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tive phase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초

Effects of Temperature and Day-Length on Heading Habit of Recently Developed Korean Rice Cultivars

  • Choi, Kyung-Jin;Lee, Jung-Il;Chung, Nam-Jin;Yang, Won-Ha;Shin, Jin-Chu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1-47
    • /
    • 2006
  • To understand the heading habit of recently developed 20 Korean rice cultivars, rice plants in a phytotron were exposed to different temperature: $22.5^{\circ}C(day\;27^{\circ}C/night\;18^{\circ}C),\;27.5^{\circ}C(day\;32^{\circ}C/night\;23^{\circ}C)$, and day-length conditions: 10, 12, 13, 14, 15 hours. Four rice cultivars (Sobibyeo, Juanbyeo, Ilpumbyeo and Shindongjinbyeo) showed relatively short Basic Vegetative Phase (BVP) of 17 to 18 days, while Dasanbyeo showed the longest (35 days) BVP, compared to other remaining 15 tested cultivars which exhibited 24 to 31 days of BVP. In this experiment, it was tried out to separate the eliminable vegetative phase into photosensitivity and thermo-sensitivity with two different pathways. Many tested cultivars, however, exhibited quite different responses under low temperature and / or long day-length conditions. Especially, Surabyeo and Juanbyeo were the most difficult cultivars to separate into photo- or thermo-sensitivity in that the eliminable vegetative phase of these two cultivars increased greatly only under low temperature $(22.5^{\circ}C)$ and long day-length (15 hr.) conditions. Regarding the heading response to temperatures, tested cultivars could be categorized into 2 groups. In 1st group of rice cultivars, the eliminable vegetative phase decreased almost equally as the temperature changed from $20.0^{\circ}C\rightarrow22.5^{\circ}C\rightarrow25.0^{\circ}C\rightarrow27.5^{\circ}C$. In contrast, the 2nd group of rice cultivars exhibited eliminable vegetative phase slowly decreasing when the temperature changed from $22.5^{\circ}C\rightarrow25.0^{\circ}C\rightarrow27.5^{\circ}C$, but rapidly decreasing when the mean temperature changed from $20.0^{\circ}C\;to\;22.5^{\circ}C$. All the cultivars belonged to 2nd group, the heading date would be very delayed if cool summer comes.

Effect of Nisin against Clostridium botulinum During Spore-to-Cell Transformation

  • Chung, Yoon-Kyung;Yousef, Ahmed 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2권4호
    • /
    • pp.259-266
    • /
    • 2007
  •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mode of action of nisin against vegetative cells and spores of Clostridium botulinum is different. However, clear explanation is not available. Therefore, nisin action against vegetative cells and spores of C. botulinum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Nisin was added at various stages of spore-to-vegetative cell transition and changes to sensitivity to the bacteriocin were observed. Different nisin preparation (Nisaplin or pure nisin) was compared for their activity against different stages of spore transformation of C. botulinum ATCC 25763. Germination was measured by determining loss of heat resistance and observing phase darkening of spores under phase-contrast microscope. Nisin acted bactericidally against vegetative cells, but acted sporostatically against spores of C. botulinum under the same concentration. This bactericidal and sporostatic action of nisin was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nisin used. Presence of nisin during spore activation by heat increased subsequent phase darkening and germination rates. However, nisin inhibited the germination and the outgrowth, when it was added after heat activation stag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ime of addition of nisin is very important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spores during the heating process of foods. In addition, it may be possible to apply nisin at the stage of processing that coincides with the most sensitive stage of spore transformation.

STUDIES ON RESPONSES OF THE RICE PLANT TO PHOTOPERIOD III. RESPONSE OF KOREAN VARIETIES

  • Ahn , Su-Bong;V.S. Vergara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5-49
    • /
    • 1969
  • 수도재배시기이동시의 품종의 적응성 또는 외국품종도입시 그 적부판단의 기준이 되는 일장 및 온도효과의 본질과 한국품종들의 감응도를 분석비교하였다. 시험결과 공시품종들은 전부 일장에 대하여 비교적 둔감하고 어느 처리일장하에서나 출수하여 한계일장이 없었으나 만생품종은 조생종에 비하여 감광성이 예민하고 기본영양생장기간이 짧었고 조생품종은 기본영양생장성이 컸으며 최적일장은 전품종 10시간전후였다. 또한 온도도 일장과 같이 생육기간에 대하여 영향이 큰 것 같고 저온은 일장의 장단, 품종의 조만에 관계없이 출수를 지연시키고 고온은 기본영양생장기간을 단축시키고 일장감응기에는 별로 영향이 없었다.

  • PDF

Unusual Rhizoidal Development in Bangia (Bangiales, Rhodophyta) -Another Form of Vegetative Reproduction?

  • Boedeker, Christian;Farr, Tracy J.;Nelson, Wendy A.
    • ALGAE
    • /
    • 제22권1호
    • /
    • pp.31-36
    • /
    • 2007
  • The gametophytic filaments of two genetically distinct taxa of Bangia from New Zealand showed unusual rhizoidal development in comparative culture experiments. In the past Bangia has been reported to possess simple, colourless rhizoids that extend from the basal cells of the unbranched filaments, whereas in this study the rhizoids observed became pigmented and multicellular. A reversal of growth direction occurred and filamentous extensions developed from the rhizoids under some culture conditions. These extensions were either prostrate or resembled new gametophytic filaments. This is the first report for filamentous members of the Bangiales of the development of such stolon-like rhizoids, apparently serving as a form of vegetative reproduction.

과수목(果樹木)의 역병(疫病)을 유발하는 Phytophthora cactorum의 유주자(遊走子)와 난포자(卵胞子)의 균사생장과 균총의 형태 (Growth Rate and Colony Morphology of Progenies of Zoospores and Oospores of Phytophthora cactorum causing Phytophthora rots in Apple Trees)

  • 심재욱;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81-285
    • /
    • 1994
  • Phytophthora cactorum으로부터 분리된 유주자(遊走子)는 균사 생장이 상대적으로 균일하고 균사 생장분포가 모체(母體) 균주(菌株)와 유사하였으나, 분리된 난포자(卵胞子)는 균사생장분포가 매우 다양하였다. 또한, 균총의 특징은 난포자에서 크게 다양한 반면, 유주자에서는 균일하였다. 이 결과는 P. cactorum의 균사생장과 균총의 모양을 결정하는데 있어 다양한 유전자가 관여하고 있으며, 몇몇 역병균이 생장하는 동안에 이배체성 생식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수도의 출수생태에 관한 연구 제1보 주요수도 품종의 일장반응 (Ecological Studies on Heading of Rice Plant I. The Response to Photoperiod of Major Rice Varieties)

  • 최경구;장영남;이성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1-163
    • /
    • 1983
  • 우리나라의 주요 수도 신품종 및 도입 품종을 공시하여 출수생태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일장을 10, 12, 14 및 16시간의 4수준으로 하여 기본영양생장성과 감광성을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일수는 일장이 10, 12, 14 및 16시간으로 길어짐에 따라 지연되었는데 그 정도는 14 및 16시간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2. 일장에 따른 각 품종의 출수일수를 기초로 하여 일장반응형을 분류하면 7개의 group으로 구분할 수 있었는데, I-IV group은 대부분 일본형 품종이고, V-Ⅶ group은 모두 통일형 품종이었다. 3. 일본형 품종은 기본영양생장성이 짧고 감광성이 예민하였으며 통일형 품종은 기본영양생장성이 길고 감광성이 순한 경향이었다. 4. 일본형의 육성품종과 도입품종간에는 감광성과 기본영양생장성의 유의차는 없었다. 5. 조ㆍ중ㆍ만생종의 기본영양생장성과 감광성의 정도는 조생종의 경우 기본영양생장성 정도에서 일본형이 짧고 통일형은 뚜렷이 길었으며 감광성 정도는 일본형 및 통일형 품종 공히 순한 경향이었다. 한편 중ㆍ만생종의 경우 기본영양생장성 정도는 조생종과 비슷하였으나 감광성 정도는 일본형이 예민하고 통일형 품종이 순하였다. 6. 기본영양생장성과 감광성의 고저에 따른 각 품종들의 출수생태형은 19개 생태형으로 구분되었다. 7. 생태형중 대부부의 일본형 품종은 I-V, I-Ⅵ, II-IV, II-V 및 II-Ⅵ에, 통일형 품종은 Ⅵ-II, IV-III, V-II, V-III, Ⅵ-I, Ⅵ-II 및 Ⅶ-I에 속하였다.

  • PDF

세균에 의한 남조 Anabaena cylindrica의 분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ysis of a Bluegreen Alga Anabaena cylindrica by a Bacterium)

  • 김철호;권오섭;이진애
    • ALGAE
    • /
    • 제18권4호
    • /
    • pp.355-360
    • /
    • 2003
  • A Gram (-), rod-shaped bacterium in size of 1.6-2.8 $\times$ 0.4 μm was isolated from a eutrophic reservoir, which exhibited growth-inhibiting effect against a bluegreen alga (Anabaena cylindrica). This isolate showed positive reactions for catalase and oxidase, and optimal conditions of 35-40°C and pH 9.0. This isolate was designated AC-1 in this manuscript. In a mixed-culture of A. cylindrica and AC-1, their growth patterns were inversely correlated and the bluegreen algal vegetative cells completely disappeared within 24-36 hours. AC-1 showed similar lytic activity in natural water as in an artificial medium. The lytic activity of AC-1 was dependent on the photosynthetic activity of A. cylindrica. When observed under phase contrast microscope, the isolate lysed vegetative cells of A. cylindrica in scattered state in a liquid medium, whereas heterocysts have not been lysed.

들깨 파종기와 일장처리에 의한 품종간 개화반응 (Flowering Response According to Different Seeding Dates and Day-length Treatment in Perilla)

  • 정찬식;오기원;김현경;권일찬;배석복;박충범;곽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490-494
    • /
    • 2003
  • 1) 들깨 속의 개화일수는 파종기 및 품종에 따라 큰 변이를 보였다. 5월 1일 이후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품종간 차이가 적어지는 경향이었고 8월 1일 파종기에서 품종간 5일로 가장 적은 개화일수 차이를 보였다. 2) 들깨 속은 파종기 및 품종에 따라 개화반응이 다양하였다. 1월 1일 파종 및 5월 1일 이후 파종기에서는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으로 정상적인 개화 반응을 보였으나, 2월에서 4월까지 파종한 경우에는 영양생장\$\longrightarrow$생식생장\$\longrightarrow$영양생장+생식생장\$\longrightarrow$근영양생장\$\longrightarrow$생식생장, 영양생장\$\longrightarrow$영양생장+생식생장\$\longrightarrow$영양생장\$\longrightarrow$생식생장, 상위분지는 영양생장만 하고 하위분지는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을 동시에 하는 등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이 가역 적으로 변화하였다. 3)들깨의 화성자극 이동방향과 분열조직에 있는 엽수에 따른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처리한 결과 단일 처리된 부위만 개화반응을 보여 들깨에 있어 화성자극은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도꼬마리 등 다른 식물과는 상이하였다. 4)단일처리 기간에 따른 개화일수 단축은 9월 상순 이전에 개화하는 품종은 8일 처리로 효과가 있었으나 9월 하순에 개화하는 품종은 14일 처리에서 유의하게 단축되었다.

찬물 흘려대기 논의 수온 분포에 따른 벼의 엽 전개 일수 및 주간엽수와 출수일수의 품종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s in Days Required to Leaf Expansion, Leaf Number on Main Culm, and Days to Heading of Rice under Cold Water Flow System)

  • 윤성호;윤종선;유길림;박창기;정근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14-219
    • /
    • 1991
  • 관계수온에 따른 벼 품종들의 출수일수, 주간엽 전개 소요일수, 주간총엽수 등을 조사하여 수온과 벼 품종들의 출수특성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삼강벼 등 12개 품종을 공시하고, 찬물계속 흘려대기를 실시하여 동일 포장 내에서 수온의 차이를 둔 벼 내냉검정포에서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응과 같다. 1. 담수심을 5 cm로하여 찬물계속흘려대기를 실시할 때 관계수 정체시간은 3 시간 이었으며, 포장 내의 수온은 찬물유입구로부터 배수고를 향하여 거리가 밀어질수록 상승되었다. 대체로 기온이 높아짐에 따라 수온도 높아지는 경향이었고, 배수구 쪽의 수온은 벼의 영양생장기에는 기온보다 높았지만, 생식성장기에는 낮았다 2. 수온 상승에 따라서 주간엽의 전개속도는 빨라지는 경향이었으며, 품종별로는 복광벼, 상풍벼, YR3486-16-2 등은 민감하였으나 Janack, 밀양4002 등은 다소 둔감한 편이었다 3. 영양생장기에 비하여 생식성장기에 1엽전개 소요일수가 두드러지게 늘어난 품종은 Janack, Paro-white 등이 었 다. 4. 1엽전개 소요일수의 품종간 차이는 수온이 높았던 영양생장기보다 상대적으로 수온이 낮았던 생식성장기에 켰다 5. 수온이 비슷한 조건일 때 수온의 차이에 의한 전체 공시품종의 평균 1엽전개소요일수의 영양생장기와 생식생장기의 생육단계간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수온 13$^{\circ}C$-23$^{\circ}C$ 범위에서는 1$^{\circ}C$ 상승에 따라 1.3 일만큼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 되었다. 6. 수온에 따른 주간총엽수의 증감은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다. 수온이 상승됨에 따라 1 엽이 증가된 품종은 복광벼, 광명벼, China 988, YR3486-16 등이었고, 주간총엽수의 변화가 없었던 품종은 소백벼, Paro-white, 상풍벼, 풍산벼, 삼강벼, 밀양4002 등이었다 7. Janack 품종은 수온의 상승에 따라 주간총엽수가 증가되면서, 출수일수도 늘어났지만, 그밖의 품종들은 수온 차이에 의한 주간총엽수의 변화와는 관계없이 수온 상승에 따라 출수일수가 단축되었는데, 그 정도는 품종마다 달랐다.

  • PDF

Proteases and Protease Inhibitors Produced in Streptomycetes and Their Roles in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 KIM DAE WI;KANG SUNG GYUN;KIM IN SEOP;LEE BYONG KYU;RHO YONG TAIK;LEE KYE J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5-14
    • /
    • 2006
  • Streptomycetes are Gram-positive microorganisms producing secondary metabolites through unique physiological differentiation [4]. The microbes show unusual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to form substrate mycelia, aerial mycelia, and arthrospores on solid medium [19]. Substrate mycelium growth is sustaining with sufficient nutrients in the culture medium. The concentration of a specific individual substrate in the culture environment is the most important extracellular factor allowing vegetative mycelia growth, where extracellular hydrolytic enzymes participate in the utilization of waterinsoluble substrates. However, with starvation of nutrients in the culture medium, the vegetative mycelia differentiate to aerial mycelia and spores. It has been considered that shiftdown of essential nutrients for mycelia growt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riggering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differentiation in Streptomyces spp. Since proteineous macromolecule compounds are the major cellular components, these are faced to endogenously metabolize following a severe depletion of nitrogen source in culture nutrients (Fig. 1). Various proteases were identified of which production was specifically related with the phase of mycelium growth and also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The involvement of proteases and protease inhibitor is reviewed as a factor explaining the mycelium differentiation in Streptomyces spp.