and antioxidant properties. Significant (p<0.05) color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samples with different GB loadings. The contents of hexanal and nonanal, which are the major volatiles responsible for off-flavor, increased with increasing GB loading, and the number of volatiles maximized at 40% GB. Sensory preference decreased in the order of 0% GB>10% GB≈ 20% GB>40% GB. Based on these results, a GB loading of 20% offered the best trade-off between attractiveness and nutritional value. Thus, this study promotes the widespread use of GB in the food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edible-insect-based food products.

쌍별 귀뚜라미의 소화기관에서 기아에 의한 소화효소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Digestive Enzyme Genes in the Digestive Tract of the Two-spotted Cricket During Starvation)

  • 이누리;이은령;권기상;권오유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2-87
    • /
    • 2020
  • 쌍별 귀뚜라미(G. bimaculatus)가 식량공급이 제한적이거나 starvation상태를 어떻게 극복하는지를 알기 위하여 소화기관(전장, 중장, 후장)에서 소화작용의 가장 중요한 3대 효소인 amylase, trypsin, lipase의 유전자발현을 조사하였다. G. bimaculatus의 전장에서는 amylase, trypsin, lipase 유전자, 중장은 amylase 유전자, 후장은 amylase, trypsin 유전자의 발현이 먹이 의존적이지만, 중장의 trypsin, lipase 유전자와 후장의 lipase 유전자는 먹이 비의존적인 발현으로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결과는 곤충이 starvation과 같은 외부환경에 적응 및 생존하는지를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수준에서 접근할 수 있는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다.

미세먼지 유발 피부노화에 대한 쌍별귀뚜라미의 예방 효과 (Anti-skinaging effects of Gryllus bimaculatus on ERM-CZ100-exposed human diploid fibroblasts)

  • 김경;이채헌;박은영;오윤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6호
    • /
    • pp.615-628
    • /
    • 2023
  • 국내 미세먼지의 증가는 만성 호흡기 질환과 피부 염증 및 노화를 유발하여 국민 전체의 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미세먼지 유발 피부 염증과 노화에 대해 식용곤충인 쌍별귀뚜라미 70% 에탄올 추출물 (AE-GBE)의 미세먼지에 대한 활성산소 소거능, 세포내 β-galactosidase 효소 활성, MMP-1 발현, 콜라겐 생성, 그리고 염증성 반응에 대해 알아보았다. AE-GBE는 HDF 세포에서 ERM-CZ100에 의해 유도될 수 있는 활성산소종, DNA 단편화 수준 및 β-galactosidase 활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IL-1β, IL-6, TNF-α와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과 이들 사이토카인에 의해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진 COX2 단백질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MMP-1을 억제하여 콜라겐 분해를 막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이 미세먼지 유발 피부 염증에 대한 잠재적인 치료 표적이 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피부 노화를 늦추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