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7초

경기도 도농복합시의 경제공간 변화와 유형 분류 (The Change of Economic Space and the Classification of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in Gyeonggi-do)

  • 손승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5-59
    • /
    • 2015
  • 우리나라에서 도농복합시는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1995년부터 등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의 11개 도농복합시를 대상으로, 도시내 산업입지에 따른 경제공간의 변화가 어떻게 양상으로 전개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경기도의 도농복합시에서는 산업활동의 입지가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분석 대상에 포함된 모든 도시의 사업체수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개별 도시를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으로 구분하여 경제공간의 변화를 고찰한 결과, 이천시와 안성시를 제외한 9개 도시에서 도시지역으로의 경제활동 쏠림현상이 심화되었다. 도시지역으로의 경제활동 쏠림현상은 남양주시 포천시 용인시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주요 산업부문별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경제활동 입지 변화를 토대로 실시한 도농복합시의 유형화에서는 5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경제공간의 변화 유형은 도농격차 심화형, 도시지역 성장둔화형, 농촌지역 성장형, 도농균형 성장형, 도시지역 성장주도형 등이다. 경기도의 도농복합시에서는 거대도시 서울이나 도시화 수준이 높은 도시에 접한 도시일수록 도농격차가 심화되었고, 대도시로부터 멀리 떨어진 도시일수록 도시지역의 성장이 상대적으로 둔화되었다.

  • PDF

도농복합시 적정 도로공급지표 산정방법 개선연구 (A Study on Advancement of Proper Highway-Network Index for the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 이규석;오영태;이철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28-13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도농복합시의 최적 도로공급 지표를 결정하는데 있어 효율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 평가하는데 있다. 기존문헌 및 연구결과 고찰 결과 도농복합시는 기존의 도시지역과 지방지역이 동시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그 특성 또한 기존과 상이하므로 기존에 주로 이용되어온 국토계수를 이용한 도로공급지표 등을 적용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도농복합시의 도로공급지표의 결정을 위한 방법론은 통과교통량 처리를 위한 광역도로를 공급하고, 여기에 이용자 체감형 도로정비 목표 달성을 위한 도로공급량을 추가로 공급함으로서 도로공급지표를 확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계획기간 내 조달가능 한 도로예산과 확정된 도로공급지표를 달성하기 위한 사업비를 비교함으로서, 조달 가능한 예산범위 내에서 도로공급지표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였다.

  • PDF

지역 간 상호연계에 기반 한 농촌과 도시 간 생활권의 차이 - 부산.울산 광역도시권을 중심으로 - (Disparity between Rural and Urban Living Area Based on Regional Interaction - Focused on Busan-Ulsan mega city -)

  • 김현종;강동우;조덕호;이성우
    • 농촌계획
    • /
    • 제16권4호
    • /
    • pp.61-75
    • /
    • 2010
  • Daily living area can be delimit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at area is to be focused. Based on regional interaction, the present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living areas focusing on rural area and ones relying on urban area. We established two types of living areas in Busan-Ulsan mega city with different focus areas (rural versus urban), using travel OD data (2006). According to the result, the fonn of spatial clusters in urban living area differed from that of spatial clusters in rural area; the boundaries of living area were not fit to those of administrative areas in both types; and living areas in both types tended to extend over more than two administrative areas. The results cast some implications concerning spatial planning and policy for living area delimitation. First, since the spatial structure and interconnection of urban area differs to those of rural area, it is required to delimit living areas discriminatively depending on the objectives of the spatial plan. Additionally, the living area should be established more specifically and systematically by further subdividing the form of spaces depending on the objectives and types of the plan. Second, the administrative areas should be consolidated now that the difference of boundaries of administrative and living areas lead to inconvenience of residents, increased administration costs and scale diseconomy. Lastly, the living areas should be delimited by the metropolitan or mega city planning and thus be reflected to its offsprings.

지역사회의 주민 관계성 만족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통합 순천시를 사례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Local Community Resident - focus on Suncheon consolidated city -)

  • 최락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07-219
    • /
    • 2006
  • 본 연구는 행정편의주의에 입각하여 1995년 1월 통합을 이룬 순천시를 중심으로 도시지역과 농어촌지역의 통합의 효과적인 측면에서 기대되는 지역주민의 관계성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도 농 통합은 지역주민의 생활과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통합이후 10년이란 긴 여정을 살펴볼 패 순천시의 지역사회 주민의 관계성은 크게 나타나야 할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순천시의 통합목표가 어느 정도 효과적으로 실행되고 있으며 도 농 통합이 지역주민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분석 평가하여 지역사회 주민의 관계성 확보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역사회의 주민 관계성에 대한 만족도를 주민통합, 주민화합, 행정서비스 만족도 측면에서의 기준에 따라 통합이 지역사회 및 지역주민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 평가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지역주민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역사회 주민의 관계성의 분석변수 및 측정지표를 통해 그 확보방안을 분석하여 도 농 복합시의 지역사회 주민의 관계성 확보방안을 모색하고 이에 따른 정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PDF

요인분석을 통한 지역사회 공공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Factor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of Administrative Service of Community)

  • 최락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99-310
    • /
    • 2006
  • 본 연구는 지방행정구역의 개편의 일환으로 도시지역와 농촌지역이 통합을 이룬 도농복합 형태의 지역사회가 주민에게 제공하는 행정서비스가 주민 만족도 및 삶의 질의 제고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전국 46개 도농통합시 중에서 1995년 1월 통합한 순천시, 광양시, 나주시 및 1998년 4월 자발적 통합을 이룬 여수시 등 전남지역 4개 도농복합 형태의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주민들을 대상으로 경험적 조사를 통한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도농통합 지역사회 주민 270명을 유효 표본으로 추출하여 설문을 실시하고 SPSSWIN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지역사회 대주민 행정서비스의 만족도는 행정서비스의 형평성, 행정서비스의 대주민 대응성, 행정서비스의 능률성, 행정기관의 접근용이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 PDF

노인요양시설의 실내공기 중 미생물 오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crobial Pollution of Indoor Air at Elderly Care Facilities)

  • 김상하;김영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485-2491
    • /
    • 2009
  • 2007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2개월 동안 1개 광역도 1개 도농복합도시 지역의 노인요양시설 5곳을 대상으로 실내 외의 공기 중 바이오에어로졸 조사하기 위해 관성충돌 채취법을 적용한 미생물 채취기인 air $IDEAL^{TM}$(Biomerieux)를 이용하여 면양혈액한천배지와 Sabouraud Dextrose Ager를 사용하여 채취하여 배양하였다. 배양하여 분리 동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시설별 전체 미생물의 분리는 300 L 실내에서 S 요양원이 263 cfu/$m^3$로 가장 많았고, U 요양원이 123 cfu/$m^3$로 가장 낮은 수가 분리되었다. 2. 실내에서 300 L를 채취한 배지에서 분리된 세균의 수는 기타 동정되지 않거나 비병원성 그람양성구균이 321개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으며, 기타 그람양성구균의 대부분은 CNS(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이었다. 3. 실내에서 300 L를 채취한 배지에서 분리된 진균의 수는 Aspergillus spp. 가 66개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으며, 다음으로 Mucor spp. 62개, Penicillium spp. 53개, Alternaria spp. 50개, 기타 동정되지 않거나 비병원성 진균들이 42개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4. 실내 외의 오염비율은 실외보다는 실내에서 모두 평균 집락수가 많았으며, 300 L와 500 L의 공기량의 차이를 둔 조사에서는 공기량이 많을수록 양적으로는 많은 세균이 검출되었지만 균종으로는 큰 변화가 없었다.

도농복합지역 기혼여성들의 출산과 성 선호에 대한 인식 및 관련요인 (Perceptions of Married Women on Childbirth and Sex Preference and Related Factors in Gyeongju, Korea)

  • 염석헌;강복수;김창윤;이경수;황태윤;황인섭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3호
    • /
    • pp.260-273
    • /
    • 2010
  • 이 연구는 경상북도 경주지역의 20세 이상 기혼 여성들을 대상으로 결혼관, 자녀 출산 관, 저 출산에 대한 인식과 성선호도 및 성비 불균형에 대한 인식도를 분석하고, 성선별 강요 경험률과 남아 출산에 대한 강요와 인위적 성선별 출산 의도와의 관련성 및 저 출산과 성 선호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고자 시행하였다. 경주시의 25개 읍 면 동 중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각각 4개 동과 5개 읍.면지역을 임의로 추출한 453명의 연구대상자를 대상으로 2005년 12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392명에 대하여 조사를 완료하였으며 이 중 불완전한 설문조사를 제외한 34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혼에 대한 인식의 경우 연령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는데(p<0.01), 연령이 높을수록 결혼은 '반드시 해야 한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아졌다. 자녀 출산에 관한 인식은 연령(p<0.01), 거주 지역(p<0.01), 그리고 교육수준(p<0.05)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자녀의 수의 제한 없다는 가정 하에 아들 또는 딸에 대한 성 선호에 대한 응답은 연령(p<0.05) 및 직업 유무(p<0.01)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이상적인 자녀의 수로는 49세 이하는 '2명'이 34.8%로 가장 많았고, 50-69세 군과 70세 이상군에서는 '4명'이 각각 35.4%, 33.7%였다. 출생성비 불균형에 대한 인식은 경제상태(p<0.01) 및 직업 유무(p<0.01)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저 출산 원인의 경우 모든 연령군에서 '경제적 부담'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였다. 자녀가 한명일 경우의 남아 선호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49세 이하의 군과 50-69세, 70세 이상의 군으로 구분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49세 이하에서는 주관적 경제상태(p<0.01)와 거주 지역(p<0.05)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으며, 50-69세에서는 교육수준(p<0.05), 거주 지역(p<0.01)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으나, 70세 이상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없었다. 출산순위가 낮은 출생아의 성선별에 대한 홍보와 더불어 소 자녀관을 개선시키는 것을 국가 정책과 홍보의 우선과제로 하는 것이 필요하고, 직장생활과 결혼, 출산 등을 연계하여 인식하고 있고, 사회활동을 통한 개인의 성취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가속화 될 것이 때문에 결혼과 자녀의 출산 등이 직장생활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정책과 사회적 배려가 필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